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코로나 이후 직업시장에 대한
고민들

코로나 이후 고용시장

코로나 이후 직업시장에 대한 짧은 고민들          


-코로나 이후 우리 직업시장은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숫자의 문제는 다양한 원인들로 변질된다. 중요한 것은 직업의 질과 개인들의 만족이다. 좋은 직업의 조건은 더 좋아졌지만, 좋은 직업이라 칭할 만한 일자리는 줄어들고 있다. 개인들 역시 양극화로 비교 눈높이는 높아지는데,  현실은 더 나빠졌다. 코로나는 외형보다 내실에서 고용시장을 침식시켜가고 있다. 

시장은 점점 더 양극화로 쏠릴 텐데 어떤 대안이 있는 걸까?          


-비가역적이라는 말이 있다. ‘예전으로 돌아갈 수 없다’는 뜻이다. 코로나가 끝나면 기존의 상황들은 ‘돌아갈 수 있는 것’과 ‘돌아갈 수 없는 것’들로 나뉘어 질 것이다.

사람과 만나는 일, 문화, 예술, 여행 등은 가역적일 것이다. 사람들은 짓눌린 일상에 대한 보상이라도 하듯 폭발적으로 이를 소비할 것이다. 비가역적인 것들은 어떤 것들일까? 예를 들면, 모바일의 편의성에 기반한 주문, 혹은 최근 상황에서 살아남기 위해 구축한 직거래 시스템 등은 바뀌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그럼 코로나로 인한 경기악화로 인해 퇴사한 이들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 아쉽게도 금융위기 등에서 기존 기업들이 행한 기록을 보면 그들의 상황은 비가역적인 것이 될 가능성이 크다. 

즉 경기악화로 퇴직시키는 사람과 경기회복으로 뽑는 사람은 다를 것이라는 것이다. 

그럼 이 과정에서 직업적 손실을 입은 이들은 어떻게 될까?           


고용시장의 과거 피해자와 경기회복 후 미래 수혜자는 다를 가능성이 높다


-직업시장은 부장을 하던 이가 차장으로 가면 문제가 해결되는 세상이 아니다. ‘적절한 포지션에 가지 못하면 시장에서 배제되는’ 시스템에 가깝다. 배제된 이들은 사실상 직업적 유랑난민이 된다. ‘가고 싶은 일’이 아니라 ‘갈 수 있는 일’만 찾게 된다. 

대개 ‘누구나 갈 수 있는 일’들은 참여자에게 가혹한 조건을 요구한다. 

그들에겐 어떤 대안이 있을까?       


-직업의 문제는 ‘반드시 살아남아야 한다’는 명제는 있지만, ‘어떻게 살아남아야 할지’에 대해서는 답을 잘 주지 않는다. 저마다 처한 상황이 다르고 복잡하기 때문이고, 한편으로는 개인들이 이에 대해 답을 구하는 진지한 노력을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퇴직 시에 재취업을 지원하는 전직지원서비스를 받는 것에 대해 회사가 돈을 지불하는 상황에서조차 ‘무슨 도움이 되겠냐’며 그 험한 길을 혼자 가겠다는 이도 있다.  잘 알아서가 아니다. 잘 몰라서 그런 선택을 한다. 

그럼 대중에게 오픈된, 그러면서도 효과가 뚜렷해 보이는 취업지원시스템이란 것은 가능할까? 

매거진의 이전글 야구리그에 빗대어 본 직업리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