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학후 Nov 04. 2017

집중 탐구 <토르: 라그나로크> (2)

또다시 진화한 MCU... <토르: 라그나로크>만의 특별함


희극과 비극이 적절히 섞인 토르와 헐크의 모험담


<토르: 라그나로크>의 서사는 북유럽의 신화적 요소와 마블 코믹스의 것으로 이뤄졌다. '라그나로크'는 북유럽의 신들이 벌인 최후의 전쟁, 말하자면 세상의 종말 또는 문명의 멸망을 의미한다. 극 중에 나오는 거대한 늑대 펜리스, 불의 거인 수르트도 북유럽 신화에서 따왔다. 발키리(테사 톰슨 분)도 북유럽의 신화에서 오딘의 궁에서 그를 모시던 전사들에서 가져온 인물이다.


헐크가 검투사가 되는 내용은 마블 코믹스의 <헐크: 플래닛 헐크>(시공사 출간)를 참고했다. 원작은 헐크(브루스 배너)가 위험하다고 느낀 지구의 슈퍼 히어로 연합이 인류를 보호하기 위해 극비리에 그를 우주로 추방하고, 우주를 떠돌다가 행성 사카아르에 착륙하여 노예로 팔려간 뒤 '그린 스카'라는 이름의 사카아르 최강 검투사로서 새 삶을 시작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사카아르 행성과 검투사의 설정은 고스란히 영화에 옮겨졌다. 토르를 돕는 코르그와 미에크도 <헐크: 플래닛 헐크>에서 가져왔다.


<토르: 라그나로크>의 각본을 쓴 에릭 피어슨, 크레이그 카일, 크리스토퍼 요스트는 북유럽의 신화와 <헐크: 플래닛 헐크>를 합한 이야기에 코믹한 설정을 한가득 넣었다. 특이한 점은 대사의 상당 분량이 현장에서 즉흥적으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보통 블록버스터 영화나 마블시네마틱유니버스(마블 코믹스의 만화 작품에 기반을 두고, 마블 스튜디오가 제작하는 슈퍼히어로 영화를 중심으로 드라마, 만화, 기타 단편 작품을 공유하는 가상 세계관이자 미디어 프랜차이즈, 아래 MCU)에선 볼 수 없는 풍경이다. 그만큼 <토르: 라그나로크>는 규칙에 얽매이지 않았다.



영화는 첫 장면, 토르(크리스 헴스워스 분)와 수르트가 만나는 대목부터 익숙함 따위는 내동댕이친다. 지금껏 토르가 활약한 영화를 벗어나며 심각한 상황에서 펼쳐지는 SNL풍의 개그는 배를 잡게 한다. 흡사 <데드풀>인가 싶을 정도다. 크리스 헴스워스는 <고스트 버스터즈>에서 보여준 바 있는 코미디 연기를 아낌없이 발휘한다.


헐크(마크 러팔로 분)도 개그에 욕심을 낸다. 머리라곤 안 쓰는 토르보다 더 황당한 짓거리를 일삼고 어처구니없는 몸개그로 웃음을 자아낸다. 이제까지 두 세 마디 정도만 가능하던 헐크는 대화를 주고받는 수준에 접어들었다. 토르와 헐크/브루스 배너가 나누는 대화는 만담에 가깝다. 토르, 헐크 개그 콤비에 로키(톰 히들스턴 분)와 발키리가 가세하며 '리벤저스'(라고 주장하나 하는 짓은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와 유사하다)가 태어난다.


<토르: 라그나로크>의 코미디의 농도는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앤트맨>과 필적한다. 하지만, <토르: 라그나로크>는 마냥 웃기자고 만든 영화는 아니다. MCU 최초의 여성 빌런으로 무시무시한 위력을 뽐내는 헬라(케이트 블란쳇 분)가 아스가르드를 침공하는 전개는 사뭇 진지하다.


<토르: 라그나로크>는 헬라가 아스가르드를 침략하는 이야기와 헬라에게 공격당한 토르가 사카아르 행성에 가서 헐크를 만나는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가 비극의 문체로 써졌다면 후자는 희극으로 펼쳐진다. 두 이야기는 각기 전개되다가 나중엔 하나로 합쳐진다. 전개 과정에서 토르, 헐크, 로키, 발키리는 서로 흥미진진한 화학반응을 이룬다.



영화에 담아낸 현실


헬라는 단순히 선과 악으로 구분할 수 있는 빌런이 아니다. 그녀는 아스가르드의 보물들이 어디서 왔는지 아느냐고 묻는다. 오딘(안소니 홉킨스 분)이 숨기고 싶었던 어두운 그늘(과거)이면서 이성과 문명을 앞세운 제국의 감춰진 야만이자 광기가 헬라인 셈이다. 헬라는 내면(역사)을 들추며 힘이란 욕망을 부추긴다. 그랜드마스터(제프 골드브럼 분)가 지배하는 사카아르는 로마 제국을 연상케 한다. 그곳에서 헐크는 힘에 사로잡혀 있다. 토르는 헐크와 함께 욕망을 극복한다.


 헬라와 그랜드마스터가 보여주는 힘을 강조하는 제국주의적 면모는 현실의 뉴스와 겹쳐진다. <토르: 라그나로크>는 명백히 트럼프 시대를 반영하고 있다. "땅이 아닌, 백성이 있는 곳이 아스가르드"란 외침, '모두의 왕국을 건설하자'는 바람, 레드 제플린의 노래 'Immigrant Song'이 더해지며 '외부, 이민자, 이주'를 말하는 영화의 목소리는 더욱 뚜렷해진다. 마블의 수장 케빈 파이기가 뉴질랜드 출신의 타이키 와이티티에게 메가폰을 맡긴 점도 미국 외부의 정서를 담으려 한 포석이다.



이 외에도 <토르: 라그나로크>는 흥미로운 면이 많다. 신시사이저를 활용한 디스코 음악과 사카아르 행성은 1970~1980년대 스페이스 오페라를 떠올리게 한다. 프로덕션 디자이너 댄 헨나는 사카아르 행성에 금속성 재료로 이뤄진 건물들, 우주에서 날아온 잔해와 알루미늄, 전선들을 활용한 소품, 녹색, 파란색, 보라색, 노란색 등 총천연색 배합으로 꾸며진 아트워크(artwork)으로 가득 채웠다. 사카아르 행성은 MCU의 다른 작품에서 볼 수 없었던 복고와 SF적 상상력이 결합한 새로운 공간이다.


카메오도 풍성하다. 닥터 스트레인지(베네딕트 컴버배치 분)의 등장은 이미 알려졌다. 초반에 나오는 연극을 눈여겨보길 강력히 추천한다(토르, 로키, 오딘으로 분한 배우는 모두 유명배우다!). 또한, MCU의 작품답게 다양한 연결 고리를 만날 수 있다. 쿠키 영상은 당연하거니와 예상치 못한 대목에서 MCU 캐릭터의 소품이나 영상을 만날 수 있다. 이것 역시 MCU를 보는 즐거움이다.


아이언맨과 캡틴 아메리카는 세 번째 솔로 무비에서 자신을 대표하는 물건과 마주했다. <아이언맨 3>에서 아이언맨은 슈트를 파괴했고,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에서 캡틴 아메리카는 방패를 버렸다. 토르는 <토르: 라그나로크>에서 묠니르를 잃는다. 무기를 잃고 좌절하던 그에게 오딘은 질문한다. "너는 망치의 신이냐? 천둥의 신이냐?" 토르가 자신의 진정한 힘을 깨닫는 과정이 <토르: 라그나로크>다.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와 <토르: 라그나로크>는 슈퍼히어로들의 대립을 묘사하며 진정한 영웅, 리더의 자격, 지도자의 길을 화두로 던졌다. 두 영화는 각각 현실의 색채와 판타지의 화법으로 분열의 시대상을 포착한다. 이제 슈퍼히어로들은 최강의 적 타노스와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에서 맞붙을 예정이다. 그 징검다리 역할은 한 <토르: 라그나로크>는 여러모로 마블 스튜디오의 영리함이 돋보인다. MCU는 또다시 진화했다.


2017.11.3

작가의 이전글 집중 탐구 <토르: 라그나로크> (1)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