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신과 인간에 대한 어느 사색자의 소고

신과 인간에 대한 어느 사색자의 소고                        

첫 번째, ‘인지한다’는 정신계의 작용에 대해

신과 인간에 대한 사유와 그것을 글로 옮기려는 행위는, 알지 못하는 것과 알 수 없는 것, 그러나 알아야만 되고 알 것만 같은 것에 대한 막연한 호기심과 경외를 현실 세상에서의 정신 작용으로 끌어오는 것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다. 

여기에 대해서는 생각하고 또 생각해야만 하는, 사유하고 또 사유해야만 하는 호모사피엔스사피엔스의 태생적 속성이 그 정신 작용의 뿌리를 지탱하고 있는 토양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에게 있어 이러한 정신계의 작용은 대체 어디에서 온 것일까. 

인간은 어떻게 이런 정신계에서의 작용을 할 수 있게 된 것일까. 

안타깝지만 다행이라고도 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한 답을 찾을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답일 수도 있는, 또는 답일 것도 같은 것이 답을 대신해도 괜찮다는 것이다. 

인간이 살아가고 있는 현실의 세상에서는 답이란 걸 꼭 알아내었다 하더라도 그것이 제대로 알게 된 것이 아닐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인간의 정신계에서는 그것을 답이라고 여기는 것을 막아서지 않고 있다.     

  

어쩌면 이러한 정신계에서의 작용은 애초 신에게서 비롯된 것일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정신계에서의 작용에 인간의 형이상학적인 탐구 능력이 더해져서 신을 인지하게 된 것은 아닐까. 

또한 그렇다면 신은 시간이라든가 공간과 같은 것에 제약 없이 않고 원래부터 있어 온 것이고, 인간이 할 수 있는 것이라곤 그 사실을 후천적으로 알아차리게 되는 것뿐이니, 인간의 인지가 언제나 ‘때 늦기’ 마련이라는 것을, 이 또한 때를 놓친 후에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어쨌든 이러한 후천적인 정신계의 작용을 통해 우리 인간은, 물질계에서 허용되었던 애초의 능력보다 더 큰 무리를 이루어 번성과 번영을 거듭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물론 어떤 것을 인지한다는 것이 그것의 존재를 증명하는 것이라고 할 수만은 없겠지만, 인지하기에 그것의 존재를 믿게 되는 것은, 인간이기에 가능한 정신계의 작용인 것만은 분명한 사실일 것이다.   

    



두 번째, 신과 인간에 대한 사색자의 질문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은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접근법을 통해 답을 향해 나아갈 때에야 비로소 ‘제대로 훈련된 사색자의 질문’이 되는 법이다. 

그렇지 못한 질문에 대해선 혹시 그 안에서 어떤 논리적 체계를 찾을 수 있는 것이라고 한다면 하나의 설익은 가설이라고 할 수 있고, 그렇지도 못하다면 쓸모없는 기우나 궤변 또는 호기심에 지나지 않게 된다. 


신이 먼저인지 인간이 먼저인지에 대한 질문은 오직 인간만이 할 수 있는 현명한 질문이면서 또한 우매한 질문이기도 하다. 

비록 현명한 질문을 던질 수 있다고 할지라도 거기에 대한 현명한 답을 찾아낸다는 것은 지극히 어려운 법이다. 

그러니 우매한 질문에 대해서 현명한 답을 기대하는 것은 던져진 질문만큼이나 어리석은 짓거리라고 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신과 인간의 관계에 있어, 신을 믿는 이에게는 신이 먼저일 것이고, 신을 믿지 않는 이에게는 인간이 먼저일 것이다. 

또한 오락가락 믿는 이에게는 그 답 또한 오락가락하기 마련일 것이다. 원래 우매한 질문에는 현명한 답을 가장한 우매한 답만이 만져질 뿐이다. 


신과 인간에 대해서라면, 그것이 어떤 질문이건 간에, 각자의 주관과 믿음의 문제로 치부되기 마련이다. 

신성을 찾고 그것을 따르려는 인간의 본능은 절대자를 향한 회귀 본능이거나 귀의 본능에서 기인하는 것일 수 있다. 


“신이 인간을 창조하였고 그 신은 자신이 창조한 인간에 의해 비로소 존재하게 되었다.”

누군가는 이 말을 '신성 모독'이라 볼 것이고 또 다른 누군가는 '인간 모독'으로 볼 것이다. 

살만큼 살아보면 알게 된다. 무엇인가를 모독하려는 것은, 안타깝지만, 인간에게 내재된 본능 중에 하나일 수 있다는 것을. 

이와 같은 이기적인 본능이 태초의 창조과정에서 인간에게 ‘타의적으로’ 탑재된 것인지, 진화를 통해 ‘자의적으로’ 생겨난 것인지는 누구도 알 수 없다.  


모독과 같이 부정적인 의미의 단어를 신과 인간의 관계에서 배제해 본다. 

신이 인간을 창조하였다는 것을 인정하게 되면 ‘인간은, 인간에 대한 신의 사랑을 확인’할 수 있게 되고, 그 신은 자신의 피조물인 인간에 의해 신이라는 절대자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으니 ‘신은 신에 대한 인간의 사랑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인간의 정신계는 대부분의 경우 아주 편리하게 작동하고 있다. 

인간에게 편리하다는 것은 ‘지극히 이기적’이라는 것이다. 

인간의 정신계는 자기가 주관적으로 믿는 것을 진리 또는 진실이라고 여기게 만들어 준다. 

인간의 정신계는 또한 우리라는 인간은 결코 신을 벗어날 수 없고, 신 또한 결코 인간을 버리지 않을 것이라는 어설픈 생각조차 진리라고 여기게 만들어 주고 있다.


뉴욕에서, Dr. Franz Ko(고일석) 

매거진의 이전글 스스로의 핵심 속성을 찾아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