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학생독립만세 Mar 06. 2019

학생이 안갚으면 어떡하나요?

소득공유(Income Share Agreement)후불제 이야기 #2

후불제 교육 서비스 학생독립만세를 운영해오면서 가장 많이 들은, 듣고 있는 질문은 다음과 같다.


"취지는 좋은데 학생이 안갚으면 어떡하나요...?"

(사실 후불제 서비스를 테스트하던 나 역시 초기 스스로에게 수없이 던졌던 질문이기도 하다.)


팀 내에서도 내가 가장 돌다리도 두들겨 보는 성격인 탓에, 그러한 성향이 그대로 반영되어서

초창기 우리의 후불제 교육 모델은 다음과 같았다.


1.굉장히 빡빡한 지원서 양식 및 서류 심사

2.약 1시간 동안 회사 사무실에서 1대1 대면 심사(심지어 거제도에서 온 친구도 있었...)

3.각종 절차 및 정책 사항 숙지 여부 테스트


실제로 수많은 학생들과 교육비 후불을 진행해오고 있지만, 아직까지 안 갚은 학생은 단 한명 뿐이다.

총 부도율로 계산을 하면 약 0.25% 인데 이마저도 테스트 초창기 계약서가 없어 구두로 진행했던 학생이다.

소액이기도 하고 우리도 계약서를 안써서 명확하게 전달하지 못한 점 등등이 있어 그냥 따로 절차를 진행하지 않고 손실로 처리하기로 결정을 했다.


0.3%가 채 되지 않은 실제 데이터를 통해, 교육비 후불의 리스크 안정성에 대한 확신을 얻었고,

작년부터 확장성을 고려하여 위 절차들을 모두 비대면화 및 자동화하여 진행하였다. 

'대면->비대면' 전환 역시 데이터 상으로 큰 차이가 없는 것을 동시에 확인했다.


자연스레 스스로에게 하던 위 질문을 멈추고, 좀 더 좋은 교육을 제공하는 것에 많은 힘을 쏟고 있다.




위 결과를 좀 더 분석적으로 접근해서 보자면,

기존 금융의 측면에서 아래와 같이 해석할 수 있다.


1)우리의 일반적인 예상(?)보다는 원래 안전하다.

- 나이스 5등급 부도율 2.54%

-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신용데이터(대출, 신용카드 등)가 없어서 5등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 대학생 대상 p2p 대출 업체인 캠퍼스펀드 역시 연체 및 부실률이 아래와 같이 2% ~ 3% 대를 형성하고 있다.

출처 : 캠퍼스펀드 https://campusfund.net/home


2)교육비 후불제

- 현금을 직접 주는 것이 아니다.(cf. 전세담보대출)

- 주식, 비트코인, 사치, 유흥 등의 용도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3)소액 신용 대출

- 금액이 적기 때문에, 일반 대출에 비해 상환을 포기하거나 만에 하나 파산신청 등의 확률이 희박하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아래와 같은 여러 이유들도 리스크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


1)소득공유 후불제 모델의 경우 특히 취업을 한 경우에만 지불 의무 발생

- 동일조건의 같은사람이라면 돈이 있을 때와 없을 때 언제 더 잘 갚을 것인가?


2)관계 금융

- 대출이 집행된 후, 상환 시까지 관계가 끊기는 것이 아니라 교육을 통해 지속적으로 관계가 형성된다.

(실제 대출에서도 만기일시상환에 비해 분납상환이 더 리스크가 적은 이유 중 하나가 계속해서 상호 관계가 연결되어지는 부분도 있다.)


3)양질의 교육

  - 학생 만족도 상승 -> 향후 교육비 납부 확률 증가

  - 실무 능력 향상 ->  취업 성공률 증가 -> 향후 교육비 납부 확률 증가


요약하자면,
학생들은 우리들의 생각보다 훨씬 잘 갚는다.
결국 학생독립만세가 신경써야할 부분은 양질의 교육이다.


P.S 현재 학생독립만세는 소득공유(Income Share Agreement) 방식의 교육비 후불제 모델을 실제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운영 중에 있습니다.
(미국, 호주 등에서는 이미 어느정도 검증 후 안착된 모델입니다)

규모의 확장을 위해
교육비 납부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함께 하실 교육기관, 금융기관, 대학교, 재단 등 다양한 관계자분들을 찾고 있습니다. 언제든 편하게 연락주세요:)


매거진의 이전글 학생이 투자 받아서 공부한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