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싸가지 밀팀장 Feb 06. 2020

멍청이를 위한 IT 데이터 #2 - 구매 지표

구매관련 지표와 데이터

아무도 가르쳐 주지 않는!
구글과 한국의 IT 대기업에서 보는 기초 데이터!


1편에서는 RU, PU, nonPU등 유저 구분에 대한 지표들을 살펴봤다

1편 보러가기


2편은 데이터의 꽃! MONEY! 구매관련 지표다.

오늘도 역시 예시 데이터는 배달앱으로 잡았다.


[주의사항]

영어 약자들은 회사마다 틀릴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을 사용했 ... 

지만 심지어 나의 현 회사도 내 글과는 다른 약자들을 쓰고 있다. 케바케회바회.



구매 관련

예시 케이스:
오늘 하룻동안 100명이 로그인했고, 10명이 주문했고, 120만원을 벌었다. 주문 건수는 30건이었다.

1. PUR : Purchasing User Rate

= 해당 기간에 구매한 유저의 비율 = PU/AU

예시) 100명이 로그인했고 10명이 주문했으니, 10/100 = 10%

TIP! 가장 중요한 데이터 지표1. 로그인하는 유저의 10%는 주문을 한다는 뜻.


2. ARPPU : Average Revenue Per Purchasing User

= 해당 기간에 구매한 유저 1명 당 평균적으로 벌어들인 돈 = Revenue / PU

예시) 10명이서 120만원을 주문했으니, 120/10 = 12만원 

TIP! 가장 중요한 데이터 지표2. PU 한 사람당 12만원의 가치를 지녔다는 뜻

TIP2! 위 내용과 엮어서 보면, 100명의 로그인한 유저의 10%가 구매하고, 인당 12만원을 쓰므로, 100 * 10% * 12 = 120만원. 그렇다! Revenue가 나온다. (AU * PUR * ARPPU = Revenue)


3. ARPU : Average Revenue Per User

= 해당 기간에 로그인한 유저 1명 당 평균적으로 벌어들인 돈 = Revenue / AU

예시) 100명이 로그인했고 120만원을 벌었으니, 120/100 = 1.2만원

TIP!  AU 한 사람당 1.2만원의 가치를 지녔다는 뜻인데, ARPU는 지금 단계에서 중요성을 깨닫기가 어렵다. 보통 A/B TEST나, AU 중에서 PU가 갑자기 많이 빠져나갔을 때 중요하게 보는 자료이다.


4. TX value : Transaction Value

= 구매 건당 벌어들인 돈

예시) 주문 30건으로 120만원을 벌었으니, 120/30 = 4만원

TIP! 유저들은 평균적으로 4만원짜리 주문을 한다는 뜻.


5. avg TX count: Average Transaction count

= 구매 인당 주문 건수

예시) 10명이 주문 30건을 했으므로, 30/10 = 3건

TIP! 하루에 구매자들은 평균적으로 3번 주문을 한다는 뜻. 

TIP2! 위 내용과 엮어서 보면, 평균적으로 3번 주문을 하고 건당 4만원짜리 주문을 하기 때문에, 하루에 쓰는 돈은 12만원. 그렇다! ARPPU가 나온다. (TX value * avg TX count = ARPPU)


6. Repurchase rate

= 재구매율

예시) 위 케이스에는 없지만, 특정기간 안에 2회 이상 주문한 유저의 비율로, 10명의 구매자 중 2명은 1건만 주문했다고 하면 재구매율을 8/10 = 80%이다.



기업의 제 1 목표는 돈을 버는 것이므로,

구매 관련 지표는 매우 중요하다.

작가의 이전글 멍청이를 위한 IT 데이터 #1 - 유저구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