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경희 Feb 06. 2018

혼란의 2월, 설레는 3월

미술시간 기록을 시작하며

 학교의 2월은 태풍이 몰아치는 계절이다. 생활기록부와 각종 공문서를 마무리하느라 교무실은 눈코 뜰 새 없이 바쁘다. 교사들의 인사이동이 있는 때도 이때이다. 일 년 동안 맡을 업무와 학년, 담임반을 배정받아 마음이 싱숭생숭하여 일이 손에 잘 잡히지 않는 시기이기도 하다. 

 

 3월부터 나는 새로운 학교에서 근무하게 된다. 현재 학교에 전입 온 지 만 2년 만의 일이다. 


 올해의 목표는 수업을 기록해보는 것이다. 나는 어쩌다가 이런 장한(?) 생각을 하게 된 것일까? 여기에는 우연히 읽은 인터넷 기사 하나가 동기가 되었다. 고졸 출신으로, 포스코의 첫 고졸 명장 출신 상무보가 된 손병락 님의 인터뷰 기사였다.   


“기술자는 현 상황을 정확히 기록하고 남기고 또 공유해야 합니다. 그래야 공동의 기억이 돼 기록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죠.”


 기록이 중요한 것이 비단 산업 현장의 경험 만일까. 나는 교사들 하나하나의 경험도 기록되고 서로 공유하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나는 교사가 자신이 수업하고 있는 교실 문을 넘어서 경험을 공유하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잘 안다. 교실을 연다는 것은 대단한 용기가 필요한 일이다. 교실을 연다는 것은 그만한 신뢰가 쌓이지 않고는 힘든 일이다. 교사는 교실에서 자신만의 세계를 만들 수도 있지만 그 안에서의 상처 또한 오롯이 혼자만 안고 가야 한다. 그만큼 교사는 교실 안에서 외로운 존재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그리고 또 하나, 나의 교직생활을 돌아보고, 남은 기간을 보다 보람 있게 지내고 싶어서이다. 만일 내 수업을 기록으로 남기게 된다면 나는 내 수업을 관찰자의 입장에서 바라볼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러면 여태껏 몰랐던 다른 어떤 것이 보이게 되지 않을까? 그것은 나를 교사로서 좀 더 성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3월이 코 앞에 다가왔다. 설레기도 하고 두렵기도 하다. 그간 해 왔던 수업을 정리하면서 새 학교에 맞는 내용으로 재구성해보고 있다. 아마도 실제 교실에 들어가게 되면 또다시 달라지게 될 것이다. 누군가는 그랬다. 수업은 살아있는 생물이라고. 아이들의 반응에 따라, 교사에 따라, 물리적 환경에 따라 끊임없는 변주를 이루는 것이 수업이라고. 


 처음 마음이 일 년 후에도 여전하기를 스스로 바라본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