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상진 Oct 14. 2022

실패가 성공의 어머니가 되려면

2022년 10월 14일

침대에 누우면 가끔 생각난다.

역량이 미숙해서, 미숙한 모습으로 세상에 내보내 졌던 나의 프로젝트들이.


이어서 생각해본다, 그때로 돌아가면 이렇게 커뮤니케이션했을 텐데, 이런 아이디어를 냈을 텐데, 이런 시각으로 접근해봤을 텐데..라고 말이다. 후회하지 않는다고 말하고 싶지만 사실 후회하는 것 같다. 미련이 남아 질척 거리는 듯한 느낌이다.


곰곰이 생각해보면 저런 나의 태도가 나를 성장시켰던 것은 아닐까 생각한다. 막연하게 '앞으로 더 잘해야지.' '더 열심히 해야지.'라는 다짐은 성장에 크게 도움이 되지는 않았던 것 같다.


입버릇처럼 이야기하는 것이 있다. 실패도 경험이다. 실패하면서 배우는 것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새로운 것에 도전할수록 성장한다고 말이다. 하지만 나는 도전과 실패 이 두 가지만 가지고서는 성장을 이뤄낼 수 없다고 생각한다. 조금은 자조적인 태도로 보일지 모르지만 반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도전, 실패, 그리고 이에 대한 반성까지 이어져야 성장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몇몇 의사 선택의 순간에 내가 어떤 잘못된 결정을 내렸는지, 혹은 어느 부분에서 안일했는지, 어느 정도 선에서 타협했는지를 떠올리며 곱씹어야 성장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새로운 도전만이 성장을 가지고 온다고 생각하지도 않는다. 과거의 도전을 어떤 상황과 시점에 복기해보느냐에 따라서도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어찌 보면 성장은 도전하는 태도가 아니라 반성하는 태도에서 나오는 것이 아닐까.


사람은 자아 성찰하며 성숙해진다고 하는데, 진행했던 일에 대한 복기, 반성을 하며 업무 역량이 성장하는 것도 비슷한 맥락이지 않을까?




광고일을 하다 보면 이런 이야기를 많이 듣는다. "광고인이라면 자기 아이디어에 대한 고집이 있어야 한다." "광고인이라면 어느 정도의 곤조는 필요하다." 근데 나는 이 고집과 곤조라는 단어를 좋아하지 않는다.


고집과 곤조는 성격에서 나오는 단어이고, 이는 태생적으로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말장난 같아 보일 것 같지만 확신과 강단이라는 단어를 더 좋아하는 편이다. 이유가 있어서 결정을 바꾸지 않는 것, 이유가 있어서 밀어붙이는 태도가 좋은 것이지 밑도 끝도 없는 고집과 곤조, 나 잘났고 내 말이 맞다 하는 태도는 고쳐 마땅하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여러 가지 중요한 결정들을 앞두고 있는 순간이 오면 한번 더 돌이켜 본다. 과거했던 선택들을 지금 시점에서 보았을 때 반성해야 할 것은 없는지, 내가 앞으로 할 결정들이 막연한 고집과 곤조에서 나온 것은 아닌지 말이다.


깨달음은 실패 이후 바로 찾아오지 않는 것 같다.


어떤 실패에 대한 깨달음은 실패 직후에 찾아오기도 하지만, 어떤 실패에 대한 깨달음은 10년이 넘는 시간이 지난 후에 오기도 하는 것 같다. 부모님에 대한 마음을 깨닫게 되는 순간은 부모가 되었을 때 찾아오는 것처럼 말이다.


조금  성숙한, 성장한 미래의 내가 의사결정을 내릴  있도록 과거의 나를 다시 곱씹어 본다.








 




 


   




매거진의 이전글 집도 먼데 반차를 왜 써?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