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트렌드헌터 정영민 Dec 22. 2016

동영상 전성 시대! 동영상으로 사업화 하기(1)

-트렌드헌터의 사업노하우-

동영상 전성 시대! 동영상으로 사업화 하기(1)


바야흐로 동영상 전성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앞으로 언제 대중화가 이루어질지 정확히 예측하긴 어렵지만 동영상은 결국 미래의 한 핫한 트렌드가 될 가능성이 높은 가상현실(vr)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미 동영상을 활용해 사업화에 성공을 하는 사람들이 많이 탄생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요즘 어린애들은 죽고 못 산다는 캐리와 장난감 친구들 같은 곳도 있을 것입니다.

캐리와 장난감 친구들은 이미 90만이 넘는 유튜브 채널 구독자를 확보하여 뽀로로를 제치기도 할 정도 입니다.





캐리와 장난감 친구들에서 영상으로 소개한 장난감은 금세 동이난다고 합니다.

그래서 일부 부모님들은 등골브레이커가 하나 생겼다고 불평을 하기도 할 정도라 합니다.^^;



이번엔 동영상을 활용한 사업화를 진행하는 곳중 헬스티비(tv)가 유튜브를 활용해 사업화하는 영역에 대해 간단히 소개를 해보겠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헬스티비가 초창기에 어떻게 성장을 했는지 등도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헬스티비는 저희 경영이사님께서 운영을하고 계시고 이름에 '티비'가 들어가있는 것처럼 방송을 통해 사람을 끌어모으고 사업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헬스티비의 유튜브 채널도 있는데( https://www.youtube.com/user/helthtv ) 현재 3만 6천에 가까운 구독자를 확보하고 있네요.


이 유튜브 영상으로 수익화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만 간단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헬스티비가 성장하는데 큰 도움이 됐던 것이 무엇인지, 현재 영상물들은 어떻게 제작되는지는 다음 글에서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위 이미지와 같이 한달에 230만원 가량의 유튜브 광고수익(애드센스)이 발생이 됩니다.


그리고 제가 1월에

동영상을 활용하여 오프라인 휘트니스 센터를 2천 만원으로 창업하고 마케팅부터 운영까지 모든 걸 오토로 돌아가게 만들었습니다. - http://me2.do/xVeSlBU5

와 같은 글을 올렸었습니다.




위 글의 내용과 같이 작년 연말에 일산에 휘트니스 센터를 2천 만원으로 창업하였고, 유튜브 영상 등을 활용해 마케팅을 진행해서 1개월에 100만원짜리 합숙 트레이닝임에도 시작과 동시에 매진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일산의 휘트니스 센터만으론 소화가 안 돼서 저희 사무실 근처(역삼동쪽)에 200평 규모로 휘트니스 센터를 하나 더 만들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구요.

모든 일의 중심엔 동영상이 있었습니다.


또한 헬스티비의 영상 주인공인(저희가 운영 중인 스토리채널인 다이어트 위너나 어플리케이션인 다이어트 빅북 앱에서도) 심으뜸 님이 대중에게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된 계기가 됐습니다.

지금 심으뜸 님은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1위도 몇 차례 기록하는 등 유명인으로 성장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올 4월 중순 무렵 헬스티비 쇼핑몰안에 수입 보충제를 탑제했습니다.( http://mall.htv.so )

이 수입 보충제 역시 유튜브 등에서 넘어와서 구매가 이뤄지고 있는데요.

광고 비용은 전혀 쓰지않고 순수하게 유입 된 사람들로 구매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4월 런칭하고 첫달 보충제 매출 입니다.

외부 마케팅을 전혀 하지 않고 순수하게 구매가 이뤄진 결과 입니다.






런칭후 1개월간 판매된 내역들입니다.


앞으로 판매 매출은 급속도로 성장을 할 것이고, 판매되는 품목들도 많이 늘어날 것입니다.

이와 같은 모든 일들이 라이브 방송 및 유튜브 영상 등을 통해 파생되고 있습니다.


동영상을 활용한 사업화를 열심히 진행 중입니다.


다음글에서는 헬스티비가 런칭 후 어떻게 성장을 해왔는지와 현재 유튜브 등에 올라가는 영상 등이 어떻게 제작되는지 간단하게 얘기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작가의 이전글 인스타그램을 활용하여 고객들의 재방문 유도하는 방법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