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전하진 Dec 20. 2021

탄소감축행위로 부자되는 사회

탐욕이 아닌 홍익으로 부자되는 사회

탄소감축활동으로 돈을 버는 방법


지난 8월 UN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내놓은 6차 보고서에 따르면 인구, 경제, 에너지 사용 등 미래사회상(SSP·Shared Socioeconomic Pathway)을 바탕으로 5개의 시나리오를 제시했는데 이중 가장 긍정적인 SSP 시나리오1의 경우 적극적 탄소 감축 노력에 적절한 기술까지 개발되는 경우를 상정했다. 2050년 무렵 전 지구적 차원에서 탄소배출량과 흡수량이 제로섬을 기록하는 ‘탄소중립’이 현실화된다는 조건이다. 이 경우라 해도 21세기 말(2081~2100년) 기온은 산업화 때보다 1~1.8도 오른다.


가장 긍정적 시나리오가 이러니, 나머지 시나리오는 모두 암울하다. 탄소 저감 노력이나 기술 수준이 현재와 같은 수준일 SSP 시나리오2에서는 21세기 말 기온은 2.1~3.5도 상승한다. 지금보다 화석 연료를 더 많이 쓰는 SSP 시나리오3 이후부터는 21세기 말 평균 기온이 3~4도 더 올라간다.


이런 상황을 고려할 때 우리의 탄소감축활동을 매우 적극적으로 전환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우리나라도 이에 발맞추어 전 세계 14번째로 2050 탄소중립 비전과 이행체계를 법제화하였다. 


                              참조  http://www.kharn.kr/news/article.html?no=17108


이러한 법체계하에서 앞으로는 다양한 기후위기 대응전략이 수립되고 실천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과정에서 반드시 디지털 전환기술 기반위에서 자발적인 국민들의 참여가 전제되어야 그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현재 운영되고 있는 탄소배출권 거래제는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탄소감축활동을 자발적으로 하는 개인 또는 의무기업이 아닌 경우에는 참여할 수 있는 시스템 자체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물론 그들의 탄소감축량이 매우 미미하지만, ‘티끌모아 태산’이라는 말처럼 그들의 작은 행위를 정확하게 측정해서 축적한다면 유의미한 탄소감축량을 만들 수 있음은 물론이고, 많은 국민들을 기후위기 대응에 적극적인 참여자로 전환시키는 것이야 말로 기후위기 대응에 가장 중요한 활동이 될 것이다. 


예를 들어 2018년 기준 한국의 탄소배출량은 7억 2천만 톤으로 국민 한 명단 14.1톤을 배출하는 셈이다. 총배출량 구성을 살펴보면 에너지 (86.9%), 산업공정 (7.8%), 농업 (2.9%), 폐기물 (2.3%) 등으로 에너지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최종에너지의 소비처를 살펴보면 산업부문이 61.8%, 수송부문이 18.5%, 가정이나 상업부문이 17.3% 정도다. 하지만 이러한 에너지 소비는 결국 우리 모두의 작은 행위들에 의해 축적된다. 이동을 개인차량보다 대중교통을 많이 사용한다던가, 가정의 에너지 소비를 줄인다던가 또한 탄소배출이 심한 제품의 구매를 거부한다던가 미니멀리즘을 추구한다든가 등등 5천만 국민이 모두 이와 같은 기후위기 대응 노력을 하는 그리너스(Greeners)로 변신한다면 아마도 놀라운 저감효과를 가져오지 않을 까 생각한다. 즉 수요를 줄이면 당연히 공급은 줄어들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을 이해한다면 우리 모두가 생활 패턴을 바꿔 수요를 줄이는 데 집중해야 할 것이다.


SDX재단은 탄소감축위원회(CRC)를 중심으로 이와 같은 그리너스의 기후위기 대응 행위를 독려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보상과 이들을 격려하는 그리버디(Green Buddy) 및 탄소감축을 촉진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린클래스 (Green Class) 들을 발굴하여 그리너스에 의한 탄소감축 활동이 하나의 경제시스템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만들어 나아가고자 한다.


어느 정도 시스템이 갖추어지면 그리너스의 활동을 독려하는 수 많은 후원자들이 이들을 응원하게 될 것이고 이를 통해 더 많은 그리너스가 활동을 하게 되면서 우리가 목표하는 기후위기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렇게 되면 소비를 촉진하고 탐욕을 부추겨 경제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를 줄이고, 탄소감축에 적극 나서는 자들이 보상을 받고 이러한 활동을 촉진하고자 하는 제품개발이나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모든 국가는 기후위기 대응에 더욱 더 속도를 내기 위하여 이들에 대한 보상 수준을 높이는 방향으로 경제시스템이 운영된다면 아마도 탄소감축행위로 부자되는 새로운 계층이 탄생하지 않을까 기대 해 본다.


작가의 이전글 SDX 재단 사무실 이전 안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