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여르미 Apr 20. 2021

행복한 완벽주의자 되기

<네 명의 완벽주의자>를 읽고


나는 별로 완벽주의 성향은

없지 않을까?

하고 생각해왔었다.




뭘 야무지게 해치우는 스타일도 아니고

게으르다는 말은 수도 없이 들었으며

무엇보다..


우리집은 너무 더럽다!!


(나는 청소하는 걸 너무 귀찮아한다.

완벽주의자들은 보통 집안도 깨끗산뜻하게

먼지 한톨 없이 가꾼다)




그래서 이 책을 읽기 시작했을 때도

흠.. 완벽주의자들은 어떤지 한 번 볼까..

싶었는데, 왠걸.

읽고나니..



바로 내가,

완벽을 추구하는 사람이었다.

(ㅋㅋㅋ)









 난 왜 우울할까요?






<네명의완벽주의자> 저자들은

상담심리학자들이다.

그들이 한국인 511명을 대상으로

심리 설문조사를 한 적이 있는데,

응답자 중 53%가, 즉 절반 이상

완벽주의 성향을 지닌 것으로 밝혀졌다.

즉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들 중

절반은 바로 완벽을 추구하는 사람이다.




특히 완벽주의 성향은

우울과 관련성이 높다고 한다.

우울감을 겪는 사람들은 주로

좌절과 실패에 대한 기억을 자주 떠올린다.

그런데 그 기억들을 잘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완벽주의 성향이 있다.







  

완벽주의의 네 가지 유형  






이 책의 가장 재밌고 유용한 부분은

바로 완벽주의자의 분류이다.

(역시 이런 게 가장 재미있지요..

심리 테스트같은 깨알같은 재미..ㅎㅎ)






이 4가지 유형은

2가지 기준으로 나뉜다.

바로


자기 평가를 내가 하는가?
타인이 하는가?
or
더 얻을 것인가?
혹은 가진 것을 지킬 것인가? 이다





나는 꽤 괜찮은 사람이야.

라고 느끼는 높은 자존감

이러한 자신에 대한 평가는

대체 누가 하는 걸까?



어떤 사람은 스스로 자신을

자존감 높은 사람이라 판단하지만,

(경험상 이정도면 난 괜찮은 사람이야)

또 어떤 사람은 타인의 인정을 통해

자신이 괜찮은 사람인지 판단한다.

(팀장님의 칭찬을 받은 난 괜찮은 사람이야)



평가를 하는 기준이

외부에 있냐 내부에 있냐에 따라

완벽주의자는 갈린다.

사실 무 자르듯이 깔끔하게

외부에서, 혹은 내부에서 오는 평가에만

의존하는 사람은 없다.

다만, 결정적인 평가를 이끄는

비율이 사람마다 다른 것.

내부 기준과 외부 기준이 6:4라면

이 사람은 내면의 기준을

따르는 사람인 것이다.







이것은 어떤 측면에 더 가중치를 두고

행동하느냐를 말한다.

어떤 사람들은 쾌락, 현재의 만족감

좆는다.

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미래의 고통

피하는 데 집중한다.




이 쾌락 추구와

고통 피하기.

더 많이 얻으려는 것과

가진 것을 지키려는 것.

이에 따라 완벽주의는 또 나뉜다.




성공했을 때의 보상에 초점을 맞추는 걸

향상 초점이라고 한다.

더 향상되는 걸 좋아한다는 거다.

이들은 더 낙천적이고, 칭찬을 좋아하며,

기회가 생기면 모험을 즐긴다.

반면, 실패했을 때 위험을 피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안전을 추구하는 것을

예방초점이라고 한다.

가진 것을 지키는 쪽에 초점을 맞추면

언제나 심사숙고하고,

빈틈없이 일을 진행하려고 하며,

정확하고, 주도면밀하다.





(그래서 저는 바로바로..

자기 평가 기준이 내부에 있고

미래를 매우매우 걱정하는

방탄조끼 안전지향형입니다 ㅋㅋ)




 

+ 방탄조끼 안전지향형





이렇게 책은 완벽주의를 분류하고

각각의 특징과 개선해야 할 점.

그리고 궁극적으로 어떻게 하면

행복한 완벽주의자가 될지

방법을 밝혀놓고 있다.






예를 들면, 내가 속한

방탄조끼 안전지향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이런 사람들이 노력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결국 이들에겐

유연함이 필수다.

(왜 항상 제 결론은 유연함일까요 ㅠㅠ)




이제 자신의 완벽주의를 부정하기 보다는

제대로 한 번 들여다보고

써먹을 수 있는 건 잘 써먹고

고쳐야 할 점은 개선해나가면 어떨까?

결국 자존감을 높인다는 것은

완벽을 추구하는 마음을

내려놓거나,

혹은 다른 방식으로 바라보는 데서

얻어지는 걸지도 모르겠다.




세상 모든 완벽주의자들.

화이팅!!

(우리에게도 희망은 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헤르만 헤세와 BTS의 공통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