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모래파파 Nov 29. 2020

82년생 김지영 그리고 김지영 남편

이런 제목 함부로 쓰면 안 되나요

이 글을 올리는 2020년 11월 기준 39개월 된 아들과 20개월 된 딸을 키우고 있습니다.

에피소드들은 어제 얘기일 수도 있고 1년 전 얘기일 수도 있습니다. 때론 2년째 반복되는 얘기일 수도 있고요.



1년 전 영화 <82년생 김지영>을 봤다. 그 전에는 소설도 읽었다. 영화 엔딩에 부분에 적힌 김지영의 생일과 내 아내의 생일은 같다. 나는 82년생. 영화관을 나서며 나는 “나는 김지영이랑 출생연도가 같고 부인은 생일이 똑같네”라고 했다. 그야말로 웃자고 한 소리다. 허나 돌아온 말은 “재밌어?”였다.


<82년생 김지영>은 분명 의미 있는 소설이고 영화다. 다만 보는 이에게 위로보다 먼저 분노를 유발한다는 점에서는 개인적으로 아쉬운 부분도 있다. 물론 이 콘텐츠가 지닌 사회적 가치는 긍정적이라 생각한다.


영화를 보고 난 얼마 후 아내는 나에게 소감을 물었다. ‘대답 잘해야 되는데’라는 긴장이 들었던 게 사실이다.


“영화 속에서 복수의 인물에게서 짠함을 느꼈고 그때마다 울컥했어.”     


먼저 김지영, '결국 내 탓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누군가는 출구를 찾았을 텐데'라며 의사에게 털어놓을 때. 사실 저 말은 여성뿐만 아니라 사회인이라면 살다가 벽에 부딪히는 순간 누구나 한 번쯤, 아니 사실 그보다 더 여러 번 되뇌는 자책이다. 결국 내 탓이구나 하면서 한숨을 내쉬는. 김지영은 여성으로서 아마 벽에 부딪히는 순간이 더 많았을 거다. 


김지영 엄마, 딸의 상태를 본 엄마는 자신을 희생해 딸을 돕기로 결심한다. 여성 한 명이 온전히 자신의 이상을 구현하려면 또 다른 누군가(그게 여자든 남자든)의 희생을 필요로 한다. 누군가의 희생이 없다면 돈이 필요하다. 남자의 성공에도 누군가의 희생이 필요한 게 대부분이다. 개인의 성공에 또 다른 개인의 희생이 필요한 상황은 분명 안타깝다. 지금까지 그 희생의 대상이 주로 여성이었던 건 더 안타깝다. 이러한 사회 구조는 김지영의 딸 아영이가 38세가 됐을 때도 쉽게 바뀌지 않을 것 같다. 그게 제일 안타깝다.     


마지막으로 김지영 남편,

이쪽저쪽 눈치 보는 모습에 울컥했다.

소설 읽을 때는 딱히 남편에 감정이입하지 않았는데 영화 속 공유의 표정을 보니... 너무 공감. 아내가 우는 틈타 나도 몰래 울었다.

82년생 김지영도 52년생 김지영도,

자신에게 닥친 고난이

남편 때문이라고 말하지는 않는다.

그저 화를 남편에게 낼뿐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