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gungs Sep 08. 2015

10 Worst TV Technologies

CNET기사 : 10 Worst TV Technologies

아래 최고의 TV 기술 10가지에 이어 최악의 10가지 편입니다.

Link -> 10 worst TV technologies 

이번편에서는 동의할 수 없는 내용이 너무 많네요.


CNET의 경향이 PDP 친화적입니다. LCD를 별로 안좋게 보고, 특히 고속구동과 CR을 안좋게 보는 경향이 있어요.

다른 기사들을 보면 말이죠.

HDTV기술에서 쓸모없고, 도움이 안되고 오히려 화질에 안좋은 것들의 리스트를 뽑았습니다.

아래글과 같이 항목별로 개인 의견을 썼습니다.

1. 3D
 (이의). 아무도 사용하지 않는다고? 예전 적청 3D에 비하면 엄청나게 기술이 좋아졌는데? 
 그럼 아바타는 왜그렇게 성공했을까? 컨텐츠만 확보되면 대형 / 고해상도에서는 충분이 경쟁력 있는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2. Curved Screen
 (어느정도 동의). 현재 LCD에서의 Curved는 큰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대형 OLED에서 variable 한 Curved는 더 경쟁력 있을 수 있다고 보네요. (Variable Curved, 높은 CR에서 오는 몰입감.)
 특별하지만, 아직은 시장을 바꿀만한 요소는 아닌것 같아요. 하지만, IMAX 상영관에 열광하는 것 처럼 더 큰 사이즈에서는 경쟁력이 있을 것 같습니다.
3. 4K
 (이의). 실제로 4K와 HD영상을 비교는 해보셨는지? 아직 컨텐츠가 부족하고,
 제대로 호환이 안되는 TV가 있을뿐, 시간이 지나면 대세는 바뀌게 되어있다고 생각합니다.
4. LCD
 (이의). CNET은 유난히 LCD 실어하고 PDP 좋아하는것 같네요. 블랙이 뜨고, 고속구동에서 화질이 않좋다는 이유인데 많은 고객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것 같습니다. 지금의 결과를 보면 말이죠.
5. Edge lit LED
 (이의). Edge형이 화면 균일도가 직하형보다 않좋다는게 그 이유인데, 그 덕분에 싼 가격에 더 얇은 패널이 만들어졌다는 생각은 안해보셨는지?
6. Soap opera effect
 (어느정도 동의). 24p original source 와 60Hz 변경되어 MEMC를 Frame이 균등하게 배분되지 않아 나오는 문제인데 CNET에서는 굉장히 크게 다루는듯. 그래서 LCD와 특히 고속구동을 별로 안좋아하는듯하네요.
7. Glossy screen
 (동의). 밝은 거실에서 유난히 반사가 심한 TV가 있습니다. 콘트라스트 때문에 광택처리한 것 의미하는듯 하네요.
8. HDCP copy protection
 (어느정도 동의). 이 부분은 권리보호에 민감한 문제라 쉽게 말하기 어렵지만, 확장성을 떨어뜨리는 문제는 확실히 있는듯하네요. 고객에게 불편함을 주는 요소는 맞는것 같습니다.
9. Bloated smart TV suites
 (동의) TV가 너무 할게 많아지니 다룰것도 많고 제한적인것도 더 많아진 것 같습니다. 스마트TV에서 인터넷 한다고 편하다는 느낌이 아니라는거죠. 오히려 심플하게 Netflix연결하는게 더 스마트한것 같습니다.
10. voice and gesture control
 (동의)스마트 TV가 나오며 많은 제어를 하기 위한 각종 컨트롤러들이 나왔는데, 스마트해보이지 않습니다. 인식률 측면에서. 심플한 버튼이 아직까지는 최고죠.

추가로, fancy remote (버튼 많이 달린), built in camera, fake refresh rate 등이 나와는데,

fake refresh rate 부분은 동의가 힘듭니다. LCD를 이렇게 성장시켜준게 고속구동인데 말이죠. 

매거진의 이전글 10 Best TV Technologies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