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Hee Feb 21. 2024

이제 배울 예정입니다.

전공 수업 그리고 공통 교직 수업

두근두근 나의 대학원 생활이 곧 시작된다. 그전에 이번 2024년도 1학기 시간표를 토대로 어떤 것을 배우는지 강의 계획서를 토대로 어떤 걸 배우는지 공유해보려 한다. 




첫 번째 전공과목 : 영어교사를 위한 자연어 처리

Course Title : Natural Language Processing for English Teachers

영어교육과 인공지능의 융복합적인 사고를 고양할 수 있는 학생중심 프로젝트기반의 수업으로 학생중심의 협력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협업 능력을 향상하는 방식이다. 학생들이 습득한 지식을 영어 교실에 구현할 수 있도록 영어 교육과 NLP 기술의 통합된 지식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과정의 첫 번째 부분에서, 학생들은 피토를 통해 NLP의 기본을 바탕으로 하며 두 번째 부분은 학생들이 습득한 지식을 구현함으로써 자신만의 영어 수업을 개발한다.


주차별로 배울 내용


1st Introduction: Colab

2nd Python basics 1

3rd Python basics 2

4th Python basics 3

5t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via Python 1

6t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via Python 2

7 thNatural Language Processing via Python 3

8th Mid-term exam

9th Text classification

10th Topic modeling

11th NLP into English classroom 1

12th NLP into English classroom 2

13th NLP into English classroom 3

14th NLP into English classroom 4

15th Final presentation


이 과목을 선택한 이유는 이중언어교사라고 해도 한국어를 가르칠 때 보다 자연스럽게 하기가 힘든 경우도 종종 있다. 유용하게 쓰임이 있을 것 같아 나의 첫 전공 수업으로 선택을 하게 되었고 기대가 된다. 잘 배워서 현장에서도 적용을 해보려 한다. 



두 번째 전공과목 : 영어문법지도법

Course Title : Teaching English Grammar 


역사적 관점을 포함한 문법 교육과 현재의 주요 접근 방식을 배우며 수업 크기, 기술 사용과 같은 주요 문제뿐만 아니라 실용적인 기술을 가진 초급, 중급, 고급과 같은 다양한 수준의 교육이 포함될 것이다. 참가자들은 과정에 마이크로 티칭 구성요소를 사용해 이론을 목표로 한다.


1st  Introduction week

Syllabus and course overview


2nd How NOT to teach grammar (Thornbury)

Examples and discussion of how NOT to teach grammar

Examples of how to teach grammar in a way that is meaningful and student-centered


3rd Rules of teaching grammar (Thornbury)

Inductive vs deductive teaching

Prescriptive vs. descriptive grammar

"Context of use" examples


4th Grammar for beginner learners:

Principles and tasks (Nunan)

Example activities for teaching grammar to beginner learners


5th Student micro-teaching for beginner learners

(drills, info gaps, comprehension check questions, and more)


6th Grammar for intermediate learners:

Principles and tasks (Nunan)

Example activities for teaching grammar to intermediate learners


7th Student micro-teaching for intermediate learners

(conscious-raising, problem solving, surveys, and more)


8th Grammar for advanced learners:

Principles and tasks (Nunan)

Example activities for teaching grammar to advanced learners


9th Student micro-teaching for advanced learners

(projects, values clarification, sentence sequencing, and more)


10th Example grammar lessons and scaffolding techniques

Key issues in teaching grammar:

Multi-level classes, learning styles, and using technology (Nunan)


11th How to teach grammar from rules, examples, and texts (Thornbury)

Example activities

Introduction to final assignment


12th Lesson plans workshop and feedback session

Students will act upon feedback in the first section of the course to create and teach improved grammar lessons


13th & 14th & 15th Final grammar micro-teaching with feedback


이 과목을 두 번째 전공과목으로 선택한 이유는, 문법을 모두 아는 것 같지만? 막상 또 헷갈리는 게 문법인 것 같다. 과연? 내가 지금까지 가르쳤던 Grammar 수업이 괜찮았는지 점검을 해볼 수 있을 것 같고, 새로운 교수법을 배워 적용을 하기 좋을 것 같이 선택했다.




세 번째 공통교직 과목 : 학습장애의 진단과 교육 

Course Title : Learning Disability Diagnosis and Education


본 교과는 현장교사들이 학습장애 학생 및 학업과 관련하여 심각한 저 성취 문제와 학습된 무력감에 시달리는 학생들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이들의 학업 문제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실제 역량을 신장하도록 돕는다.


1) 학습장애의 정의, 원인, 특성, 교수법 등 전반을 이해한다.

2) 학습장애를 진단, 평가하기 위한 방법, 절차, 검사도구 등을 이해하고, 관련 이슈(학습부진, 학습곤란 학생 등) 및 예방적 교수실제를 통찰한다.

3) 학습장애 학생을 체계적으로 진단, 평가하기 위한 교육과정중심측정(CBM)의 원리를 알고 교수실제에 적용할 수 있다.

4) 학습장애 학생의 주요 문제인 읽기, 쓰기, 수학 학습문제와 교수적 지원 방법 및 구체적인 자료들을 학습한다.

5) 학습장애와 빈번히 공존하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에 대한 이해, 교수법, 오해와 실제를 학습한다.

6) 사례연구 프로젝트를 통하여, 학습문제를 겪는 학생들을 위한 완성도 있는 교수설계가 가능하도록 교사효능감을 지원한다.


주차별로 배울 내용

1st 

: 학생들의 사전 배경 및 특수교육 경험 등 점검

■ 학습장애 개관

- “학습장애, 학습부진, 학습곤란, 경계선 학생은 과연 누구인가?”

*2023 최근의 이슈 확인

2nd ■ 학습장애의 전반적인 이해

- 정의, 원인, 특성, 교수법

- 학업적, 행동적, 심리·정서·사회적 지원 요구

* ADHD “그것이 알고 싶어요: 오해와 진실”

* 동영상, 각종 통계치, 2023 국제 및 국내 동향

3rd ■ 학습장애 진단·판별의 시작: 비공식적 평가

- 교육과정중심측정(CBM)

- “what/how to teach를 향한 도전!”

- 임상적 판단: 과학성, 객관성

* 교육과정중심측정 연습

4th ■ 읽기 장애 Ⅰ.

- 읽기 장애의 이해, 특성, 오류분석

- 현장 기반의 사례 나눔과 이슈 확인

5th ■ 읽기 장애 Ⅱ.

- 읽기 장애 학생을 위한 교수법, 교수전략

- 현장 기반의 사례 나눔과 이슈 확인

6th ■ 읽기 장애 Ⅲ.

- 읽기 장애 학생을 위한 교수자료, 교재·교구

- 소과제 발표/피드백 ①

: 읽기 장애를 가진 학생을 위한 교재·교구 제작 및 발표, 나눔

7th ■ 읽기 장애 Ⅳ.

- 읽기 장애 학생을 위한 교수자료, 교재·교구

- 소과제 발표/피드백 ②

: 읽기 장애를 가진 학생을 위한 교재·교구 제작 및 발표, 나눔

8th ■ 쓰기 장애 Ⅰ.

- 쓰기 장애의 이해, 특성

- 쓰기 장애 학생을 위한 교수법, 교수전략, 오류분석

- 현장 기반의 사례 나눔과 이슈 확인

9th ■ 쓰기 장애 Ⅱ.

- 쓰기 장애 학생을 위한 교수법, 교수전략

- 쓰기 장애 학생을 위한 교수자료, 교재·교구

- 소과제 발표/피드백 ③

: 쓰기 장애를 가진 학생을 위한 교재·교구 제작 및 발표, 나눔

10th ■ 수학장애 Ⅰ.

- 수학장애의 이해, 특성, 오류분석, 교수법

- 현장 기반의 사례 나눔과 이슈 확인

- 현장 기반의 맞춤형 교수전략 탐색

11th ■ 수학장애 Ⅱ.

- 수학장애 학생을 위한 교수전략, 교수자료, 교재·교구

- 현장 기반의 사례 나눔과 이슈 확인

- 소과제 발표/피드백 ④

: 수학장애를 가진 학생을 위한 교재·교구 제작 및 발표, 나눔

12th ■ 기말고사

* 기말프로젝트 사전 오리엔테이션

: 주제, 구성, 내용, 방법, 기타 논의와 피드백

13th ■ 기말고사 답안 해설 및 주요 내용 복습

* 기말프로젝트를 위한 중간 나눔

: 궁금한 사항, 과제의 방향, 사례 중간 피드백 등

14th ■ 기말 프로젝트 발표 및 나눔 Ⅰ.

- 현장 기반의 아이디어 나눔, Q/A

15th ■ 기말 프로젝트 발표 및 나눔 Ⅱ. 학기 마무리

- 현장 기반의 아이디어 나눔, Q/A


이 과목을 선택한 이유는 10년간 가르쳐 오면서 다양한 성향의 아이들을 만나곤 했다. 당연히 배움의 속도, 성장하는 속도는 현저하게 아이들 모두 다르다. 배움을 바로 습득하는 아이들이 있는가 하면, 이해하는데 시간이 걸리거나 응용을 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아이들도 있다. 어려움이 있는 부분을 이론적으로 자세하게 배워보고 현장에서도 바로 써먹어 보자!라는 마음으로 선택했다. 


일과 공부가 힘들겠지만, 그만큼 나에게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 줄거라 확언한다. 직장인 대학원생 모두 모두 힘내서 살아가기를 바란다! : )




작가의 이전글 조용한 주말, 다정한 집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