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담쟁이 Nov 05. 2019

열심히 못하지 말고 대충 잘하세요

결과와 과정에 대한 평가만큼은 확실히 분리해 내는 사람이 되고 싶다

"열심히 못하지 말고 대충 잘해라"


과정은 무시하는 결과 주의자의 일성 같지만, 이 문구는 언젠가부터 내 업무 책상 위 가장 잘 보이는 곳에 항상 붙여져 있다. 어르신들 쓰시는 표현으로 '머리카락에 홈을 파는' 성격의 나는 최선을 다 하는 것이 언제나 선이라고 어릴 적부터 배우고 또 믿었다. 성실한 삶이 꼬박꼬박 가져다주는 열매들은 대체로 그 믿음을 배신한 적이 없었다.

첫 직장에서 얼마간의 시간을 보내고 처음으로 후임이 생기던 때에도 함께 일하게 될 사람에 대한 나의 관심은 '성실한 사람인가'였다. 그 기준에서 보면 그는 흠잡을 데가 없는 사람이었다. 매일 아침 출근시간보다 일찍 와서 업무를 점검했고, 허투루 쓰는 시간 없이 열정적으로 일 하는 사람이었고, 모두가 떠난 자리에서도 묵묵히 자기 일을 하는, 공동체 생활에서 꼭 필요한 인재상이라고 할 법했다.

하지만 열심은 언제나 같은 결과를 가져오는 것이 아니었다. 그 오랜 성실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는 실수가 잦은 사람이었고, 숙련은 더뎠다. 우리의 일터는 인간적인 곳이었지만 여유 있는 곳은 아니었고, 그가 같은 잘못을 반복할수록 내가 감당해야 할 타격은 커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실의 아이콘과도 같은 그에게 선뜻 적극적인 피드백을 주는 사람은 없었다. 너무 ‘착한’ 그에게 ‘나쁜’ 말 한마디 하는 순간 내가 하는 말이 일일이 대꾸할 가치 없는 모진 말이 되어버리니까. 몇 개월을 더 버티던 그는 결국 자신을 비롯한 여러 사람의 의견에 따라 본인이 이 업무에 맞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렸다. 난생처음 맡은 선임이라는 역할은 막연한 책임감과 기대로 시작했지만 결국 내게 실패의 경험을 남긴 채 끝났다.

마지막이 될 식사를 하면서만큼은 모질고 싶지 않았기에 그간의 마음도 풀 겸 점심시간부터 고기를 구우러 갔던 우리 둘은 이전에 없던 다정한 대화를 나누었다. 그러던 중 마음이 풀어질 대로 풀어진 그가 건넨 한 마디는 그때까지 우리 사이에 감돌던 모든 훈훈함을 일순간 식혀버렸다.

"쌤은 정말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분이신 것 같아요. 저는요, 걸어가면서 하늘도 보고, 꽃도 보고, 힘들면 쉬어서 가고 싶은 사람이라서요, 쌤 같은 분이 정말 대단해 보여요."

곱씹어보아도 자극적인 구석은 하나도 없는 말이었다. 오히려 나를 높여주는 칭찬과 부러움의 말이라고 해석할 여지도 있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가장 해서는 안 될 말이기도 했다. 지난 몇 개월 간 나와 여러 사람을 괴롭혔던 그의 결과물들이 '쉬면서 걷고 싶은' 적극적 의지의 산물이라는 사실은 그의 결과물을 놓고 결국 이 사람에 대해 고민했었던 이들에 대한 배신이자 조롱으로까지 느껴졌으므로. 물론 그때도 지금도 잘 알고 있다. 그 말을 하던 그에게는 그 어떤 나쁜 의도도 없다는 것을.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말은 일종의 자극제가 되어 내게 꽂혔고, 나는 묻어두었던 날카로운 말을 꺼내어 찔렀다.

"쌤 저도 하늘 보는 거 좋아해요. 꽃 보면서 앉아서 쉬다가는 거, 저만큼 좋아하는 사람 없을걸요. 그런데, 돈 받고 일하시잖아요. 여기 교회 아니에요. 쉬는 건 집에 가는 길에 백 년이고 천년이고 맘껏 쉬세요. 우리는 목적지를 향해 함께 걷는데 혼자 쉬고 싶다고 어기적거리면 어쩌자는 거죠? 그 정도도 분간 못 하고 여기서 일하시는 거예요? 다른 사람 생각은 안 하세요?”

내 말이 끝나기도 전에 이미 그는 눈물을 터뜨렸다. 죄책감은 들지 않았다. 오히려 빈번했던 그의 눈물을 볼 때마다 뒤에서 갈등했던 것이 억울하게 느껴졌다. 그러고 나서 그와 이 일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일은 다시없었고, 우리는 서로에게 지울 수 없는 흔적을 남겼다.

그는 결국 직장을 그만두고 독립서점을 차렸다고 했다. 그리고 나는 ‘열심히 못하는 것’에 대한 트라우마가 생겨버렸다. 실패와 무능보다 더 나쁜 것이 바로 다른 사람들이 그에 대한 평가나 비판을 할 수 없도록 열심과 성실로 '덮어버리는' 것이라는, 확신에 가까운 생각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열심히 못하는 사람이 되지 않으려고 애쓰고, 그게 어려울 때마다 이 이야기 속 그와의 시간들을 떠올린다. 잘하고 못하는 것이 내가 컨트롤할 수 없는 영역일 수도 있겠지만 적어도 나는 결과와 과정에 대한 평가만큼은 확실히 분리해 내는 사람이 되고 싶다. 나 자신을 포함한 모두에게 한결같이.

매거진의 이전글 ASAP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