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언철 Mar 04. 2021

대장암의 병기

대장암의 기수가 어떻게 되나요?


대장암 (결장암, 직장암)을 진단받으시는 환자 분들과 보호자 분들이 가장 궁금해 하시는 부분...

"선생님 제가 대장암이라고 하는데 그럼 도대체 몇기 인가요?" 하는 질문을 제일 많이 받습니다.

암의 병기라고 하는 것은 4기의 경우는 수술 전 검사에서 간전이나 폐 전이와 같이 원격전이가 명확하게 보이는 경우에는 진단을 할 수 있으나 수술 전 검사로는 정확하게 1기 부터 3기까지는 나눌 수가 없습니다.

1기 부터 3기가 의심되는 환자 분들은 수술을 시행하여 암을 제거해 보아야 명확한 기수를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대장암의 병기는 잘 알려져있다시피 1기에서 4기까지로 나뉩니다.

암의 병기는 미국 암 협회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JCC)에서 주기적으로 병기체계를 발표하고 있고 현재는 8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AJCC 병기체계는 전통적으로 해부학을 기반으로 하여 개발되었습니다. T (tumor, 암의 침범 깊이) N (lymph node, 임파절 전이여부) M (metastasis, 원격전이 여부) 을 통해서 구분을 합니다 (TNM staging). 병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간략한 해부학 지식이 필요하고 이에 대해 간략하게 살표 보겠습니다.

우선 대장벽의 구조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대장은 얇은 막처럼 되어 있지만 현미경으로 살펴보게 되면 크게 4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장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장벽의 구조


그리고 대장 주변으로는 장간막이라고 하는 막으로 쌓여 있고 그 안으로 대장으로 들어가는 동맥, 정맥 및 림프절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대장 장간막의 구성

이런 기본적 지식을 가지고 TNM 분류를 살펴보겠습니다.

T 병기는 대장벽의 침범 정도에 따라서 나뉘게 됩니다. T1은 점막층을 침범한 경우, T2는 점막하층, T3는 근육층, T4a는 장막층까지 침범한 경우로 정의합니다. T4b의 경우는 장막층을 넘어 주변 장기로 침범한 경우로 정의합니다.




참조 AJCC 8th edition



N 병기는 림프절로 암이 전이 되었는지에 따라서 나뉩니다. N0는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N1a 는 암주변 림프절 1개에 전이가 있는 경우, N1b는 암 주변 림프절이 2-3개 전이된 경우, N1c는 암주변 림프절에는 전이가 없으나 암침착 (tumor deposit)이 발견되는 경우로 나누게 됩니다. N2a는 4-6개의 림프절에 전이가 있는 경우, N2b는 7개 이상의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로 정의합니다.


M 병기는 M0는 원격전이가 없는 경우, M1는 타장기에 원격전이가 있는 경우로 M1인 분들은 기수가 4기가 됩니다.

M1은 복막전이 없이 한 장기에만 전이가 있는 경우를 M1a, 복막전이 없이 2개 이상의 장기에 전이가 있는 경우를 M1b, 복막전이가 있는 경우 M1c로 세부적으로 나뉩니다.

이렇게 TNM으로 각각의 암이 전이 정도를 파악을 하고 나면 최종적으로 병기를 말씀드릴 수가 있게 됩니다.

구체적인 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대장암의 기수

대장암의 병기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수술을 받으신 분이라고 하면 조직검사결과지를 확인해 보시면 여기에 설명되어 있는 것처럼 표기되어 있을 겁니다.

조직검사결과지 이해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