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우현 Jul 19. 2019

'일본통치시대'에 사는 '일부 언론'

국내 일부 언론사는 한국의 소식이 궁금한 일본인들을 위해 일본어판 사이트를 별도로 운영하고 있다. 국제화 시대에 알맞는 온라인 영역 확장 전략이다. 실제로 많은 일본인들이 <조선일보>, <중앙일보> 등 국내언론의 일본어판 사이트를 애용한다.


하지만 며칠 사이 문제가 생겼다. 지난 15일, MBC 시사프로그램 <당신이 믿었던 페이크 2>는 이러한 언론의 일본어판 사이트 보도들이 외려 일본 내 혐한(嫌韓) 분위기를 부추기고 있다고 지적, 국내 상당한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광복'을 '남이 가져다준 독립'으로, 현 정권을 '매국 반일(反日) 정권' 등으로 규정하는 자극적인 문구들이 사례로써 방송에 올라왔다.


논란은 다음날에도 계속 됐다. 특히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은 방송 화면의 일부를 캡처(Capture), “혐한(嫌韓) 일본인의 조회를 유인하고 일본 내 혐한 감정의 고조를 부추기는 이런 매국적 제목을 뽑은 사람은 누구인가?" 라는 메시지를 페이스북에 게재하며 비판했다. 이어 청와대도 17일 오전 브리핑을 통해 관련 언론사의 이름을 직접 거론(조선·중앙일보) 하며 일본어판 보도의 '매국성'을 강력히 규탄했다. 이례적인 일이었다.


이에 대중들의 관심은 이러한 '일부 언론'의 일본어판 사이트가 얼마만큼 매국적이고 반 국가적  기사를 싣고 있는지에 쏠리고 있다. 과연 어떤 기사와 사설이 일본어판 사이트에 실리게 되는지, 내용은 무엇인지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경제보복의 원인이 한국 법원과 정부 탓?


<조선일보>의 일본어판 사이트를 둘러본 지 얼마 되지 않아 다소 충격적인 내용의 사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사설의 제목은 <일본의 경제보복, 한국 정부는 기업을 최전선에 세워서는 안 된다>. 한국어 제목은 <기업을 최전선에 내세우면 안 된다>다. 제목부터 다소 다르지만 크게 문제삼을 정도는 아닌 것으로 판단됐다. 그러나 진정 심각한 문제는 제목이 아닌 내용에 있다. 아래는 <조선일보> 일본어판에 나와있는 내용이다.


애초에 지금의 문제를 불러일으킨 것은 한국 법원과 정부이다. 법원은 <한일청구권협정>에 반하는 형태로 일본 기업에 대한 개인 청구권을 인정하고 일본의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지금의 정부는 이러한 외교적 갈등을 해결하기 이전에, 전 정권과 당시 재판관을 「사법농단」으로 수사하고 관계자를 감옥에 보냈다.




이 사태의 원인이 한국 법원과 정부에 있다는 주장과 함께 <한일청구권협정>에 따라 강제징용 피해자들의 개인 청구권을 포함, 모든 것이 해결됐다는 주장이다. 특히 "지금의 문제를 불러일으킨 것은 한국 법원"이라며 책임을 사법부(대법원)에 돌리고 있는 점이 인상적이다. 이어 <한일청구권협정>에 반하는 형태로 개인 청구권을 인정했다"고 짚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두 주장 모두 '일본 정부가 한국에 강요하는 주장'을 그대로 옮겨놓은 것이다.


이 내용은 한국어판에도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어구가 이처럼 강렬하진 않다. '애초에(そもそも)', '협정에 반하는 형태로 (反した形で)', '거센 반발(激しい反発)'과 같은 어구들이 일본어판으로 넘어오며 추가됐다.


한국 정부가 일본에 폭탄을 던졌다?


사설을 통해 일본 우익 언론이 매우 선호할 만한 반(反) 한국적 표현을 명시하는 경우도 있었다. <조선일보> 의 <'전략적 침묵'한다는 청와대, 무능 무책임일 뿐>는 7월 4일자 사설이 그 주인공이다. 일본어판에서는 <청와대의「전략적 침묵」은 무능과 무책임의 다른 말에 불과하다>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문제가 되는 인용부는 '정부 발(發) 폭탄(=が原因の)'이라는 용어인데 강제징용자 피해자 배상을 둘러싼 외교 갈등의 원인이 한국 정부에 있다는 주장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표현은 극우 언론인 <산케이 신문>에 곧바로 인용된다. <산케이 신문>은 한국의 <조선일보>가 일본 수출규제에 대한 한정부의 대처를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면서 ''정부 발(發) 폭탄'이라는 용어도 그대로 인용했다.




'징용공'(徴用工)' 이라고요?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 당시 강제 징용으로 국외 및 국내로 끌려가 착취와 노동의 피해를 강요당한 사람들을 일컬어 '강제징용 피해자', 혹은 '강제징용 노동자'로 지칭한다. 반면 일본에서는 피해와 착취에 대한 어감을 줄이기 위해 '징용공(徵用工)'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처럼 어떠한 용어를 사용해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는 역사적 사실을 적시하는데 상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따라서 이 '징용공'이라는 용어는 완전한 일본식 왜곡 표현으로 국내 언론이 사용하는 것은 지양되어야 한다. 하지만<조선일보> 일본어판 보도에서 이 '징용공' 용어가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일보>는 5월 29일 자 일본어판에 <전 대법원장의 최초 공판 시작, 징용공 소송 개입 등 = 한국 법원>이라는 내용의 기사를 올렸다.


이러한 보도행태에 결국 우는 것은 강제징용 피해자들이다. 위와 같은 논리들에 따르자면 강제징용 피해자들에 대한 배상 판결은 한국 사법부와 정부가 초래한 경제 보복의 원인이며 폭탄인 것이다.



'일제강점기'가 '일본통치시대'?


7월 9일 <조선일보>는 <수학여행에도 친일 딱지, 시대착오 행진 끝이 없다>는 제목의 사설을 게시했다. 경기도 교육청이 학교생활 속 일제 잔재 발굴 조사를 진행하며 '수학여행', '파이팅' 같은 일상 용어를 청산 대상으로 지정했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됐다.

*「」という言葉すら親日扱いする時代


수학여행은 일본통치시대, 조선의 학생들에게 일본을 견학시키던 행사에서 비롯된 것으로, 수학여행이라는 말까지 「친일」이라고 단정한 것이다.

修學旅行は日本統治時代、朝鮮の生徒に日本を見學させた行事から始まったとして、修學旅行という言葉まで「親日」と決め付けたのだ。


이처럼 본 사설은 지나친 반일(反日) 정서를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 사설을 통해 호도되고 있는 내용과 단어들을 찾아볼 수 있다.


첫 번째로 지적할 것은 '일제강점기(期)'라는 표현이 아닌 '일본통치시대(日本統治時代)'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가볍게 보아 넘기기 어려운 부분이다. '일제강점기'라는 용어에는 일본 제국에 의한 국권 피탈로 식민지 지배를 겪어온 우리 민족에 역사적 관점이 내재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통치시대'라는 용어는 완전히 다르다. 우선 '일제'가 아닌 '일본'으로 표현했다는 것에서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미화적 인식이 나타나 있다. 또 '통치시대'라는 표현에서 일본의 국권 피탈이 '합법적'이었다는 인식이 드러난다. 이 같은 인식에 따르면 한(韓) 민족은 강제력과 불법을 동반한 '강점'의 시대를 살아온 것이 아닌 일본이라는 국가에 의한  합법적 '통치'를 받아온 것이 된다. 이것이야말로 '매국적 역사 인식'이다.


또 사설은 수학여행이 '조선의 학생들에게 일본을 견학시키던 행사'정도로 가볍게 보고 있는데 이 또한 '수학여행'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스토리를 무시한 해석이 된다.


실제 조미은 성균관대 초빙교수의 저서 「재조선 일본인 학교와 학생」(서해문집, 2018)에 따르면 '수학여행'은 '일본인으로서의 자부심을 배양하기 위한 교육'의 일환으로 활용되어 왔다. 일제강점기 당시 수학여행 기간은 1주일 정도로 '만주'의 경우 안둥, 펑텐, 신징, 하얼빈, 다롄 등 당시 일제가 관리하던 남만주철도 노선을 따라 여행을 갔으며 일본으로 수학여행을 갈 경우 시모노세키, 세토나이카이, 오사카, 이세태 신궁, 교토  등의 지역으로 여정을 갔다고 한다.


이에 조미은 교수는 일제가 만주와 일본행 수학여행을 통해 일본과 일본인이 지향해야 할 이른바 ‘대일본제국’의 전망을 제시하려고 했음을 짚었다. 즉, 만주는 전쟁에서 전사한 일본인을 기리는 위령의 공간이자 일본의 위상을 보여주는 곳이었으며 일본 본토는 일제에 대한 숭조경신 정신을 고취시키는 목적에서 여행지로 선택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경기도의 '수학여행 = 친일잔재'라는 논리가 그리 불합리 하다고 볼 수 없다. 적절한 역사적 배경을 담고 있다는 말이다. 그러나 <조선일보>는 수학여행을 친일잔재라 규정한 경기도의 결정을 강하게 비판하면서도 비판에 대한 역사적, 어원적 근거는 제시하고 있지 않다. 논거가 부족한 것이다.



매국적 기사? 예민한 말이지만..


앞선 사례들을 통해 알 수 있듯 국내 '일부 언론'이 운영하는 일본어판 사이트에는 한국인 입장에서 불편한 용어와 보도 내용들이 상존하고 있는 듯하다. 특히 '징용공' , '일본통치시대' 같은 단어의 사용은 해당 언론이 얼마나 일본주의적 관점에서 기사를 작성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또 청와대가 지적한 것처럼 한국어판에서 일본어판 기사로 넘어가면서 제목이 스리슬적 바뀐다거나 강렬한 표현들이 추가되는 부분은 '객관성'있는 보도를 중시하는 언론의 기본적 소양과도 거리가 멀어 보인다.



더 심각한 것은 국가에 대한 뿌리 깊은 불신이다. 물론 정부의 정책은 언론에 의해 강력히 비난받을 수 있다. 그러나 자국 사법부의 판단이 외국과의 분쟁 원인이 된다는 판단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국민들에 의해 '매국적'이라는 비난을 들을 소지는 충분히 있어 보인다.




작가의 이전글 GSOMIA 연장 시한 도래, '꽃놀이 패'는 없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