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들이 한문 단어의 맛을 알아1
언어를 공부할 때 제일 중요한 건 뭐니 뭐니 해도 ‘언어의 감수성’을 지니고 있느냐 하는 점일 것이다. ‘언어의 감수성’은 그런 언어가 사용되는 까닭, 그리고 같은 단어일지라도 사용되는 상황에 따라 천차만별로 달라지는 상황을 꿰뚫어 볼 수 있는 감식안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 말만 해도 “밥은 먹고 다니냐?”라는 말은 ‘끼니를 잘 챙겨 먹고 살고 있냐?’는 의문임과 동시에, 『살인의 추억』이란 영화의 엔딩 장면에 나오듯이 알지 못할 범인을 향해 ‘엄청난 범죄를 저지르고도 밥이 목구멍으로 먹어가느냐?’라는 핀잔의 의미를 담기도 하는 것이다.
한문을 공부할 때 가장 어려운 것 또한 여기에 있다. 단순히 한자를 많이 알고 있다고 한문이 해석되진 않으니 말이다. 왜 한자를 아는데도 불구하고 한문은 해석되지 않는 것일까? 거기엔 실사와 허사로 이루어진 품사의 문제와 함께 한문문법이란 문장의 구조적인 문제가 개입함과 동시에 문장을 구성하는 단어에도 수십 년간 사용된 역사가 담겨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한자를 많이 안다고 한문 문장을 해석하겠다고 달려드는 꼴은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지 모른다’는 말과 진배없는 것이다.
‘품사’나 ‘문장의 구조’는 그래도 한문 문장을 해석하다 보면 어느 정도의 윤곽이 생기고 감이 생기기 때문에 그렇게 어렵지는 않다. 간혹 헛갈리는 것들이 있을지라도 그건 하나의 방편일 뿐, 한문해석에 있어 절대적으로 알아야 할 지식이라곤 할 수 없다. 하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하면서 어렵다고 생각이 드는 건 당연히 ‘단어’라고 할 수 있으리라. 단어는 그냥 한자와 한자를 결합하여 만든 것 같지만, 결코 그렇게 단순하지가 않다. 바로 문인들이 자주 쓰는 단어들엔 그 단어가 만들어진 상황에 대한 이야기인 전고典故가 담겨져 있고 문인들이 그 단어를 주로 쓰며 전하고자 하는 정감 같은 것들이 담겨져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한문 단어엔 역사가 담겨져 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쉽게 알기 위해서 아래에 제시된 변계량의 「산에 올라 혜상인의 집에 쓰다(登山題惠上人院)」 시를 보도록 하자.
이 부분을 그저 한시의 일반적인 해석방법인 2/2/3으로 나누어 해석해보면 ‘가을 숲 / 열매를 따다 / 한기 가득한 원숭이와 공유하다’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만 해석하고 끝내면 시인이 말하고자 하는 내용이 제대로 이해되지 않는다. 그러니 시인의 감정을 따라 이렇게 해석된 내용에 살을 입힐 필요가 있다. 살을 입혀서 제대로 해석해보면 ‘가을 숲에서 딴 열매 추위에 떠는 원숭이와 나눠 먹네.’가 되는 것이다. 이쯤 되니 시인이 어떤 상황에서 이 시를 썼는지가 명확하게 드러난다. 가을에 산길을 걷다가 토실토실 여문 열매를 보고 그걸 따서 먹으려 했는데 그때 하필 곁에 원숭이가 있는 게 보였고 그래서 그 열매를 혼자만 먹지 않고 원숭이와 나눠 먹는 광경이 그려지니 말이다. 이 정도만 해석해도 한문에 대해 어느 정도 경지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간과해선 안 될 게 있다. 그건 바로 ‘한원寒猿’이란 단어를 말이다. 원숭이면 그냥 원숭이지 왜 ‘찰한(寒)’을 쓴 원숭이여야 했을까? 그리고 왜 시인은 그런 원숭이와 열매를 나눠 먹고 있는 걸까? 더욱이 우리나라엔 원숭이가 없으니 아마도 이 시의 구절은 사실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기보다 시인 자신의 정감을 전달해주기 위해 상상적으로 만들어낸 시구일 가능성이 크리라. 그래서 정약용은 아예 「우아한 말로 하자를 지적하다(雅言指瑕)」라는 글에서 ‘우리나라엔 짐승 중에 원숭이가 없고 나무 중에 계수나무가 없다(我邦獸而無猿, 木而無桂).’라고 말문을 열고 시인들이 원숭이와 계수나무를 시어로 사용한 여러 예들을 보여주고선 ‘손 가는 대로 사용하였으니 참으로 그것들이 있는 것만 같다. 그러나 만약 중국 사람에게 보여줘서 그들이 장차 원숭이를 찾아대고 계수나무를 징험하려 한다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隨手使用, 若固有之. 若使中國人見之, 將求猿而徵桂矣, 何以應之?]’라고 힐난하기까지 했다. 즉, 그는 우리나라에 없는 시어들을 아무런 자의식없이 마구 써대는 시인들의 풍조를 이렇게 비판했던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읽고 말면 변계량은 그저 거짓말쟁이가 되며, 그저 그럴듯한 글로 보이도록 애쓰는 허례허식의 지식인이 되고 만다. 그런 식으로 따지며 시나 문장을 감상하다가는 하나의 글도 제대로 감상하지 못하게 될 것이고 시나 문장이 담고 있는 중요한 맥락을 잃게 될 것이다. 변계량이 여기서 우리나라엔 없는 원숭이를 끌고 올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그럴듯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속세를 떠나 사찰을 찾아가는 감정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다. 이 이야기를 알기 위해선 ‘단장斷腸’이란 고사의 의미를 알고 있어야 한다. 진나라 사람이 재미 삼아 새끼 원숭이를 잡아 배로 잡아 왔는데, 그 어미는 멀리부터 울부짖으며 벼랑을 따라오더니 마침내 배에 뛰어 오르며 죽었다는 것이다. 그 어미 원숭이의 배를 갈라보니 창자가 마디마디 잘라져 있었다는 것이다. 그러니 ‘단장斷腸’이란 고사엔 ‘인간의 욕심에 자식을 잃은 어미 원숭이의 원통함이 창자마저도 끊어놓았다’는 내용이 담기게 됐던 것이다. 그러니 이 고사를 통해 ‘원숭이=단장斷腸=자식을 잃은 원통함=인간의 욕망이 파괴한 자연’ 등의 메시지들이 담기게 됐다. 그러니 변계량이 이런 메시지가 담긴 원숭이를 시어로 차용했을 땐 당연히 그만한 이유가 있다. 그는 지금 속세의 번잡함을 떠나 깊은 산속의 산길을 따라 사찰로 한 걸음씩 가고 있다. 그런 그는 새끼 원숭이를 잡아대던 권력욕에 쩌든 인간들의 어리석은 욕망을 떠올리며 새끼 원숭이를 잡으려 하기보다 오히려 그 원숭이와 열매를 나눠 먹고 있다. 그건 그만큼 권력욕, 세속적인 욕망에서 놓여났음을 상징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한자의 단어엔 역사가 담겨 있기 때문에 얼마만큼 그 내용을 잘 알고 있냐에 따라 같은 시를 놓고도 해석의 깊이는 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