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사진을 찍다가

사진을 찍다가


여행자로서 길을 걷게 되면서 덩치 큰 카메라를 내려놓고 몸과 마음을 가볍게 하려는 버릇을 짓게 되었다. 

생각 머물 때마다 스며들고 눈길 둘 때마다 안겨 드는 여행지에서의 감상을 오롯이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더 가벼워져야 한다는 것을 어느 날엔가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진정한 여행자라면, 이른 아침의 첫걸음을 디디기 전에, 손과 가슴뿐만이 아니라 눈과 귀를 비울줄 알아야 한다. 

숙소로 돌아오는 해 질 녘의 걸음에서는 돌틈 사이를 비집고 자라난 키 작은 잡초 같은 무수한 감상들이 삐죽 고개를 내밀테니까.      


이십대라는 시간이 온몸을 적시고 있던 시절에는 덩치 크고 무게 무거운 아날로그 카메라와 그것에 맞춰진 렌즈들을 어깨에 메는 것을 당연하게 여겼다. 

하이엔드급은 아니었지만 당시로선 꽤나 쓸만한 아이들이었던 니콘(NIKON) 사의 F2와 FM2을 주력으로 해서 캐논(CANON) 사의 AE1블랙바디와 실버바디가 크고 작은 렌즈들과 함께 네모난 카메라가방에 번갈아가며 담겼다.  

        

NIKON F2 카메라 BODY     


어느 바디를 손에 잡을지, 어떤 렌즈를 조합시킬지는 가방을 챙기는 당일 날의 마음에 달려 있었다. 

간택 과정이 어떠했든 간에 그 카메라 바디들과 렌즈들은 전국 곳곳의 산이며 들이며, 섬이며 바다를 나와 함께 떠돌아다녔다. 

인화과정에서 걸러진 빛과 색상의 농담, 물체의 선과 구도는 현상이라는 과정을 통해 필름 밖으로 튀어나왔다. 

     

시간은 모든 것을 변하게 만든다. 

그것을 비켜가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그 시절에 있었던 ‘사진을 찍는 행위’ 또한 그것을 피할 수 없었다. 


필름에 그려지는 사물이나 전경보다는 마음에 각인되는 순간의 이미지가 중요해진 날부터 사진이란 건, 네모난 프레임 속에 남기고 싶은 것만을 골라 담는 정서적 도구가 되었다. 

그것은 사진을 찍는다는 것이, 사물이나 전경 자체의 ‘현상적 가치’를 담는 행위를 넘어 이의 눈과 가슴이 걸러내는 ‘감상적 가치’를 기록하는 행위라고 여기게 되었기 때문이다. 

나이가 든다는 것은 자신의 주관을 객관이라 주장하게 되는 완고한 기성세대가 되는 것임을 인정해야만 하는 것이 인간이다. 


거기에 약간의 핑계를 덧붙이자면 젊은 날에 사용하던 아날로그 카메라는 그 부피감과 중량감으로 인해 “잘 찍어야만 한다.”는 ‘질적 의무감’에 시달리게도 했다는 것이 또한 그 이유 중에 하나라고 할 수도 있다. 

어찌 되었건 간에 그 아이들을 내려놓은 이제는, 가벼워진 눈과 가슴으로 세밀하면서도 더 넓어진 샷을 더 작은 기기 안에 담아낼 수 있게 되었으니 이것을 두고 나빠진 것이라고는 말할 수 없을 것 같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