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은빛고래 Oct 04. 2021

1. 아픔의 의미

J.M. 바스콘셀로스 [나의 라임오렌지나무]





< 아픔의 의미 >

다섯 살 꼬마 제제는 브라질 어느 가정의 육 남매 중 다섯째입니다. 제제의 집안 매우 가난했습니다. 아버지는 실직 상태였으며, 어머니는 아픈 몸에도 공장을 다니며 가족의 생계를 짊어졌습니다. 형제자매들은 모두 어렸기에 일을 할 수 없었습니다. 제제의 집안은 끼니도 제대로 해결할 수 없을 정도로 가난했습니다. 팍팍한 삶으로 마음의 여유가 없는 가족들은 다섯 살 제제의 말썽을 너그러이 받아주지 못했습니다. 제제에게는 세명의 누나와 한 명의 형이 있었습니다. 가난에 찌든 각자도생(各自圖生)의 집안에서 형제자매들의 존재는 제제에게 큰 억압이었습니다. 제제는 매우 영특했습니다. 누구도 제제에게 글을 가르쳐 주지 않았지만, 이웃 아저씨와 종종 함께 시간을 보내며 어깨너머로 글을 익혔습니다. 다섯 살 또래 사내아이들이 그렇듯 제제 또한 말썽꾸러기입니다. 하지만 제제는 조금 달랐습니다. 영특한 그 머리만큼 기발한 상상력을 발동하여 장난기를 발휘했습니다. 누군가를 골탕 먹이거나, 곤경에 빠뜨리는 일을 저지르곤 했습니다. 사고뭉치로 낙인찍힌 제제는 이웃들에게 온갖 욕설을 듣는 처지가 되었습니다. 더욱 서글픈 건 부모님과 누나, 형에게도 매를 맞고 꾸지람을 듣는 것이었습니다. 부모님과 가족들의 보살핌을 받지 못한 제제는 마음을 둘 곳이 없었습니다.


아버지의 실직으로 인해 제제의 집안은 이사를 했습니다. 제제는 새로운 집 마당에 있는 오렌지 나무를 발견하고 밍기뉴란 이름을 붙여줬습니다. 그리고 밍기뉴와 대화를 나누는 신기한 경험을 합니다. 제제는 밍기뉴와 친구가 되어 속마음을 털어놓고 이런저런 얘기를 나눕니다. 마음 둘 곳 없는 제제에게 오렌지 나무는 큰 위안이 되었습니다. 제제의 호기심과 영특함은 집 밖에서 꽃을 피웠습니다. 제제는 사람들의 마음을 잘 이해했습니다. 각각의 사람들이 처한 상황을 잘 이해했고, 자신의 마음으로 그들의 빈 곳을 채워줬습니다. 이는 누구와도 친구가 될 수 있는 능력이었습니다. 제제는 외로운 담임 선생님의 마음을 위로해주었고, 악보상 아저씨의 비즈니스 파트너가 되었습니다. 집안에서는 사고뭉치 악동 취급을 받던 제제였지만, 집 밖에서는 주변 사람들에게 황금 같은 마음씨를 선물하는 아이였습니다.


뽀르뚜까 아저씨는 제제의 원수였습니다. 그의 자동차에서 장난을 치다 잡혀 온갖 굴욕을 당한 제제는 뽀르뚜까를 저주했습니다. 어느 날 제제는 형과 장난을 치다 발바닥에 큰 부상을 입었습니다. 그리고 아픈 몸으로 우연히 마주친 뽀르뚜까에게서 자신을 걱정하고 돌봐주는 생각지도 못한 따뜻함을 느꼈습니다. 제제는 자신을 배려해주고 존중해주는 뽀르뚜까에게 감동했고, 그와 친구가 되기로 하였습니다. 가족이 없는 뽀르뚜까는 속 깊고 영특한 제제가 사랑스러웠습니다. 둘은 영혼의 파트너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우정은 오래가지 못했습니다. 어느 날 뽀르뚜까 아저씨가 사고로 세상을 떠난 것입니다. 제제는 자신이 가장 아끼는 친구를 잃었습니다. 슬픔에 잠긴 아이는 비통함으로 앓아누웠고 식음을 전폐했습니다. 이별의 아픔은 제제를 죽음의 언저리까지 몰고 갔습니다. 가족과 이웃들은 사경을 헤매는 제제를 걱정했습니다. 하지만 결국 시간이 약이었습니다. 얼마 후 몸을 회복한 제제는 이제 더 이상 오렌지 나무 밍기뉴와 얘기를 나누지 않았습니다. 뽀르뚜까 아저씨와의 이별과 아픔으로 제제의 동심이 한 꺼풀 벗겨진 것입니다. 사랑하는 이의 죽음은 살면서 우리가 겪는 가장 큰 마음의 고통입니다. 제제는 이러한 경험을 통해 삶이라는 현실에 눈뜨게 됩니다. 이별과 죽음을 통해 한층 성숙해진 것입니다. 우리는 왜 아픔을 통해 성숙해지는 걸까요. 삶의 아픔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일까요.




작가의 이전글 부조리에 맞서는 인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