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랭보의 두통을 나누는 아침

사색과 매혹으로의 초대

프롤로그 - 랭보의 두통을 나누는 아침


어느 날 어린 랭보가 숲 속으로 난 길을 걸어가다가 갑자기 자기의 머리를 덩치 커다란 아카시아 나무에 처박았다. 당황스러운 눈빛으로 이마에 맺힌 핏방울을 걱정하는 친구에게 랭보가 말했다. 

     

"나는 괜찮아. 이것은 생각하는 자가 걸어야만 하는 가시밭길일 뿐이야."    

  

그날 랭보가 걸어간 그 길이 자신의 작은 몸조차 이리저리 살피며 걸어야 하는 좁고 고불고불한 오솔길이었는지, 골목길이라고 불러도 될 만큼 발걸음이라도 자유로웠던 길이었는지를 알 수 없는 것처럼, 어떤 걸음으로 그 숲길을 걸었는지에 대해서는 전혀 알지 못한다. 


사실 그것을 알아야 할 필요도 없고 굳이 알고 싶지도 않다. 그저 두 손을 바지 주머니에 푹 질러 넣고 살짝 고개를 앞으로 숙인 랭보가, ‘숲길’이라 부를만한 길 어딘가를 터덜터덜 걸어가고 있으면 될 뿐이다. 


랭보

(Arthur Rimbaud │Jean Nicolas Arthur Rimbaud, Oct. 20, 1854, Charleville-Mézières, France - Nov. 10, 1891, Marseille, France)




잠이란 것을 기준으로 삼는다면 분명 ‘어젯밤’이라고 해야 하겠지만 시간적으로 본다는 오늘이 시작되고 얼마 지나지 않은, 아주 깊은 밤에 마셨던 와인 때문인지, 어쩌면 포도에서 배어나온 검붉은 햇살의 날카로움 때문인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두통으로 잔뜩 무거워진 몸을 어렵사리 일으킨다. 

혹여 벌써 희미해져 가고 있는 간밤의 꿈 때문일 수 있을 거라는 생각도 해본다. 

     

가벼운 머리 지끈거림이야 간혹은 있어 왔지만 지금껏 크게 두통이라 할 만한 별 다른 현상을 겪으며 살아온 것이 아니기에 누군가 쑤석거리는 듯 아픈 머리로 깨어난 오늘 아침은 몸뚱이만이 아니라 마음까지도 어색하다. 


침대에 다시 누워 아침빛이 창을 환하게 밝힐 때까지 조금 더 뒹굴 거리기로 한다. 창틀의 양끝으로 밀려나 있는 커튼이 가지런한 주름을 죽죽 긋고 있다. 이제야 발바닥이 욱신거리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린다. 

     

“지난 밤 꿈속에서, 울창한 숲 속으로 나 있던 구불구불한 좁은 길이 아마도 생각하는 여행자가 가야 할 길이었을 거야.”      


점점 짙어가는 아침의 상념을 말간 연갈색의 홍차로 깨워야겠다, 고 생각해 본다.  

    



두통이란 건 아무리 가벼워도 신경을 곤두서게 만드는 법이다. 여행 캐리어에서 끄집어낸 타이레놀 두 알을 아직 온기가 남아 있는 홍차와 함께 삼킨다. 불현 듯 속이 쓰려온다. 홍차가 용해시키고 있는 두통약 때문이라고 여기기로 한다. 

아침의 속 쓰림은 그리 낯설지 않은 일이다. 두통과 함께 곧 가라앉을 것이라는 걸 경험으로 알고 있다.     


“아직 빈속이라 그런 것일 뿐이야.”


알 수 없는 두통의 원인이 궁금하다. 침대 머리의 작은 협탁에 얹혀 있는 랭보의 시집 ⟪지옥에서 보낸 한 철⟫의 표지에선 아직 싱싱하고 어린 시절의 잘생긴 랭보가 무뚝뚝한 표정으로 침실 천장을 응시하고 있다.  

    

“랭보는 지금 무엇을 쳐다보고 있는 것일까.”     


머리를 뒤로 기울여서 랭보의 눈길을 따라 나선다. 하얀색으로 덧칠된 네모난 천장이 먹먹한 우주처럼 느껴진다. 머리 위에 펼쳐져 있는 세상을 한참 동안 올려보고 있자니 어느 천체인가의 공전에 빙글빙글 휘말려 버린 듯 어지러워진다. 


이제야 두통의 원인을 짐작할 수 있을 것 같다. 랭보의 두통의 원인에서 나의 두통의 원인을 찾아낸다. 어느 사이 창밖이 훤하게 밝았다.     


“오늘 아침 난 랭보의 두통을 함께 나눈다.”     




“어느 날 랭보는 자신의 머리숱이 너무 많기 때문에 두통이 생기는 거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자신의 머리카락을 모두 밀어버렸다.”     


젊은 랭보의 머리는 하얀 종이를 둥그렇게 말아놓은 것처럼 파리하게 보였을 것이다. 만약 그날 랭보를 만났다면 이제 막 머리를 깎은 젊디젊은 비구니라고 생각했을지도 모른다. 

어쨌든 그 치료법에 대해 아무런 의학적 근거를 찾아볼 수는 없지만 그것은 분명 두통의 숙주였던 랭보에게는 상당히 효과적인 처방이었을 것이다.      


때론 자신의 주관적인 판단을 객관적인 진리라고 확신하며 살아가게 되는 것이 인간이라는 존재이다. 그 순간 랭보가 자기에게 내렸던 주관적인 처방은 분명 그의 두통을 객관적으로 덜어주었을 것이다. 


사람의 믿음은 진리를 만들어 내는 법이다. 위약효과僞藥效果라는 말처럼, 거짓으로 주어지는 약조차도 피처방자의 믿음에 따라서는 치료의 효과를 가질 수도 있게 되니, 진실이란 것은 오직 인간의 마음만을 따르는 것일 수 있다.      


누구보다 감성적이었고 자신에 대한 강한 확신을 가졌던 랭보에게 ‘자기의 주관이 만들어낸 위약僞藥’은 의사가 내린 처방보다 더 큰 치료 효과를 가졌을 것이 분명하다.    

  

“두통의 원인이 ‘스스로 현실의 세상을 벗어나 버린’ 자기 자신에게 있다는 것을 랭보는 알고 있었지 않을까.”    

 

     



서쪽으로 길게 드리웠던 아침 그림자의 키가 한 뼘씩 줄어들어 가더니, 머리 위 가마득한 저기에 걸려 있던 태양이 남쪽 하늘에 제 알아 자리를 잡았다. 환하게 밝아진 낮 빛 때문인지 두통이 가벼워지고 있다. 

     

“가만히 보니 두통이란 것도 어떤 주기를 따르고 있는 것 같다. 태양의 시간에는 빛의 주기를 따르는 것 같으니 밤의 시간이면 어둠의 주기를 따를 것 같다.”     


물리적이지 않은 두통의 원인은 자신 안에서 찾아지는 때가 있다. 내 안에 숨어 지내온 ‘내면의 나’는 다른 어떤 주기를 따르고 있고, 그 주기가 현실의 나에게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지금 숙소를 떠나지 않으려는 ‘이 나’는 나의 삶을 안주시키려는 나의 '정正(thesis)'이고, 문손잡이에서 눈을 떼지 못하고 있는 ‘저 나’는 서둘러 문밖으로 나서자고 재촉하는 나의 '반反(antithesis)'이다. 그렇다면 지금의 내가 찾아내야만 할 것은 나의 '합合(synthesis)'인 것이다.      


“어떻게 하면 서로 다른 이 두 개의 나에게 변증법의 현명한 타협을 가르칠 수 있을까.”  

  

삶에서는 어떠한 질문의 답도 결코 쉽게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법이다. 오늘 아침의 두통은 ‘좀 더 가까운 곳에서 답을 찾아보라는’ 어린 랭보의 풋풋하지만 은밀한 조언일 수 있겠다.     


   



젊은 날의 어느 날, 그곳을 왜 찾아간 것인지는 기억나지 않지만, 한적한 어느 시골마을의 버스 정류장 건너편에 있던 이발소에서 머리카락을 전부 밀어 버린 적이 있다. 그날 이후 '이부 머리'라는 빡빡 머리로 캠퍼스에 나타난 나에게 던져졌던 보통 때와는 다른 갖가지의 언어들이 아직도 가끔씩은 일벌의 날갯짓 소리처럼 윙 윙 귓가에서 공명하고 있다. 


사실 그 언어들은 별 의미 없는 단어들이 책임 없는 목소리에 그냥 실린 문장들 지나지 않을 수도 있었다. 하지만 속이 빈 구형의 물체가 가끔씩 이유 없는 공명을 불쑥 일으키기도 하듯이, 의미 없는 말들이 뭉쳐 괜한 진동을 일으킬 때가 있는 법이다.


이제 와서 생각해 보니 그 공명음과 날갯짓 소리는, 서로 다른 차원에 존재하긴 하지만 같은 공간을 겹쳐 차지하고 있는 듯 구분하기 어려운 하나의 음원을 가졌던 것 같다.     

혹여 어린 랭보처럼, 아무런 거리낌 없이 캠퍼스를 돌아다니던 그 시절처럼, 다시 머리를 빡빡 깎아 보면 어떨까. 그 시절의 나와 그 때의 어린 랭보가 눈을 크게 뜨고 모습을 드러낼까. 


시집 표면에 박제되어 있는 흑백의 젊은 랭보에게 묻는다.    

  

"그래서 어땠었니. 두통은 나아졌었니."     




머리카락을 모두 깎아 버린 젊지 않은 한 사내를 바라볼 세상의 눈빛이 한여름의 햇살보다 더 따가울 것 같다. 다행이다. 그 매서운 눈빛을 견뎌보려는 괜한 용기를 낼 수 없어서. 더 큰 용기란 건, 나이든 사내아이에겐 부질없는 만용일 뿐이란 걸 이미 알고 있어서. 나의 허술한 위안에 안도의 숨을 길게 내뱉는다.  

    

“정말 다행이다. 조금은 더 이성적이고 조금은 더 겁쟁이처럼 살아야 한다는 것을, 늦긴 했지만 이제라도 깨닫게 되어서.”     


구름 한 점 없는 토스카나(Tuscany)의 하늘 아래에 속살까지 진보라 빛으로 잘 익은 포도송이들이 주렁주렁 매달려 있다. 능선을 따라 내려온 바람에 버석하게 마른 흙먼지 한 무리가 포도원 구석에서 슬그머니 몸을 일으킨다. 포도원에 딸린 오래된 주택 앞에 놓여 있는 벤치에 앉아 머리를 기른 나에게, 그리고 머리를 빡빡 깎은 랭보에게 손 편지를 쓴다.          



http://www.yes24.com/Product/Goods/109025158

 

매거진의 이전글 랭보 악마처럼 검고 지옥처럼 뜨거우며 사랑처럼 달콤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