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행복마중 윤정란 Sep 04. 2024

6화. 승부욕이 강한 아이 육아법

7세 승민이는 지는 것을 싫어합니다.

유치원에서도 편을 나누어 하는 게임에서 지면, 친구에게 너 때문에 졌다고 따지는 모습을 보입니다.

집에서도 아빠와 운동이나 보드게임을 할 때, 어떻게 해서든(규칙을 바꾸기도 하고, 판을 엎기도 하면서) 아빠를 이기려고 합니다. 지면 씩씩거리며 울면서 자신이 이길 때까지 다시 하자고 하지요.

지는 것을 견딜 수 없어하는 승민이가 스스로를 너무 힘들게 하는 것은 아닌지, 친구들과의 관계도 원만하게 유지해갈 수 있을지 승민이 엄마는 걱정이 가득합니다.




사람은 누구나 욕심이 있지요. 

내가 이 분야에서는 잘 하고 싶다는 마음이 성장을 시키는 원동력이 되기 때문에 욕심이 있다는 것은 나쁜 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모든 상황이 내가 원하는 대로 이루어질 수만은 없기 때문에 받아들여야 하는 것은 받아들여야 삶을 편안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승민이의 경우처럼 모든 것에서 내가 이겨야만 하고, 잘 해야만 한다고 생각하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이런 아이들의 특성은 진취적이고 행동이 빠르고 무엇이든 적극적입니다. 결과가 좋을 때는 좋은 기분이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좌절감에서 벗어나기 어려워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들의 행동은 기질적으로 타고나는 부분도 있지만,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승부욕이 강한 아이들도 환경을 살펴보면 결과 중심의 분위기 속에서 자랍니다. 좋은 결과, 부모가 원하는 결과가 나와야만 칭찬을 받는 환경에서 자란다면, 아이는 인정받고 싶은 마음에 결과에 집착하며 승부욕이 커질 수밖에 없는 것이지요.

또, 다른 환경은 모든 것이 아이 위주로 돌아가는 환경 속에서 자라는 경우이기도 합니다.

아이가 조금이라도 힘들까 봐 부모가 다 해주는 환경이거나, 아이가 원하는 것을 다 들어주는 환경에서 자라난 아이들은 좌절을 경험해 보지 못합니다.

내가 원하는 대로 되지 않는 것도 알아야 하는데, 모든 것이 원하는 대로 되니 내 뜻대로 되지 않는 환경을 견디기 힘들어하는 것이죠.

그러다 보면 결과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승부욕이 강한 아이 육아법


1. 결과보다 과정에서의 즐거움을 느끼게 해주세요.


결과에 대해서만 피드백을 받게 되면, 아이는 결과에 집착하며 승부욕을 나타낼 수밖에 없습니다.

해 나가는 과정에서 어떤 기분을 느꼈는지, 그런 방법은 어떻게 생각할 수 있었는지, 집중할 수 있었던 나만의 비법이 있는지 등등 과정에서 느끼는 감정들을 헤아려주세요.

열심히 했었던 자신의 노력과 감정을  충분히 공감받고 인정받은 아이는 진 것에 대해서 속상해하지 않습니다. 결과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해 나가는 과정에서 성장하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는 것이 더 좋은 감정이라는 것을 알게 되는 것이지요.

과정의 중요함을 아는 아이들은 결과가 지더라고, 실패하더라고 좌절하지 않고 이것을 발돋움 삼아 앞으로 나아갈 힘을 얻게 됩니다.



2. 진 경험도 필요합니다.


이때는 부모의 반응이 중요합니다.

결과가 안 좋게 나와 아이가 낙담을 할 때 부모는 옆에서 아이가 열심히 했던 마음, 져서 속상한 마음을 공감해 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번 경험을 통해 새로 배우게 된 것에 초점을 맞추어 이야기를 나누면 아이는 진 것에 대한 속상함도 있지만, 다시 열심히 해보고자 하는 마음을 갖게 되지요.



3. 규칙의 필요성을 알려주세요.


승부욕이 강한 아이들은 내가 이기기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으려고 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아이에게 규칙이 있어야 하는 이유, 규칙을 통해 같은 조건에서 정정당당하게 이기는 모습에 대해 이야기를 해주어 아이가 충분히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그리고 규칙을 지키며 그 안에서 나의 노하우를 터득할 수 있도록 격려해 주어야 합니다.

같은 규칙을 지키며 이겼을 경우 아이의 자존감은 올라가고 자신에 대한 긍정적 인지도 올라갑니다.




우리는 결과 중심의 사회에 살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유아기의 아이들, 학령기의 아이들에게도 결과만 강요하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과정의 중요성보다 결과만 중요하다 느끼는 아이는 성인이 되어 결과를 내기 위해 도덕적이지 않은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도덕성, 정정당당함의 힘은 성인이 되어 뚝딱 만들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어렸을 때부터 어떤 환경에서 자랐느냐가 중요하지요.

아이가 과정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세요.


매거진의 이전글 5화. 친구를 가르치려는 아이 육아법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