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그루터기샘 Dec 06. 2023

진실함으로 선택한 용기

'어린이'라는 교과서


우리 반에서 대 소동이 일어났다. A가 인형을 잃어버렸고 B가 인형을 찾아주었다. 그런데 C말로는, B가 A의 인형을 가져가는 것을 봤다는 것이다. B는 D의 자리에서 인형을 찾았다고 하며 가지고 왔단다. 아이들이 떼로 몰려와 나에게 그 말을 하는데 순간 B는 왜 그랬을까 궁금했다.


그리고 그것을 본 사람은 C 말고도 한 명 더 있었다. 정말 봤냐고 하니 그렇다고 했다. "B한테 왜 그랬냐고 물어봤어?"라고 묻자, 아이들은 "아니요" 하길래, "그럼 한 번 물어봐." 그러자, 아이들은 떼로 몰려가 B에게 물었다. 그러자, B가 그런 적 없다며 울기 시작했다. 그 상황이 정말 난감했다.  


술렁이는 교실을 진정시키기 위해 우선은 모른 척했고, 잠깐 B를 교실 밖으로 불렀다.

평소 B는 모범생이다. 그러면서 굉장히 내향적인 아이다. 학기 초에 적응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렸고, 지금은 명랑하게 학교생활을 잘 하고 있다. 많은 친구를 사귀지는 않지만, 한 두 명과 깊이 사귈 줄 아는 또래보다 조금 성숙한 아이다. 그래서 아니라고 우는 B에게 질문도 조심스러웠다.

그럼에도 나는 아이들과 나의 신뢰관계를 믿고 정면승부를 택했다.


"선생님한테 솔직하게 얘기해 줄 수 있을까? 진짜 솔직하게. 그래야 선생님이 널 도와줄 수 있어. 우린 누구나 실수할 수 있고 실수한 다음이 가장 중요해. 진실해야 바로잡을 수 있어. 사실 선생님도 그 상황에 너처럼 행동했을 수도 있어."


끝까지 아니라고 하면 어쩔 도리가 없는 일인데도 절대 아니라고 울고 있는 아이한테 어떻게 이렇게 말할 수 있었을까. 지금 생각해 보면, 우리 반 아이들에 대한 믿음이었던 것 같다. 그래도 당시엔 누구의 말이 진실인지 알기 어려웠다. 그래도 한 번은 물어야 했다. 그때, B는 진실함을 선택했다.


"선생님, 사실은 제가 저도 모르게 그 인형을 제 가방에 넣었는데 그냥 돌려주면 제가 가져갔다고 의심할까 봐 D자리에서 주운 것처럼 했어요. 오해받을까 봐 그게 너무 무서웠어요."


어떤 상황인지 짐작이 갔다. B는 A 앞에 앉는데, 인형이 바닥에 떨어져 있는 것을 보고 자연스럽게 자신의 가방에 넣었고, 그것을 알아차렸을 때는 이미 가방에 넣은 상태였다. 내향적인 성격의 B입장에서 그냥 돌려주자니 의심을 받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을 것이다. 그런데 하필 C가 그 모든 상황을 멀리서 본 것이다. 솔직하게 말해준 B가 너무 고마웠다. 용기있는 선택을 한 B를 꼭 안아주었다.


"그랬구나. 충분히 그럴 수 있어. 선생님이라도 순간 당황하면 그렇게 행동할 수 있어. 솔직하게 말해주어서 정말 고마워. 엄청난 용기가 필요했을 텐데, 그럼 이제 바로잡으면 되겠다. 친구들에게 솔직하게 말해도 될까?"

B는 고개를 끄덕였다.

"혹시 더 말해야 하는 진실이 있으면 알려줘. 더 솔직해지고 싶은 것 있어?"

B는 없다고 했다.


B와 함께 교실에 들어가자, 정적이 흘렀다.

"얘들아, 우리 1년 가까이 미덕을 배웠잖아. 너희들 안에 52개의 미덕이 있다고 했잖아. 너희들 안에 이 미덕이 늘 옳은 선택을 하도록 도와주고, 너희들이 어려움에 처해있을 때 도와주잖아. 그런데 여기에 가장 센 놈이 있어. 뭘까?"

아이들이 여러 가지 미덕들을 말했다.

"용기요!"

"사랑이요!"

"명예요!"

"예의요!"

"맞아 그 미덕들도 다 훌륭한 미덕이지. 그런데 가장 센 놈은 진실함이야. 진실함은 엄청나게 강력해.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거든. 그리고 진실함은 늘 용기와 함께 다닌다. 용기가 없으면 진실함을 선택할 수 없거든. B얘기를 들어보니까 어떤 상황인지 알 것 같아. 선생님이라도 그랬을 거야. B가 진실하게 말한 용기를 선생님은 정말 칭찬해주고 싶어. 왜냐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진실함을 선택할 용기가 없거든. 그러니 진실한 사람을 우리가 신뢰하게 되는 거야."


아이들이 정말 집중하고 있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어떤 수업보다 중요한 미덕수업이었다.

A한테 물었다.

"언제 잃어버렸지?"

"도서관 다녀와보니 없었어요."

"그럼 도서관 가기 전에 인형을 어디에 뒀어?"

"책상 위예요."

"아, 그랬구나. A가 책상 위에 올려놓고 간 인형이 바닥에 떨어졌나 봐. 그런데 B는 떨어진 것을 그냥 생각 없이 내 건 줄 알고 주워서 가방에 넣었대. 그러다가 가방에 인형이 있는 것을 보고 돌려줘야겠는데 그냥 돌려주면 가져갔다고 오해할까 봐 그게 너무 무서워서 D자리에서 주운 것처럼 했대. 듣고 나니까 어때? 그럴 수 있겠지? 선생님이라도 그런 선택을 할 수 있어. 순간 당황해서 그랬을 거야. 그런데 이 모든 진실을 솔직하게 용기 있게 말해준 B한테 우리 박수해 주자."


아이들의 열화와 같은 박수가 쏟아졌다. 상황을 이해하는 듯 아이들은 고개를 끄덕였다. 여기에서 그만두면 안 된다고 생각했다. 서로 미안함과 고마움을 표현할 수 있게 해주고 싶었다. 해소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해 보였다.


"진실함의 용기를 보여준 B에 대한 배려로 너희들이 지켜줄 것이 있어. 이 시간 이후로는 이 이야기를 더 이상 하지 않는 거야. 그리고 혹시 미안함이나 고마움을 표현하고 싶으면 지금 서로 찾아가서 미안하다, 고맙다 표현해 주는 거야. 자, 해볼까? 자리에서 일어서."


아이들이 분주하게 돌아다니며 서로 오해해서 미안하다, 솔직하게 말해줘서 고맙다. 활발하게 표현했다. 아이들의 표정이 환해졌다.


몇몇의 아이들이 내게 다가왔다.

"선생님, 저희들에게 미덕을 가르쳐주셔서 감사해요."

"선생님, 오해를 풀어주셔서 감사해요."

"선생님, 우리 반 선생님이 되어주셔서 감사해요."


아이들을 꼭 안아주었다.

"그렇게 말해주어 고마워. 선생님에게 표현해 주어 고마워. 선생님을 믿고 신뢰해 주어 고마워."

 

나는 아이들에게 미덕을 가르친다. 이론으로도 수업으로도 활동으로도 가르친다. 그런데 어떤 활동보다 깊은 배움이 일어나는 건 문제를 통해서이다. 그리고 어떤 책 보다 강력한 교과서는 사람이라는 교과서인 것 같다. 사람 중에서도 "어린이'라는 교과서는 더 강력하다.


아이들에게 진실함과 용기라는 다이아몬드가 생겼길 바란다. 그 미덕 다이아몬드는 신뢰라는 다이아몬드와 함께 자랄 것이다. 아이들과 이런 배움이 있는 교실을 나는 사랑한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