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를 졸업 후 교사가 되기까지 약 10년. 길다면 길지만, 짧다면 짧을 수 있는 이 기간에 한국 교육계에 큰 변화가 있었다는 건 부정할 수 없다. 어릴 적, 우리는 교실 앞으로 겁먹은 표정으로 나가 손바닥을 맞거나 벌을 자주 섰다. 숙제를 안 했을 때는 물론이며, 종소리에 제대로 앉아 있지 않아서 오늘 공부할 페이지를 펴지 않아 여러 체벌을 받았다. 지금은 감히 상상할 수 없는 일이기도 하다.
그중 제일 환상적이었던 건 '두발 규정'이었다. 고등학교 신입생 OT 때의 일을 아직 잊을 수 없다. 학교에 도착하니, 아주 심플한 학교 매뉴얼 책자 하나를 우리에게 주었다. 제일 앞장에는 '용의' '복장' 등 여러 딱딱한 단어들이 눈에 띄었다. 그중 단언컨대, 한눈에 들어왔던 단어는 바로 '두발 규정'이었다. 어서 문장을 초스피드로 스캔하여 'cm'라는 단어를 찾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 노력 끝에 비슷한 문자를 발견했다. 'mm'. 가슴이 두근거렸다. 그런데, 앞에 쓰인 숫자가 어딘가 좀 이상했다. '15'
얼른 필통 속의 자를 꺼내보았다. 15mm가 과연 어느 정도였을까 싶어였는데, 그 자리에서 머리카락 한 올을 뽑아 바로 재어 보았다. 신입생 OT라 나름 단정하고 짧게 잘랐다고 생각했지만, 1.5cm 에는 터무니없었다. 아니, 솔직히 사실 말이 쉬워 15mm이지, cm로 변환하면 1.5cm였다. 어떻게 머리에 나 있는 머리털이 전부 1.5cm 이하가 될 수 있을까. 내 고등학교 1학년은 그렇게 절망으로 시작되었다.
신입생으로 등교하는 첫날이었다. 같이 등교하는 학생들을 보니 승려가 따로 없었다. 이곳은 '학교'인가 '절'인가. 교과서 공부가 아닌, 불경 공부를 하러 간다고 해도 믿을 분위기였다. 그럼에도 교문에 서 계신 학생부 선생님은 대충 눈어림만으로도 학생들을 쉽게 잡아냈다. 마치 눈에 AI 라도 장착한 듯 1.5 cm 이상과 이하를 정확히 구별해 냈다. 나중에 통과하지 못한 학생들의 말을 들어보니, 그 기준은 "빡빡 밀었나"였다. 빡빡이가 아니라면, 이 학교 학생이 될 수 없었다.
평생 밀어보지도, 밀어보려고 생각도 하지 않았던 머리를 이렇게 밀게 되니 너무 억울했다. 무엇보다 주변의 시선이 너무 신경 쓰였는데, 버스를 타면 사람들이 나만 힐끔 보는 것만 같아 너무 부끄러웠다. 학교에서는 공부하라는 의미로 머리를 밀게 했지만, 그 덕에 공부가 잡히지 않았다. 거울 속 나의 외모를 봤을 때, 충격적 이서 외출 때마다 큰 스트레스를 받곤 했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4월이 되었다. 또다시 머리를 검사하는 시즌이 되었다. 어느 정도 사람다워지니, 학교에서는 또다시 머리를 잘라라고 했다. 이번에는 기준을 조금 더 심플하게 알려줬다. 머리가 손에 잡히지 않아야 한다고 했다. 역시 이 학교는 우리가 사람답게 보이는 걸 원치 않은 게 분명했다.
그리고 내 마음이라도 읽은 걸까. 교실로 돌아가는 길에 복도에 '두발자유'라 적혀 있는 포스트잇이 붙여져 있었다. '정말 그런 날이 올 수 있을까'. 그리고 '그렇게 되면 정말 좋겠다' 하며 기분은 좋았다. 달콤한 상상을 하며 모퉁이를 돌아서 교실에 들어오는 순간, 코너에서 선생님의 큰 목소리가 들렸다.
"이게 뭐야!"
학생부 선생님이 얼굴이 빨갛게 달아올라 있었다. 해당 포스트잇을 보며, 화가 난 모양이었다. '그럼 그렇지.' 달콤했던 꿈이 단 5초 만에 산산조각이 났다. 그런데, 다음 날 복도에는 포스트잇이 1개가 아닌, 3개가 붙여져 있었다. 문구는 똑같은 4글자였다. '두발자유'. 하지만 어제 본 글씨체와 달랐다. 이번에는 다른 학생이 붙인 게 틀림없었다.
놀랍게도, 날이 갈수록 포스트잇 개수는 시간이 흐를수록 늘어났다. 복도를 넘어 엘리베이터, 각 교실, 교무실까지 곳곳에 붙기 시작했다. 날이 갈수록 포스트잇은 늘어났지만, 붙이는 장면을 본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학생부 선생님은 도대체 누가 이런 짓을 하냐며, 걸리면 가만두지 않겠다고 으름장을 내놓았다.
그의 강압감은 오히려 반감을 사 얼굴도 모르는 학생들을 형해 유대감을 생기게 했다. 내 마음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진짜 두발 자유가 일어날 수 있을까. 조마조마했지만, 나도 동참하고 싶어졌다. 가방에 있던 포스트잇 하나를 집어 들었다. 아무도 보이지 않게 팔로 가려 또박또박한 글씨로 '두발 자유'를 썼다.
학생부 선생님들이 이번에는 더 씩씩대며 쉬는 시간에 교실문을 열어재꼈다. 그들은 모든 학년의 교실을 돌아다니니며, 큰소리로 말했다. "CCTV를 돌려 볼 거고, 해당 학생들 무조건 찾아내 징계할 거야." 그리고 단단할 것 같았던 우리 연합은 금이 가기 시작했다. '징계'라는 단어 때문이었다. 어떤 걸로 징계를 할지는 모르나, 대입을 앞두고 있는 우리에게는 상당히 큰 위협이었다.
징계 그 한마디에 시들해지기 시작했다. 와해되기에 충분했다. 포스트잇 개수는 줄어들었고, 교사 눈치를 보는 묘한 분위기가 생겨냈다. 마치 '입학사정관제'라는 제도가 시작될 쯤이라, 생활기록부의 내용이 정말 중요했기에 '징계'라는 단어는 우리에게 치명적인 단어였다. 아름다웠던 혁명이 쇠하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의미가 없는 건 아니었다. 학생부 선생님들의 두발 검사가 꽤 느슨해졌기 때문이다. 횟수가 줄어들었다는 건 사실 우리 모두가 느낄 정도였다. 무엇보다 학교에서 두발 규정 수정 문제에 대해 진지하게 논의하고 있다는 말이 들려왔다.
우리의 작은 인권 운동은 정말로 아름다웠다. 포스트잇에 기대어 얼굴도 모르는 서로를 믿었고, 그 믿음은 끈끈했다. 자신의 솔직한 의견 표출에 대한 경험은 어디서도 바꿀 수 없었으며, '어떤 경로로라도 변화를 외치는 사람이 있어야 변화는 일어난다'는 교훈을 얻게 되었다. 실패로 귀결되었지만, 사실상 승리라 말할 수 있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