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r Paul Jan 24. 2018

겨울철 죽음을 부르는 심혈관질환

심근경색의 원인과 예방

겨울철이 되면 심근경색 등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사고 소식을 자주 접하게 되죠. 유달리 추운 날씨에 심근경색 사망사고가 많은데 도대체 심근경색이 무엇이며, 왜 갑자기 일어나 목숨을 앗아가는 것인지 궁금해집니다.     


심근이란 심장근육 말합니다. 그리고 '경색'은 '굳어진다.'란 말인데요. 즉, 심장이 멈춤을 의미합니다. 심장이 멈췄으니 사망하게 되는 것이죠.    

 

심근경색의 원인

결론부터 말하자면 심장이 멈추는 것은 혈액공급이 안되었기 때문입니다.    

모든 장기들은 혈액공급이 되어야 활동을 유지할 수 있는데요. 그 이유는 혈액 속에 에너지원인 산소와 영양분이 실려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호흡을 통해 들이킨 산소와 식사를 통해 보충한 영양분은 그 자체로 활용되는 것이 아니라 혈액을 타고 온몸을 돌며 전 장기에 공급되고 각 장기를 이루고 있는 세포들이 이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생명활동을 이어가는 것입니다.     

이는 심장도 마찬가지이며, 에너지공급이 끊기고 에너지를 받지 못한 심장세포들이 서서히 괴사하는 심근경색이 일어나는 것이죠.     


결국 심근경색은 '혈액순환'의 문제인 것입니다.     


혈액순환을 방해하여 심근경색을 일으키는 원인은 크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추운 날씨로 혈관이 수축하여 혈관이 좁아진 경우

 둘째, 혈전(피딱지)이 혈관을 막아 혈류를 방해하는 경우

 셋째, 동맥경화로 혈관이 좁아진 경우    


특히 겨울철의 추운 날씨는 혈관을 수축시킵니다. 만약 동맥경화나 혈전이 있는 상태에서 추운 날씨가 더해져 혈관 지름을 더욱 좁힌다면 심혈관질환의 위험률이 더욱 높아지는 것이죠. 이것이 겨울철에 심혈관질환 발생률이 높아지는 이유입니다.     


심혈관질환은 평소 증상이 없습니다. 그러다 한 순간에 죽음으로 몰고 가는 무서운 질환이죠. 특히 혈전이 그런 경우인데, 혈전은 혈액이 응고하여 생긴 피딱지입니다. 이것이 혈액 속을 떠다니다가 좁은 혈관에 딱 막히면 급성으로 위험에 빠지는 거지요.     

좌측 동맥경화 / 우측 정상혈관

반대로 동맥경화는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고 개선하더라도 많은 시간이 걸리는 혈관질환입니다.     

동맥경화는 혈액이 흐르는 주 통로인 동맥혈관이 두꺼워져 혈관지름을 좁힘으로써 혈류를 방해합니다.


두꺼워진 동맥을 절제해보면 그 안에 그동안 쌓인 콜레스테롤 덩어리가 가득합니다.    


그래서 동맥경화를 예방하려면 콜레스테롤 섭취를 줄여야하며, 유산소운동을 통해 혈류량을 늘려야 합니다. 흡연 역시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주요인자 중 하나이니 금연하여야 합니다.     


심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는 요소

심근경색과 같은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려면 혈관을 확장시키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됩니다. 혈관자체를 확장(이완)시키면 혈류량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죠.     


그런데 문제는 그냥 혈관을 확장시키게 되면 혈압조절에 문제가 생긴다는 것인데요. 고혈압도 문제지만 혈관확장으로 인한 저혈압은 더 위험합니다. 그래서 혈관을 확장하더라도 혈관 자체의 탄력성은 반드시 유지되어야 합니다.     


혈관을 이완시키면서도 탄력성을 유지하여 건강한 혈관을 만드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 바로 아르기닌입니다.     

아르기닌은 혈관을 확장시키는 산화질소를 생성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원료로 아르기닌은 체내에서 합성해내지만 30세가 넘어가면 그 합성양이 현저히 줄어들어 각종 혈관질환을 발생률을 높이게 됩니다. 따라서 30세 이후부터는 외부로부터 보충해야 합니다.     



저도 나이가 있는지라 아르기닌 보충제를 이용하고 있는데, 괜찮은 제품이 있어 소개합니다. 


알지포뮬러의 하루 섭취 분량을 보면 3,800mg인데, 이것이 어느 정도의 양이냐면 전복 62마리와 맞먹는 충분한 함량입니다.     

혈관질환을 위한 아르기닌 보충은 남녀 공히 필요하며, 특히 30~40대의 임신을 계획 중인 남성의 경우 아르기닌은 정자의 운동성이 개선되었다는 임상결과가 있으니 참고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닥터들이 들려주는 건강이야기>를 매주 받고 싶으신가요?

그럼 아래의 URL을 눌러 친구가 되어주세요!

매주 새로운 건강이야기가 찾아갑니다.     

     

http://pf.kakao.com/_xgxaPmM    


송재철 박사  

  

약력

-경희의료원 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전문의 과정

-前분당차 한방병원 재활의학과장

-대한민국 배구 국가대표팀 팀닥터(의무위원)

-대한체열학회 이사    

작가의 이전글 눈 건강 필수영양소 3가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