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기후변화, 얼만큼 다가왔을까요?

지구온난화, 기후변화, 기후위기…최근 뉴스를 보면 쉽게 접할 수 있는 단어들입니다. 뜨거워진 지구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요?


지구가 점점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불과 10년 전까지만 해도 ‘지구온난화’ 또는 ‘기후변화’라는 단어가 주로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그 상황이 심각해져 ‘기후위기’ 혹은 ‘기후재앙’이란 단어가 더 자주 등장하고 있습니다. 세계 각국은 기후위기를 초래한 탄소 배출량을 줄일 다양한 정책을 도입하고 있지만, 아직은 기후 위기를 막기 위해 필요한 수준의 속도로 변화가 만들어지지 않고 있습니다. 국제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는 빠른 온실가스 감축에 실패할 경우 전세계 GDP의 25%에 달하는 손실이 올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지구가 얼마나 뜨거워졌기에 이러한 위기감이 감도는 것일까요?


지구는 얼마나 뜨거워졌나?


2021년 3월 그린피스 활동가가 독일 환경부에 적극적인 기후위기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인류는 약 200만 년 전 지구상에 처음으로 등장했지만, 지구는 약 45.4억 년 전에 탄생한 것으로 추산됩니다. 인류가 체감할 수 없을 정도로 오랫동안, 지구의 온도는 현재 대비 약 6°C 정도 낮아져 많은 지역이 얼음으로 덮이는 빙하기와 극지방에만 얼음이 남는 간빙기가 반복되었습니다. 빙하기에서 간빙기로 바뀌는데 걸리는 시간은 수만 년에서 10만 년 정도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그러나 최근 지구의 온도는 단 200여 년 만에 1.09°C가 올랐습니다. 현대 사회의 틀을 마련한 산업혁명이 대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석탄, 석유, 천연가스 사용을 촉진시켜, 지구 역사상 유례없는 기온 상승을 초래한 것입니다.


지구의 온도가 급격히 오르면서, 극지방의 얼음은 점점 빠르게 녹고 있습니다. UN IPCC 6차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그린란드의 평균 빙상 유실 속도는 1992~1999년 기간 대비 약 6배 상승했으며, 해수면 상승 속도는 1901~1971년 기간 대비 세 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북극도 상황은 마찬가지입니다. 1979년 9월, 690만km² 였던 북극의 얼음은 2021년 9월에는 472만km²로 줄어들었습니다. 이는 대한민국 국토 면적(10만km²)의 약 21.8배, 미국 국토 면적(980만km²)의 약 22.2%에 해당합니다.


기후변화는 해수면 상승뿐 아니라 폭염, 홍수 등 이상 기후도 초래하고 있습니다.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에 따르면, 2021년 7월 전 세계 육지와 해양의 표면 온도는 20세기 평균인 15.8°C보다 0.9°C 높은 16.7°C를 기록해, 지구 표면온도 관측이 시작된 1880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같은 해, 미국 캘리포니아 데스밸리의 기온이 54°C까지, 캐나다에서 49.7°C까지 온도가 급상승하는 전례없는 폭염이 닥쳐, 미국에서 146명, 캐나다에서 719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2021년 9월 허리케인 아이다(Ida)가 강타한 미국 루이지애나주의 모습.


뜨거워진 지구는 대형 산불과 폭우같은 극단의 이상기후 현상도 빈번하게 초래하고 있습니다.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대지와 수목이 메말라, 연중 어느 때라도 산불이 나기 쉬운 조건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그 결과 2021년, 미국과 그리스, 터키 등지에서 초대형 산불이 발생했습니다. 한편, 대기 중으로 더 많이 증발된 수증기는 폭우로 이어졌습니다. 지난 여름, 독일을 비롯한 유럽 지역에서는 200여 명의 인명 피해를 낸 대홍수가 발생했습니다. 글로벌 재보험중개사인 에이온 벤필드의 발표에 따르면, 2020년에 세계적으로 발생한 자연재해는 총 416건으로 약 2,580억 달러(약 300조 원)의 경제적 피해를 끼친 것으로 추산됩니다.


전 세계적인 이상 기후 현상과 해수면 상승, 코로나19 사태가 맞물려, 세계 곡물 생산량도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2021년 11월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27.3% 상승해 134.4 포인트(2014~2016년 평균 100)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지난 10년 5개월간 가장 높은 지수입니다. 또한 전 세계 곡물, 설탕, 유지류의 가격은 전년 대비 각각 23.2%, 37.9%, 51.4% 올랐습니다. 국제 곡물 가격은 통상 3~6개월 시차를 두고 국내 물가에 반영되는데, 적어도 2022년 상반기까지 빵이나 라면 등 국내 식품과 사료 등의 가격 인상을 부추기는 연쇄작용을 일으킬 것으로 전망됩니다. 농산물 가격이 오르며 일반 물가가 상승하는 ‘애그플레이션’ 현상이 이미 벌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여기까지, 지구의 온도가 산업화 이전 대비 1.09°C 올라 벌어진 일입니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빠르게 줄여 이 추세를 꺽지 못하면 2050년 지구의 온도는 2°C 이상 오를 수 있습니다.


그린피스가 미국의 기후변화 연구 기관인 ‘클라이밋 센트럴(Climate Central)’의 데이터를 입수해 분석한 결과, 2030년 대한민국 국토의 5%가 수해를 입고 332만 명이 침수 피해를 입는 것으로 예측됩니다. 또한 80년 후에는 피지, 키리바시, 투발루 등 해발고도가 낮은 나라들은 바닷속으로 사라질 수 있습니다. UN IPCC는 지구의 온도가 2°C 오르면 극한기온 발생빈도가 13.9배 증가하며 가뭄은 3.1배, 강수량은 3.1배로 늘어나고 태풍 강도는 13% 강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뉴욕 매거진’의 칼럼니스트 데이비드 월러스 웰즈(David Wallace-Wells)가 오랫동안 지구온난화 관련 시나리오를 취재해 발간한 ‘2050 거주불능 지구’ 에 따르면, 일부 과학자들은 2050년 지구 평균 온도는 산업혁명 이전에 비해 5~6°C 상승할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될 경우, 전 세계 970개 도시의 여름철 최고 기온이 평균 35°C 이상을 기록하고, 폭염으로 25만 5,000명이 사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 세계적으로 50억 명 이상이 물 부족 위기에 처하고, 작물 생산량 부족으로 개발도상국의 1억 5,000만 명이 단백질 결핍 증상을 보일 것이라고 합니다. 식량과 물 부족으로 기후 난민이 최대 10억 명 이상 발생하는 등 인류의 생존과 안정적인 사회 유지 자체가 불투명한 상황이 펼쳐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UN IPCC)는 기후위기로 인한 재앙을 막기 위해서는 2030년까지 2010년 대비 최소 45%의 온실가스를 감축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기준을 한국에 적용하면,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50% 이상 감축해야 합니다. 그러나 현재 한국 정부는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40%의 온실가스를 감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40%의 목표를 자세히 보면, 기준년인 2018년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국내와 해외의 배출량을 모두 포함한 량으로, 목포연도인 2030년은 국내 순 배출량으로만 적용했습니다. 기준연도와 목표연도 모두 순 배출량으로 계산하면, 사실상 온실가스 배출량을 30%만 줄이겠다는 것입니다.


한국의 2018년 온실가스 총 배출량은 7억 2,760만 톤(CO2 환산량)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를 절반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3억 6,380만 톤까지 줄여야 합니다. 2020년 온실가스 잠정 배출량은 6억 4,860만 톤으로, 약 44%를 더 줄여야 합니다. 한국의 2020년 1인당 배출한 온실가스 량인 12.5톤으로 계산한다면, 약 2,300만 명(6억 4,860만톤*0.44/12.5)이 내뿜는 온실가스만큼을 줄여야 하는 것입니다.


이토록 막대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것은 개개인의 노력만으로 달성할 수 없는 거대한 일입니다. 국내 발전 비중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화석 연료(석탄, 천연가스, 석유)를 재생에너지로 빠르게 대체하는 것을 포함한 국가 차원의 정책이 필요합니다. 전기를 조금 아껴쓰거나 찬물로 세수하는 등 개인의 행동도 도움은 되지만 필요한 만큼의 변화를 만들기에는 부족합니다. 그러나 정치권을 대상으로 투표의 힘을, 기업을 대상으로 소비의 힘을 가진 시민 여러분의 관심과 행동이 있다면 바꿀 수 있습니다.


2019년 6월 그린피스 활동가가 북해에 있는 석유 시추 시설 앞에서 채굴 중단을 요구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두고 ‘불가능하다’라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반세기가 넘는 세월 동안 한국에 자리 잡은 산업 구조를 바꾸어야 하고, 그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을 감당할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온실가스 감축은 가능하며 꼭 필요합니다. 또한 현재와 같은 추세로 대량의 온실가스를 지속적으로 배출한다면, 기후변화로 인한 경제적 피해는 더욱 막대할 것입니다.


한국 딜로이트 경제연구소가 밝힌 바에 따르면, 기후변화로 항구 등 해안지역 관련 인프라는 향후 50년간 연평균 8조 원의 손실을, 경제 전반에 밀접하게 연계된 서비스 산업의 경우 연평균 19조 원의 막대한 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이러한 피해를 감당하면서도 기후변화에 대응하지 않으면, 2070년까지 한국이 안게 될 경제적 누적 손실은 약 935조 원에 달한다고 합니다. 반면 에너지전환, 산업 구조의 전환 등 기후행동에 바로 나선다면 일시적으로는 비용이 발생할 순 있겠지만, 2070년까지 2,300조 원의 부가가치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의 기술로는 탄소중립 달성이 불가능하니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기술로도 기후위기 대응은 가능합니다. 미국 스탠포드 대학교의 마크 제이콥슨(Mark Z.Jacobson) 교수는 현재 인류가 보유한 기술로 전 세계 95%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지구상 전력의 약 60%를 생산하는 화석 연료를 태양광, 풍력, 수력으로 대표되는 재생에너지로 대체하고 배터리, 그린 수소 등 에너지 저장장치와 저탄소 정책 등을 활용한다면 가능한 일입니다. 따라서 지금은,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전환에 집중해야 합니다.


기후위기로 인한 재앙에 휩쓸리는 것도, 이를 예방하는 것도 모두 가능한 일입니다.
어떠한 미래를 선택할지는 여러분의 결정에 달려 있습니다.


>>기후위기 대응 함께하기<<


글: 최태영 그린피스 커뮤니케이션 오피서

작가의 이전글 새해 다짐으로 운동보다 기후행동을 선택한 이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