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in eden Jan 29. 2021

시청률과 브런치 조회수의 공통점

작가로운 생활

브런치 알림이 휴대폰 화면 상단을 스치고 지난다.

‘겨울 냄새 품은 어묵탕’ 조회수가 1000을 돌파했습니다

하루 평균 스무 명 남짓 들어올까 말까 한 내 브런치가 조회수 천이라니, 잘못 봤나.

얼마 안돼 조회수 2000, 3000, 4000을 돌파했다는 알림이 연이어 뜨고 나서야 상황 파악을 해본다. daum 홈에 브런치 글이 떠서 조회수가 급 폭발했다던 다른 작가님 글을 본 기억이 그제야 난다. 의도치 않은 선행학습을 따라 daum으로 가보니...


daum 홈&쿠킹 페이지


이어 한 작가님이 브런치 홈에서 내 글을 봤다며 축하 댓글을 달아주셔서 이 역시 확인해보니,


브런치 홈


그렇게 급작스럽게 늘어난 조회수의 원인을 파악하고 약간은 얼떨떨한 기분이 들었다. 저렇게 열심히 캡처해둔 나를 돌아보니 꽤 설렜던 것도 같다.

이후 저 글과 나의 브런치는 조회수 7000 돌파 알림을 끝으로 다시 평정을 되찾았다. 유명 작가분들은 어렵지 않게 넘나드는 숫자이겠으나 브런치를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나같은 브린이에겐 꽤나 놀라운 기록이었다. 남편에게 이 사실을 알렸더니 그는 당장이라도 내 앞에 유명세가 대기하고 있는 마냥 들떠 기뻐했다. (남편은 내가 글을 잘 쓴다며 내 글을 정말 많이 아껴준다. 평소 글을 많이 안 읽는 편이다. 쿨럭) 그런데 그 순간, 내 속 깊숙이 잠자고 있던 까칠하고 공격적인 방송작가가 소환됐다.

‘조회수 그게 뭐. 그거 한번 잘 나왔다고 앞으로도 잘된단 보장있나. 계속 제대로 된 걸 내놓지 않으면 한번 반짝하고 마는 거지. 잊히기가 얼마나 쉬운데.’


방송은 성질 급한 내게 꽤나 잘 맞는 일이었다. 결과물에 대한 피드백이 바로바로 산출되기 때문이다. 시험성적 같은 ‘시청률’로써. 시청률만을 위해 프로그램을 만드는 건 아니라고 하면서도 방송 다음날 아침엔 반드시 숫자를 마주해야 했다. 그것은 나를 기쁘게 했다가 좌절하게도 만들고 욕심나게 하고 기대하게 만들었다. 누구나 볼 수 있고 누군가 봐야 존재 의미가 있는 방송을 만드는 한, 시청률에 있어선 좀처럼 쿨해질 수가 없었다.


“시청률 같다.”

“뭐가?”

“브런치 조회수. 시청률이랑 비슷한 거 같다고.”


누구의 반응을 신경 쓰지 않고 유유자적 나 좋은 대로 브런치 글을 쓰다가 생각지도 못하게 ‘조회수’라는 숫자를 마주하니 그때의 기분이 든 것일까.

TV 시청률과 브런치 조회수, 둘의 공통점이 머릿속에 정리되기 시작했다.




공통점 1. 어떤 아이템이 터질지 모른다

물론 전략적으로 되겠다 싶은 걸 방송으로 만들고 그 예상이 적중해 높은 시청률이 나오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전혀 생각지도 못한 아이템이 대박을 터뜨리기도 한다.

나영석PD의 대표작 ‘삼시세끼’는 기획회의 때부터 대부분의 스태프가 반대한 아이템이었다고 한다. 주구장창 세끼 밥만 만들어먹는 걸 누가 보겠냐는 이유였다. 심지어 촬영과 편집 후에도 이렇게 잘될 거라 전혀 예상하지 못했단다. 하지만 대박이 터졌고 평균 10%가 넘는 시청률과 고정 시청자층을 보유하며 매 시즌 사랑받고 있다.  

내 경우엔 연예인이 반려견 키우는 프로그램을 만들 당시 기대했던 것 이상으로 시청률이 터져 채널의 간판 프로그램이 됐고, 이후 비슷한 반려견 관련 프로그램이 줄줄이 런칭됐었다. 이처럼 반드시 될 거라 확신한 아이템이 꼭 잘 되는 것도, 의심을 가졌던 아이템이 꼭 안 되는 것도 아니다.

물론 잘되는 아이템엔 시대의 니즈를 잘 읽어냈다는 공통점이 있다. 스트레스 넘치는 사회생활과 자극적인 컨텐츠로부터 도망쳐 힐링하고픈 마음, 반려동물을 키우는 1인 가구가 늘어나는 사회적 분위기가 삼시세끼와 반려견 프로그램의 성공으로 이어진 것이다. 거기에 비하긴 부끄럽지만 내 글도 추운 겨울, 겨울에 생각나는 음식, 집밥의 보편화라는 현 상황에 맞는 글이었기 때문에 홈에 걸렸고 많은 사람들이 본 게 아닐까 싶다. 사실 그걸 노리고 쓴 것도 아니었고 그런 조회수를 전혀 예상하지도 못했지만. (방송작가 10여 년차에 전략없이 글을 쓴다는 건 그닥 자랑이 아니지 싶다.)

브런치에도 전략적으로 되는 글을 쓰는 똑똑한 경우도 꽤 있지만 별 의도없이 그저 솔직하게 털어놓은 글로 출간을 제안받는다거나 새로운 길이 열리는 경우도 많은 걸 보면 어떤 아이템이 터질지는 모르는 거고, 모든 글에는 대박 가능성이 있다.


공통점 2. 대박집 따라한다고 다 대박나진 않는다.

방송일을 하면서 싫었던 것 중 하나가 ‘따라 만드는 것’이었다. 흔히 ‘우라까이 한다’고 하는데 (쓰지 말아야할 일본식 표현이지만 방송가에서 많이 쓰인다) 적당히 바꿔서 다시 만든다, 결국 적당히 베낀다는 뜻이다. 하늘 아래 완벽히 새로운 건 없다는 말을 면죄부 삼아 요리가 된다 싶으면 요리 프로그램을, 낚시가 뜨면 낚시 프로그램을, 트로트가 대박나면 트로트 프로그램을 만들어달라는 제안이 온다. (최근 트로트가 잘 되니 너무 심하게 비슷한 프로그램들이 우후죽순 생겨난다 싶더니만, 결국 포맷 표절 소송으로 번졌다. 이 사건이 방송가 인식 개선의 계기가 됐으면 하는 바람이지만 이런 의문도 든다. 베낀다고 소송 건 방송사, 당신들은 정녕 떳떳한가)

물론 현재 시청자들이 좋아하고 트렌드를 반영한 방송을 만드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오리지널의 장점을 극대화해 더 나은 프로그램을 선보이는 경우도 있으니 무조건 나쁘다고만 할 순 없다. 다만 남이 잘된 걸 보고 그저 베끼듯 따라한 프로그램이 과연 얼마큼의 재미와 진정성을 지닐 수 있을지는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 상상 이상으로 영리하고 냉정한 요즘 시청자들을 그런 수준의 프로그램으로 홀릴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오만에 가깝다.

브런치에서도 다른 작가의 좋은 글을 보고 아이디어를 얻을 순 있겠지만 그 속에 내 것이 없다면 그 글은 진짜일까. 내공이 다른데 그저 따라한다고 다 대박나는 것도 아니고, 설사 대박에 편승할 순 있더라도 그건 떳떳이 내보일 수 있는 내 것이 아닐 것이다.


공통점 3. 또 터트리고 싶다. 그러나..

어찌 보면 도박과 같다. 한번 잭팟을 터뜨리면 그 맛을 잊지 못하는 것처럼 높은 시청률로 노력을 보상받고 내 감이 맞았구나 확인하는 순간은 정말 짜릿하다. 자연스레 다시 이 맛을 보고 싶은 욕심이 드는 데, 시청률은 한번 터뜨리는 것보다 계속 유지하는 것이 더 어렵기 때문에 제작진은 늘 머리가 터지도록 고민한다. 그 노력은 박수받아 마땅하다. 다만 누군가는 또 터뜨리고 싶은 욕심을 제대로 녹여내 퀄리티 높은 웰메이드 프로그램을 만들고, 누군가는 중심을 잃고 자극만을 쫓는 데서 차이를 보인다.

서바이벌 프로그램은 참가자를 괴롭히는 데 혈안이 된마냥 갈수록 더 지독한 미션을 던지고, 리얼리티를 앞세운 관찰프로그램은 흥미를 끌만한 아이템을 거짓으로 연출하기도 하며, 출연자를 존중하고 보호하기보단 악마의 편집으로 이슈를 만들고 소위 어그로를 끄는 데 급급한 것이 후자의 경우다. 나는 떳떳하냐고? 위의 경우는 내 경험이기도 하다. 이 일을 좋아하면서도 종종 회의감을 느낀 이유기도 하고.

방송이 됐든 브런치가 됐든 더 잘 만들고 잘 써서 더 많은 사람에게 인정받고 싶다는 욕심이 생기는 건 어쩌면 당연하고 이를 위한 노력도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그 때문에 내가 하고자 한 것이 무엇인지 길을 잃는 순간, 시청자도 독자도 가차없이 떠날 게 분명하다.




‘조회수’가 쏘아올린 공 덕에 내가 좋아하는 일과 양분이 된 경험과 함께한 사람들을 오랜만에 떠올렸다. 껴맞춘 듯한 느낌을 지울 수 없지만 시청률과 조회수의 공통점을 찾는 일은 꽤 즐거웠다. 아, 그리고 무엇보다 분명한 공통점 하나를 찾아냈다.

높은 시청률 한 번이 프로그램의 탄탄대로를 보장하진 않듯 평소와 다른 높은 조회수가 내 브런치의 가치까지 높여주는 건 아닌지라 매우 쿨한 척했지만, 시청률이든 조회수든 터지면 어쨌거나 기분은 좋다는 거. 이제 그 힘으로 쓰고 싶은 걸 또 맘껏 써야지.


​​

# 브린이를 설레게  조회수




작가의 이전글 나의 첫 단편 시나리오 (2)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