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Charlie L May 10. 2020

한국 토종 MBAer의 해외 현지 취업 Tip

Part 3. 이제는 전쟁이다

미국 MBA를 시작한 이후로, 인생에는 노력만으로 안 되는 게 있다는 걸 다시 한번 뼈저리게 배웠다.    
 
MBA 학기 시작하자마자 정장 싸들고 각종 채용 행사에 참가하고, 2학년 선배들 바짓가랑이 붙들고 인터뷰 연습 부탁하고, 연말연시 내내 책상머리에 앉아 콜드 콜(Cold Call)을 했어도, 그래도 안 되는 건 안 되는 거였다.


1학년 인턴쉽, 2학년 풀타임 모두 온 캠퍼스 리쿠르팅에서 실패를 맛봤다. 


그래서 오프캠퍼스 리쿠르팅을 시작하게 되었는데, 한 달, 두 달이 지나도 결과가 나오질 않다 보니 하루하루 심신은 지쳐갔고 자신감은 뚝뚝 떨어졌다. 한국에서 학부를 졸업할 때에는 몇십 개 지원하면 됐을지 몰라도 여기는 몇 백개를 고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고삐를 놓지 않았던 결과, 근무 시작 한 달 전에 인턴십을, 졸업식 한 달 전에 정규직을 각각 구했다. 이 두 달을 제외하고는 MBA 정규과정 2년 내내 발 뻗고 편하게 잠을 청한 날이 없었다는 뜻이다.


물론, 사람에 따라 짧게는 2~3개월 만에 리쿠르팅 끝내는 친구들도 있지만, 인터내셔널들의 해외 현지 리쿠르팅은 나처럼 장기전이 될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


그래서, 내 경험에 따른 한국 토종 MBAer의 현지 취업 팁을 몇 가지 적어 본다. 




1. 기존 직장 경력이 중요하다.


보통 MBA 온 캠퍼스 리쿠르팅에서는 Ledership development Program(LDP)의 일환으로 기업 별로 각각 일정 학생 수의 기수를 뽑은 후 다양한 보직에 로테이션을 돌린다.


LDP에서는 이 사람이 Result-driven 한 사람인지, General Manager가 될 만한 리더십 자질이 있는지에 많은 무게 중심을 두기 때문에, 직무를 변경코자 하는 Career Changer 들에게도 다소 호의적인 편이다.


대신, 이력서와 인터뷰 전반에 있어서 전 직장에서 주어진 일에 오너십을 가지고 임팩트 있는 성과를 창출했으며, 본인 스스로 전반적인 비즈니스 감각이 있고 커뮤니케이션 역량이 뛰어난다는 점을 부각해야 한다.


반면에 오프 캠퍼스 리쿠르팅에서는 "MBA preferred"한 경력직 공고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지금 당장 현업에 투입되어도 무리 없이 일 할 수 있는 사람, 즉 전 직장경력과 매칭이 되는 사람을 찾을 가능성이 높다.


내 두 번의 오프 캠퍼스 리쿠르팅 모두 나의 지난 경력과 어느 정도 겹치는 부분이 있었다. 인턴십 때에는 나의 Product Development 경력이, 풀타임 때에는 나의 P&L 관리 경험이 그러했다.


사실 개인적으로 인터내셔널이 본인의 지난 경력과 완전히 무관하거나, 혹은 지난 경력이 하등 도움이 되지 않는 일을 하게 되는 건 다소 리스크 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미국 기업들은 성과 중심의 문화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대로 실력 발휘를 못하는 사람을 회사에 오래 데리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2. 네트워킹, 정말 필요한가?


채용 담당자 앞에 놓인 수많은 이력서 중에서 내 이력서가 읽히게 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킹이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이력서를 봤는데 마음에 들지 않으면 어차피 인터뷰로 넘어갈 수 없다. 만약 인터뷰로 넘어갔더라도 하이어링 매니저 마음에 들지 않으면 오퍼를 받을 수 없다.


결국 네트워킹보다 더 중요한 건 이력서와 인터뷰라고 말하고 싶다. 해외 MBA 졸업생들의 연봉이 일반 3~5년 차 경력직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회사 측에서는 단순히 네트워킹 역량 하나만을 가지고 사람을 뽑을 수 없다.


콜드 콜(Cold Call)에 익숙하지 않은 인터내셔널에게 네트워킹은 정말 쥐약이다. 만약 이 때문에 너무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면, 굳이 네트워킹에 크게 목숨 걸지 말라고 하고 싶다. 괜히 몸에 맞지 않는 옷을 입으려다 탈 나지 말고 그냥 적당히 필요한 만큼 하는 선에서 멈춰라.


물론, 네트워킹을 잘 한 사람들의 이력서가 우선 검토 대상으로 올라올 수 있다. 하지만, 그들이 주어진 모든 인터뷰를 통과하고 적합 판정을 받으리라는 보장은 없다. 결국, 채용 매니저들은 적합한 후보자가 나올 때까지 계속해서 이력서를 검토하고 인터뷰를 진행할 것이다.   



3. 스트레스 관리해라.


앞서 말했듯이, 인터내셔널들의 해외 현지 취업은 종종 장기전으로 가곤 한다. 이 장기 마라톤에서 끝까지 정신줄 붙들고 결승전까지 달리려면 주기적으로 정신건강 관리를 해 줘야 한다.


운동을 해도 좋고, 연애를 해도 좋고, 요리를 해도 좋고, 이따금 여행을 다니는 것도 좋다. 뭐든지 해라. 헬스, 요가, 축구, 농구, 테니스, 골프 등 운동은 체력관리에도 좋기 때문에 특히 추천한다.


참고로 한국에서는 눈을 씻고 찾아봐도 없지만 미국에서는 요가 강습장에서 남자 수강생을 보는 일이 굉장히 흔한 일이다. 1시간 동안 온몸을 뒤틀며 스트레칭하고 땀 쭉 뺀 후에 마지막 5분 명상하고 나면 그렇게 기분이 상쾌해지는 것도 없다.  


이렇게 소소하게 운동하는데 돈 아끼지 말자. 어차피 한국 돌아가면 다시는 못 가질 소중한 시간이다.



4. STEM, 할 수 있음 해라. 


미국에서는 MBA를 졸업하면 1년짜리 OPT(Optional Practical Training)를 받을 수 있다. F1 학생 비자 신분으로 미국 내에서 합법적으로 일을 할 수 있는 장치이다.


1년 이내에 H1 취업 비자를 신청하고 미정부의 승인을 받으면 미국에 3년 이상 장기로 머물 수 있고, 그 기간이 늘어나면 영주권까지 신청할 수 있다. 하지만, 매년 정해진 할당량에 비해 H1 취업 비자 신청자가 너무 많다 보니, 현재 미 정부에서는 "로터리 추첨제"로 H1 비자 서류 검토 대상자를 선정하고 있다.


문제는 운이 나빠 로터리에서 떨어지는 경우이다. 미국 채용 담당자의 입장에서는 1년을 잘 가르쳐 놨더니 덜컥 해외지사로 내보내거나 어쩔 수 없이 근로 계약을 종료해야 하는 상황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학위가 있다면 1년짜리가 아닌 3년짜리 OPT를 받게 된다. 이 말은 즉슨 H1 비자가 있든 없든 최소 3년 동안은 현지에서 정식 근무를 할 수 있고, 1년에 한 번씩 총 3회로 취업 비자 로터리를 돌릴 수 있다는 뜻이다.   


그래서 같은 인터내셔널 MBA Candidate 이더라도 STEM 학위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리쿠르팅 서류 합격률이 몇 배 이상 차이가 난다. STEM 학위 없이 현지 리쿠르팅을 했던 내가 바로 그 산 증인이다! (눈물)




그러나 다행히도 요즘에는 인터내셔널들에게 희소식이 생겼다.


예전에는 MBA 재학 중 Science 복수학위를 획득함으로써 STEM을 얻었지만 (이러한 경우 재학기간이 2년에서 3년으로 늘어남), 점점 줄어드는 인터내셔널 학생들의 수를 어떻게든 다시 원상 복구하기 위해 2020년을 전후로 미국의 Top MBA 학교들이 MBA 2년 과정에 STEM을 들여오기 시작했다.

 

만약 통계학 및 코딩의 Data Science 분야가 나와 정 맞지 않는다면 어쩔 수 없다. 하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 참을만하다면, 반드시 꼭 STEM을 받아서 나의 서류 합격률을 꼭 높이기를 바란다. 이렇게 하는 게 망망대해에서 네트워킹하는 것보다 훨씬 바른 지름길이 될 것이다.


참고로, 캐나다 MBA는 3년짜리 워크 퍼밋을, 홍콩은 조건에 따라 1~3년 워크퍼밋을 받을 수 있다. MBA 지원학교를 선택할 때에는 반드시 국가 별로 이러한 워크 퍼밋 정책이 어떠한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단, 이러한 비자 및 워크 퍼밋 정책은 매년 변경될 수 있으니 반드시 그때그때 공식 웹사이트에서 직접 확인하기를 바란다.  




---

[MBA에 합격했습니다] 교보문고 바로가기

[GoBeyondKorea] 해외 MBA 어드미션 컨설팅 바로가기 



매거진의 이전글 MBAer의 해외 현지취업의 단상 (마이너리티 리포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