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영화 읽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각시 Jun 07. 2017

남성만을 위한 애니메이션, <너의 이름은>

<너의 이름은>은 눈과 귀가 즐거운 영화다. 사실적인 배경 묘사와 입체감을 불어넣는 명암 대비는 영화에 대한 몰입도를 높이기에 충분했다. 특히 혜성이 수놓은 밤하늘을 볼 땐 영상미가 주는 감동에 벅차올랐다. 서사를 이어주는 매개체로 중간 중간 흘러나오는 OST도 애니메이션 효과를 극대화했다.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명성에 절로 고개가 끄덕여졌다.

     
하지만 영화를 보면서 즐겁기만 한 건 아니었다. 시각적‧청각적 재미도 뛰어넘을 만큼 불편한 요소가 있었기 때문이다. 영화는 남학생 타키와 여학생 미츠하의 몸이 우연한 계기로 뒤바뀌며 이야기가 시작된다. 서로의 몸이 바뀌는 상황은 서사를 이끌어가는 주된 소재다. 그런데 이 과정을 그리는 방식이 지극히 전형적이면서도 일본스러웠다.


남성의 시선은 관객의 시선으로

                                                                                                             

감독은 ‘몸의 변화’를 철저히 남성의 시선에서 재현한다. 남성 영혼이 여자의 몸으로 들어갔을 때, 첫 번째 반응은 굴곡진 몸을 응시하는 것이다. 여성의 몸이라는 걸 인지한 뒤에는 호기심에 가득 차 몸의 이곳저곳을 더듬기 시작한다. 

여성 영혼이 남자의 몸으로 들어가는 반대의 경우엔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 호기심은 두려움이 된다. 탄탄한 가슴과 굵은 목소리로 이상하다는 걸 눈치 챈 미츠하는 몸의 변화를 ‘훑어보지’ 않는다. 만지는 것도 차마 조심스러워 소변을 볼 때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한다. 


영화는 타키가 미츠하의 가슴을 만지는 모습을 지겨울 정도로 반복해서 보여준다. 꿈을 매개로 서로의 몸과 영혼이 연결되는 만큼, 타키와 미츠하는 잠에서 깨어났을 때 변화를 알아차린다. 미츠하가 된 타키는 서로의 몸이 뒤바뀔 때마다 가슴을 주물 거린다. 미츠하의 동생이 언니를 깨우러 방문을 열었을 때 이러한 광경을 목격하며 ‘언니가 미쳤다’는 식의 서사가 몇 번이고 되풀이된다. 

                                                                                                                  

거침없이 변화를 탐닉하는 쪽과 어쩔 줄 몰라 하는 데 급급한 쪽이 성별로 나뉘는 셈이다. 바라보고 만지는 주체는 남성, 보여지고 터치되는 대상은 여성이다. 


영화에서 타키가 처음으로 미츠하의 몸으로 들어간 걸 보여줄 때, 카메라 앵글은 위에서 아래로 비춘다. 타키의 시선에서 잠옷 사이로 보일 듯 말 듯 한 가슴을 내려다본다. 관객은 그 시선 그대로 대상화된 여자의 몸을 ‘바라보고 느낀다.’ 남성의 시선은 관객의 시선이 된다. 여성에 대한 성적 대상화는 자연화된다.
     
남성이 여성의 몸을 응시하고 만지고자 하는 욕망을 당연하게 그리는 건 <너의 이름은>뿐만이 아니다. 일본 애니메이션에선 여학생의 교복 스커트가 바람에 날리는 장면이 자주 등장한다. 이는 이른바 남성 독자들을 위한 ‘서비스 컷’이다. 

애니메이션 속 남성 캐릭터가 여성 캐릭터에게 ‘팬티 좀 보여 달라’며 농담을 건네는 장면이 적지 않게 나오는 걸 보면서 경악을 금치 못했던 기억이 있다. 상대를 당황스럽게 만들고, 예의에 어긋나는 일이 ‘서비스’가 되고, 아무렇지 않은 농담이 된다. <너의 이름은>은 일본스러우면서 동시에 전형적인 남성중심적 시각을 담고 있다.


영화는 현실을 얼마나 반영하나


남성이 여성의 몸이 되었을 때, 현실을 반영한다는 영화가 보여줄 수 있는 게 고작 가슴을 주물럭대는 일밖에 없을까. <오마이뉴스> 시민기자 강은하씨가 쓴 글을 보면 ‘여성이 된다’는 게 무얼 의미하는지 보다 현실적으로 체감할 수 있다.   

                                                                                     

<학교선 여성, 밖에선 남성 이 생활을 끝내기로 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49369
<가슴이 나오기 시작했다, 난 용감해져야 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49811
  <'성 전이', 수술 성공…아주 신비로운 경험이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51246&CMPT_CD=SEARCH  

                                                                                                                

강은하씨는 남성에서 여성으로 성전환 수술을 한 트렌스젠더다. 그(여기서 ‘그’는 she/he가 아닌 사람을 지칭하는 뜻으로 씀)는 ‘어느 트렌스젠더의 여정’이라는 제목으로 총 3회에 걸쳐 쓴 글을 2014년 11월 <오마이뉴스>에 기고했다. 생물학적 남성으로 태어났지만 본인이 겪은 정체성의 혼란, 수술을 결심하게 된 계기 등 수술 전과 후의 경험, 그리고 그가 느낀 감정들이 기사 안에 담겨 있다.


"나를 힘들게 한 것은 지난 삶 동안 겪어본 적 없었던, '여성의 일상'에 숨어 그녀들을 찔러 온 께름칙한 시선들이었다. (중략) 한여름 땡볕에 더워 죽겠어서 얇고 짧은 옷을 입고 돌아다닐 때면, 내 몸을 대놓고 위아래로 훑는 아저씨들의 끈적한 시선이 나를 괴롭혔다. 그렇지 않아도 이제 갓 착용하기 시작한 브래지어의 갑갑한 착용감을 온종일 느끼느라 적잖이 스트레스를 받고 있던 나에게 그 끈적한 시선은 매우 짜증나는 것이었다."

                                                                                                               

2번째 기사 <가슴이 나오기 시작했다, 난 용감해져야 했다>는 여성이 되어가면서 겪는 문제들에 대해 논한다. 담배를 피울 때도, 데이트 비용을 낼 때도, 거리를 걸어 다닐 때도 남성과 여성은 다른 시선에 놓이게 된다고 말한다. 누군가에게는 당연한 일이, 다른 누군가에게는 당연하지 않은 일이 되는 것이다.
     
강은하씨가 쓴 글을 보면 일상 속에서 여성들이 얼마나 많은 통제와 억압을 겪고 있는지 알 수 있다. <너의 이름은>을 비롯한, 여성과 남성의 몸이 바뀌는 흔한 설정에서 간과되고 있는 건 단순히 다양성 차원의 문제가 아니다. 남성중심적 콘텐츠를 끊임없이 재생산하는 동안 부당한 현실을 끌어안고 살아가는 여성의 현실과, 여성의 목소리는 지워질 수밖에 없다. 재현되지 않은 현실은 현실이 아니게 된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