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장 정리 시간이 무한대로 길어지는 이유
어느새 겉옷이 거추장스러워진 계절이 왔다. 이렇게 계절이 바뀔 때면 묵은 계절을 보내고 새 계절을 맞이하는 경건한 마음으로 미뤄뒀던 일을 시작한다. 지난 계절, 나와 한 몸이 되어 추위와 칼바람을 막아주던 두툼한 옷들에게 잠시만 안녕을 고한다. 행거에 걸어둔 코트와 패딩 점퍼를 차곡차곡 정리한다. 그리곤 옷장 깊숙이 넣어 둔 박스 속 여름옷을 꺼낸다. 서랍 속의 겨울옷들을 꺼내 여름옷들과 배턴 터치를 시킨다. 늦은 봄과 늦은 가을이면 반복되는 연례행사, 옷장 정리를 할 때마다 고장 난 녹음기처럼 반복하는 말이 있다.
어머? 이 옷이 여기 있었네
오래된 유물을 발굴한 고고학자의 기분이 이럴까? 입으려고 아무리 찾아도 보이지 않던 옷은 꼭 옷 정리를 할 때야 발견된다. 옷장을 뒤집고 탈탈 털어도 꼭꼭 숨어 있던 옷이 제 발로 뚜벅뚜벅 걸어 나온다. 한때는 내가 그 옷을 소중히 여기지 않아서 옷장 속에 사는 ‘옷의 요정‘이 먹어 버렸다고 생각했던 적도 있다. 그렇지 않고서야 도망갈 곳도, 훔쳐갈 사람도 없데 어쩜 흔적도 하나 남기지 않고 증발하듯 옷이 사라질까?
옷의 요정의 입으로 들어가 버렸다고 생각한 옷들은 매번 의외의 곳에서 나타난다. 보통은 비슷한 색깔의 옷과 옷 사이에 겹쳐 있거나, 아니면 손도 닿지 않은 서랍 끝 또는 옷장 구석에서 회색 먼지를 뒤집어쓴 채 발견되기도 한다. 가출했다가 집으로 돌아온 자식을 토닥이는 부모의 손길로 옷 먼지를 탈탈 털어 접으며 생각한다. 그래 다시 돌아왔으면 된 거다. 또다시 옷의 요정이 잡아먹지 않도록 방치하지 않을 것이다. 다시 찾았으니 내년엔 더 자주 입으리라 다짐한다.
작년에는 대체 뭘 입고 산 거지?
옷장 정리를 할 때는 계절에 맞는 옷들을 꺼내고 집어넣는 것뿐만 아니라 더 이상 입지 않는 옷들을 버리는 일도 동시에 진행한다. 헤지거나, 묘하게 색이 바래거나, 세탁을 해도 지워지지 않는 얼룩이 있는 회생 불가한 옷들은 1차로 거른다. 또 ‘혹시나‘하는 생각으로 몇 년 동안 집어넣고 빼기만 반복했지만 한 번도 입지 않았던 옷들은 과감히 재활용 봉투에 넣는다. 내 기준은 3년이다. 3년 동안 입지 않았다면 앞으로도 입을 일이 없다. 재활용 봉투에 넣는 순간, 오만 생각이 밀려온다. 갑자기 이 옷을 다시 입고 싶어 지면 어쩌지? 엄마 말대로 아직 입을만한데 물건 귀한 줄 모르고 막 버리는 건 아닐까? 이렇게 저렇게 매치하면 그렇게 이상하진 않잖아?
하지만 미련을 덕지덕지 붙은 그 옷의 존재는 딱 반나절 후면 까맣게 잊는다. 마치 내 곁에 한 번도 없었던 것처럼. 그래서 미련 없이 버려야 한다. 세상 빛 한 번 보지 못하고 내내 어두운 옷장 지옥 안에 갇혀 있던 옷들에게 비로소 자유(?)가 허락된다. 이런 과정을 거치고 나면 보통 옷의 1/5 정도가 정리된다. 마음의 짐처럼 남아 있던 묵은 옷들이 사라지면 드디어 옷장에 숨통이 트인다.
와 이 옷도 벌써 N 년 넘게 입었네
최종에 최최종에 최최최종, '이게_레알_Final_최최최종’ 타이틀이 붙은 저장 파일 이름처럼 최후의 옷들만이 남는다. 세어 보면 작년에는 벗고 다녔나 싶을 정도로 몇 개 없다. 게다가 살아남은 옷들을 보면 새로 산 옷들보다 평균 5년 이상은 된 연식 있는 옷들이다. 오래된 옷들의 가장 큰 장점은 ‘편안함’이다. 시간이 쌓여 묘하게 내 몸매에 맞춰 옷이 변형된 느낌이 있다. 또 어떻게 매치해 입을까 고민할 필요 없이 이 옷과 어울리는 몇 개의 착장들이 머릿속에 박혀 있다. 그래서 때가 되면 손이 가는 옷들은 계절마다 시작되는 옷장 서바이벌에서 살아남고, 그렇지 않은 옷들은 대게 옷장에서 몇 년 묵히다 재활용 봉지로 직행한다.
몇 년이 넘도록 꾸준히 같은 옷을 입는다는 건 크게 체형이 바뀌지도 않았고, 취향은 더더욱 바뀌지 않은 덕이 가장 크다. 화려한 장식이나 패턴, 유행 타는 디자인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래서 몇 년이고 두고 입을 수 있는 심플한 디자인에 탄탄한 소재로 만든 옷을 좋아한다. 하지만 그런 옷을 만나기란 힘든 일이다. 마치 외모, 성격, 능력, 취향까지 꼭 맞는 완벽한 이상형을 만나는 것만큼이나 어렵다.
새 옷을 산 게 언제였더라?
이 글을 쓰며 곰곰이 생각해 봤다. 마지막으로 새 옷을 산 게 언제였지? 1년 전, 여름을 앞두고 빛바래고 목 늘어난 티셔츠를 대신할 흰 면티 몇 장을 산 게 다였다. 청바지에도, 면바지에도, 리넨 바지에도, 스커트에도 또 추운 계절에는 이너로도 두루 입었던 심플한 흰 면티. 여름이 지나고 가을, 겨울 다시 봄이 올 때까지 닳도록 입었다. 가끔 뜨거운 물에 푼 과탄산소다로 표백 샤워를 해주기도 했지만 시간의 흔적이 쌓인 묵은 사용감은 어쩔 수 없다. 한 계절에만 입는 옷이었다면 이미 5년은 족히 입은 횟수였을 테니 당연한 결과다. 그래서 아무리 관리를 잘해도 외출용 흰 면티는 1년 안에 홈웨어나 잠옷이 되고 만다.
큰 맘먹고 새로 옷을 사려고 온 오프라인을 이리저리 뒤져도 마음에 쏙 드는 옷을 찾기 힘들다. 새 옷을 사고 꾸미는 일에 열을 올리는 게 이미 피곤해진 나이다. 매 시즌 신상을 쏟아 내는 의류 업체의 주요 소비 타깃과 한참 멀어진 탓일까? 유행에 목매지도 않고, 지갑도 확확 열지 않는 나 같은 소극적 소비자를 위한 옷들을 갈수록 찾기 어렵다.
나름 꾸미는 일에 목숨을 걸던 시절에는 #신상 #잇템 이라는 타이틀이 붙으면 질도 가격도 보지 않고 카드 긁기 바빴다. 하지만 분명 유행도 다 안 끝났는데 몇 번 세탁하면 걸레 상태가 되는 허접한 옷들에 뒤통수를 세게 맞은 후 옷에 붙은 태그부터 본다. 어떤 소재로 만들어졌는지, 가격은 그에 합당한 가치가 있는지? 꼼꼼히 따진다. [ 1단계 - 태그 테스트 ]를 통과하면 더 깐깐한 [ 2단계 - 착용 테스트 ]가 기다리고 있다. 입어보고 내 몸의 상태와 어울리는지, 피부에 닿는 감촉은 어떤지도 파악한다. 그리고 매장을 나와 근처를 한 바퀴 둘러보며 생각을 정리한다. 이 옷과 매치해서 입을 만한 옷들이 집 옷장에 있는지? 이 옷이 정말 내게 필요한지 곰곰이 생각한다. 그걸 통과해야 최종 관문 ‘결제’에 도달할 수 있다.
꾸미는데 혈안이 되어있던 20대 시절에는 사는 건 쉬웠는데 버리는 건 어려웠다. 꾸미는 게 귀찮아진 지금은 버리는 건 쉬운데 사는 건 어렵다. 물건을 사는(Buy) 것도, 삶을 사는(Live) 것도 어렵다. ‘산다 ‘는 건 말처럼 간단한 일은 아니다. 내 삶에 없던 새로운 걸 들이기 위해서는 머무를 공간도 마련해 줘야 하고, 소외되지 않도록 관심도 가져줘야 하고, 상태를 잘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도 해줘야 한다. 반려 동식물처럼 살아 있는 생명을 들이는 것만큼은 아니겠지만 ’ 반려 무생물‘에게도 꾸준한 사랑과 관심을 가져 줘야 한다. 그 책임감 때문에 사는 일뿐만 아니라 새로운 물건을 집에 들이는 일, 새로운 사람과 관계를 맺는 일에 점점 더 신중해지는지 모르겠다.
살아가는 한 난 분명 새로운 옷을 사고, 새 물건을 사고, 새로운 사람을 만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예전처럼 오기 전에 망설이고, 떠나고 나서야 후회하는 일은 더 이상 하지 않을 거다. 옷도, 물건도, 관계도 다 때가 있다. 뭐든 시간이 지나면 빛바래게 마련이다. 함께 하는 그 순간 최선을 다해 만끽하고, 미련 없이 보내줄 것이다. 그래야 또 새로운 것들을 받아들이고 또 보낼 수 있을 테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