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한길 Feb 17. 2020

진정한 신사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는 말의 진면목

진정한 신사란 무엇인가에 대한 글을 짧게 서술해보고자 합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입지적 위치나 회적 위치가 해당 사람의 환경적 요건으로 자리잡음으로서 그 사람의 행동양식을 어느정도 확립시키는 것 같습니다.

이 때문에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라는 말이 자연스레 나온 것 아닌가 예상됩니다.

자신의 현 위치가 어디에 있든 남의 입지와 관념을 이해하고 섬겨줄 수 있는자만이 진정한 '신사(Gentleman)'로 불리어질 수 있지 않을까요?

예를들면, 사장이나 대표의 위치에 있을 때에도 진심으로 직장인들의 고충을 이해하고, 직장인의 위치에 있을 때에도 사장들의 고충을 이해하는 모습과 같은 것이죠.

하지만, 이러한 모습을 갖추기 위해서는 어느정도 다각적인 입지의 경험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척확지굴 이구신야(尺蠖之屈 以求信也) & 대기만성(大器晩成)


이러한 면모는 다방향적 경험의 부재로서는 아무리 학문적인 접근법을 통해서도 접근할 수 없는 관점으로 보입니다.


 위와 같은 관점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지혜는 고사성어 '척확지굴 이구신야(尺蠖之屈 以求信也)' & '대기만성(大器晩成)'와 일맥상통하는 관념으로서 신사 또는 성인군자로서의 길은 험난하지만 그 만큼 의미 있다는 통찰점을 반증합니다.


즉, 과거 역사에서도 동일하게 바라보는 '진정한 신사'의 면모는 실질적 경험의 부재로서는 접할 수 없는 모습인 것 같습니다.


이를 인지하고 각자 신사적인 면모에 접근하기를 갈구하는 다각적인 시야를 갖추는 분들께서 많아지기를 바라고, 저 또한 이를 추구하고자 합니다.


오랜만에 쓰는 짧은 브런치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리더십의 공정성과 품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