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Woozik Oct 30. 2023

우리 딱 10번만 실패합시다!

최소비용으로 아이디어 검증: 아이디어 불패 법칙의 필승전략(1)

지난 6개월 간 저희 팀이 그렸던 아이디어 검증과정에 대해서 소개해드립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 AmplifyAI는 왜 Lead Generation 비즈니스를 시작하게 되었는지 말씀드립니다.


'아이디어 불패의 법칙'에서 말하는 필승전략

  

아이디어 불패의 법칙이라는 책을 아시나요? 이 책의 딱 한 가지의 핵심을 말씀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책에서 아이디어가 성공할 확률은 단 1%라고 말합니다. 그럼 이때, 무조건 성공하는 방법은 있다면 그건 무엇일까요? 그건 바로 100번을 시도하여서, 1 단위의 성공할 아이디어를 찾는 것입니다. 그럼 이를 위해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할까요? 바로 100번을 시도할 능력을 길러야합니다. 


성공확률이 1%라면, 우리는 100번 시도하면 성공합니다.


100번 시도를 하기위한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 우리는 이를 수치화해야합니다. 저는 보유자원과 투입비용의 개념을 더해서 아래와 같은 방정식을 만들었습니다. 

우리가 현재 보유한 자원 > 투입비용 총합(한 단위 당 투입비용* 아이디어검증 실행횟수)   

 

해당 방정식에서 변수와 상수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면, 

1. 우리가 현재 보유한 자원(상수) : 초기투자금액. 제품이 없는 상태에서 투자받지않는 이상, 해당 값은 처음 값에서 변하지 않습니다. 

2. 아이디어검증 실행횟수(상수) : 우리는 위 논리에서, 100번 시도해야만 성공한다고 가정하였기에, 이 숫자는 100에 가까운 숫자로 상수로 볼 수 있습니다. 

3. 한 단위 당 투입비용(유일한 변수) : 우리가 계획을 통해서 줄이는 통제가능한 유일한 값. 결국 100번 실행하기위해서 해당 변수를 줄여야합니다. 


우리는 유일한 변수인 '한 단위 당 투입비용'을 줄여야합니다. 

이해를 위해 이를 차트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00번 시도를 현재보유자원 이내에서 해낸다면 우리는 성공합니다. 이는 기울기가 낮은 파란 그래프에 해당합니다. 이와 반대로, 기울기가 큰 빨간 그래프는 100번 시도 이전에 현재 보유자원을 다 소모하였기 때문에, 실패하게 됩니다. 결국 성공과 실패를 가르는 핵심은 차트의 기울기에 해당하는 ‘한 단위 당 투입비용'을 줄이는 것! 인거죠.


AmplifyAI팀의 실제예시 : 딱 10번만 실패합시다. 


저희는 직장을 다니면서 사이드프로젝트로 시작한 팀입니다. 사이드프로젝트에서 일반적인 창업아이템 발굴확률을 10%로 가정하여서 시작하였죠. 그렇다보니, 저희는 '10번 시도'를 하면 창업을 위한 아이디어를 확정 지을 수 있다는 공동목표를 잡았습니다.

이제 이를 위해 투입가능한 예산을 잡았습니다. 

현재 저희가 보유한 자원 :  현금 200만원 / 작업기간 6개월 (총 10번 시도 필요)

1 건당 검증비용 : 현금 20만원 / 작업기간 18일  

이렇게 계산해보니, 1건당 검증비용과 작업기간이 굉장히 한정적인 것을 깨달았습니다. 해당 예산을 근거하여, 이제부터 한정된 자원과 시간을 어떻게 활용해서, 우리의 아이디어를 검증할지 고민하게되었습니다. 그렇지만 고생 길은 지금부터 시작인데,,


이후 계속!



매거진의 이전글 GPT와 스프레드시트로 1달 만에 200만원 매출까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