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Herzog Aug 09. 2019

엑시트, 한국 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CJ 엔터테인먼트가 제공하는 “엑시트”는 대담한 측면이 있다. 음식에 비하면 패스트푸드와 유사한 포지션을 지향하기 때문이다. ‘청년 취준생 용남은 어머니 칠순잔치에서 대학시절 동아리 후배 의주를 만나고, 때마침 발생한 가스 테러에서 함께 탈출한다.’ 한 줄 남짓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이상근 감독은 즐거움에 대한 관객의 욕구를 신속하게 만족시키기 위해 구성을 단순화한다.



생존 앞에서 꿈과 희망을 일찍이 포기한 청년 세대가 무대의 중심에 선다. 극 초반 호프집에서 처지를 한탄하는 용남과 선배의 말처럼, 취준이란 곧 재난 상황이다. 영화 속 국제미래 신도시를 자욱이 덮은 가스는 현세대가 체감하는 막막함과 무기력함이라는 사회적인 맥락에서 기능한다. 현실에서 구조받고 싶은 이들의 염원을 담은 듯 영화는 재난 대피의 스릴에 집중하지만, 장르적 쾌감에만 집중하는 좁은 시야로 인해 영화의 내용과 형식은 메말라가는 것처럼 보인다.


130억 가량의 예산이 투입되었지만 “엑시트”는 B급 영화 같다. 저예산으로 제작한 것처럼 많은 부분이 조야하다. 정체불명의 ‘화학 가스’에 대한 설정부터 다소 편의적이다. 탱크로리에서 사방으로 분출되는 연기는 “해운대”의 쓰나미나 “타워”의 화재 같은 시각적인 강렬함을 결여하지만 가스를 흡입하는 사람들이 피해를 입고 거리는 아수라장이 되었으므로 관객은 그것을 절대적 공포의 대상으로 믿어야 한다. 


인물 관계는 정서적인 연결점이 흐릿하다. 대학시절 고백한 후 거절당했지만 여전히 순정파인 용남과 의주의 속마음은 구체화되지 않는다. 용남의 가족과 친척은 백수인 주인공의 처지를 비꼬거나, 실시간 드론 생중계를 보면서 주인공의 투쟁을 응원하는 역할에 머무른다. 여기에 리얼리티가 다소 아쉬운 CG, 반복되는 패턴의 액션, 단조로운 교차 편집, 겁에 질린 얼굴 클로즈업 위주의 촬영… 그래서인지 언론의 리뷰 기사는 ‘웃긴다’, ‘유쾌하다’, ‘짜릿하다’며 호평을 아끼지 않지만 정작 영화의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말을 아끼는 것처럼 보인다.

 


“엑시트”는 재난 영화의 클리셰를 걷어낸다. 남녀의 사랑, 가족의 유대, 테러 원인에 대한 추적, 재난에 대처하는 각처의 노력은 깔끔하게 요약된다. 그 빈자리에는 “극한직업”과 유사한 스타일의 말장난이 자리하는데, 이는 특유의 재치로 여운을 남기기보다 관객이 지루함을 느끼지 않도록 만드는 마취제 같은 역할을 담당한다. 


시종일관 유쾌한 분위기는 배우 조정석과 임윤아에게 폭넓은 감정 표현을 요구하지 않는다. 하지만 연기력이 검증되지 않은 여배우의 불안한 발성과 부자연스러운 자세는 화면에 그대로 노출된다. 마케팅 효과와 스타 파워의 영향력을 고려한 아이돌 가수의 캐스팅은 눈에 띄는 신인 여배우가 등장하지 않는 현실에 일조하는 것처럼 보인다. 


서사를 간결하게 압축하는 “엑시트”는 장르의 스릴을 확대하고 유지하는 데 심혈을 기울인다. 그러나 연출이 서스펜스를 구축하는 방식은 다소 의심스럽다. 가스를 피해 용남과 의주가 반대편 건물로 건널 때, 편집은 고비를 마주하는 결정적인 순간을 생략한다. 난관을 극복하는 과정은 관객의 상상력에 맡기고 목표점에 안착한 주인공의 모습이 화면에 들어온다. 연출은 고층 건물에 매달린 사람의 이미지를 통해 아찔함을 유발하면서, 베이스 사운드와 빠른 속도감의 편집을 통해 관객이 긴장감을 느끼도록 강제한다. 



재난 영화에서 장르적 쾌감은 탈출 과정의 스릴에 있지만, “엑시트”에서 아슬아슬함은 배우의 아크로바틱한 액션보다 이미지에서 연상되는 고소공포증에 있다. 말초신경을 건드리는 이 스릴은 아마도 영화 매체가 관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가장 원초적인 형태에 해당할 것이다. 그래서일까. 탈출이 본격화되는 중반 시점부터 영화는 맨몸으로 고층빌딩 옥상에서 묘기하는 유튜브의 익스트림 영상과 변별점을 찾기 힘들어진다.


대중에게 선보여지는 장르 영화는 오락성을 추구한다. 하지만 영화의 오락성은 다채로운 이야기와 배우의 연기, 촬영, 미술, 편집 등 형식적 요소가 함께 조화를 이루면서 탄생한다. 장르적 스릴로 위장한 고소공포증을 자극하는 “엑시트”는 영화 매체의 다양한 가능성을 제한적으로 활용한다. 풍성함을 포기한 영화는 B급이 되기를 의도하지 않았지만, 뜻밖의 B급 영화가 된 것처럼 보인다. 

작가의 이전글 나랏말싸미, 왜 영화로 만들어졌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