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gungs Oct 08. 2015

아라프로젝트, 구글의 모듈형 조립식 스마트폰

구글의 모듈형 조립식 스마트폰은 시장의 반향을 불러올 수 있을까?

- 구글의 모듈형 스마트폰 : 모듈을 조립하여 스마트폰을 완성할 수 있다.


정확히 모듈형 폰이 무슨 의미인가요? 또 그게 왜 필요하죠?

내가 원하는 성능의 폰을 내가 원하는 디자은으로 조립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바로 구글의 아라프로젝트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구글의 선행기술프로젝트 그룹(ATPT)에서는 모듈형 조립식 스마트폰을 개발중입니다.

'아라'라는 코드명으로 진행되는 이 프로젝트는 스마트 폰의 각 부분을 조립형식으로 끼울 수 있게 했는데요,

조립형 PC를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 것 같네요. 각종 부품들을 따로 사서 원하는 성능으로 조립할 수 있는 폰인거죠. 조립형 PC처럼.


위 그림은 아라프로젝트의 프로토타입인데요, 사각형의 프레임 (그들은 이걸 내골격 Endoskeleton 이라고 부른다고 하네요)에 사각형 형상의 부품들을 끼울 수 있습니다. 벽돌 맞추듯이요, 어떤 블록은 8메가 픽셀 카메라고 어떤 블록은 프로세서죠.

여기서 주목할만한 점은, 아라 프로젝트 자체가 하드웨어 플랫폼이라는 겁니다.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성장했던 것 처럼 하드웨어플랫폼이 자리를 잡으면 많은 업체들이 시장에 뛰어 들텐데요,

이미 준비를 하고 있는 회사들의 소식도 들리네요.

현재 도시바에서는 두개의 프로세서를 Yezz에서는 5메가 픽셀의 카메라모듈을 개발하여 데모를 하기도 했습니다.


아래 동영상을 보시면 더 이해가 쉬우실 거예요.

https://youtu.be/intua_p4kE0

구글의 모듈형 조립식 스마트폰은 성공할 수 있을까요?
이미 하이엔드 스마트폰 시장에 너무나 다양한 가격대의 스마트폰이 있다는점, 조립식의 한계등으로 당장 스마트폰 시장에서 의미있는 성적을 거두긴 힘들어 보입니다. 하지만, 아라프로젝트가 지향하는 시장이 단순히 스마트폰 시장일 거란 생각이 들진 않네요.
타블렛으로 눈을 옮겨볼까요? 
디스플레이와 저렴한 프로세서만으로 저렴한 세컨드 디스플레이 구현이 가능합니다. 마치 듀얼모니터를 쓰는 것 처럼요.
고사양의 GPU로 나만의 콘솔을 만들 수 있고, 특정 부품만 바꾸면서 업그레이드도 가능합니다.
무엇보다 IoT 시장과 결합되었을때를 상상해보세요. 여기 있는 모든 모듈들을 구글의 표준화된 커넥션을 따릅니다 .프로토콜도요.
이 의미는 수많이 생성되는 모듈이 다양한 사물과도 쉽게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이지요.
구글이 괜히 모토로라를 레노버에 팔때 아라프로젝트만은 가져온게 아닌 것 같네요.


Source - CNET : Project Ara: Everything we know about Google's modular phone

             - gungs blog : Project Ara : Google's Modular Phone is also Part of it.

매거진의 이전글 미국내 스트리밍 비디오 사용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