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온마코코 Jun 26. 2023

MZ 세대 패션 앱 트렌드 및 이용 형태 분석

패션 앱 트렌드

해당 내용은

15~39MZ 세대 대상으로  [오픈서베이]에서 [ MZ 세대 패션 앱 트렌드 2023]에 대한 설문 자료 한 자료를 토대로 작성을 하였음. 의류, 잡화, 가방 등 패션 제품 판매자 또는 쇼핑몰을 운영할 분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쿠팡, 네이버 쇼핑, 11번가 등 종합몰이나 오픈마켓 이용하기보다는

전문 몰(앱)을 이용하여 쇼핑을 하는 추세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MZ 세대 그중에서도 10~20대를 중심으로 그 부분이 가속화되고 있는데,

무신사, 지그재그, 에이블리를 비롯하여, W컨셉, 크림, 29CM등

다양한 패션 앱들이 경쟁을 하고 있다.

그중 48.5%가 무신사를 이용하는 만큼 이 분야에서 독보적인

앱으로 확인된다.

앱마다 구매하는 비중이 상품이 조금씩 다른데, 크림 같은 경우는 신발 구매가 많으며, 지그재그나 에이블리의 경우 여성 고객층이 많다 보니 화장품/향수/뷰티 소품 구매가 많은 것도 눈에 띈다.





먹거리를 배송하는 업체뿐만 아니라 패션 앱들도 빠른 배송을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지그재그의 직진 배송, 에이블리의 샥출발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한다.

이런 부분은 무신사와 차별화되는 부분이라고 여겨진다.




또, 하나 의류 또한 오프라인보다는 이제 온라인 몰 구매가 많다.


하지만, 여전히 의류의 경우 체험해 보고, 구매하는 것을 선호하는 품목 중 하나이다.

그런 고객의 니즈에 맞추어서, 무신사, 29CM 같은 경우 오프라인 매장을 오픈하여, 타 경쟁사와

차별화를 도모하면서 소비자의 니즈를 해소해 주고 있다.   

10~20대 남성은 무신사 이용 비중이 높은 반면

에이블리는 10대 여성 이용자가 매우 높다. 

그리고, 지그재그는 20대 여성 이용자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슷한 특성의 앱이라도 이용자의 성별과 연령이 다르다.

그러니, 만약 해당 앱에 입점을 할 업체라면 타깃에 맞게 입점하는 것을 추천한다.


패션쇼핑엡에서 주요하게 구매하는 브랜드

29CM는 편집샵 답게, 디자이너 브랜드 제품 판매 비중이 높다. 

그리고, 에이블리나 지그재그는 여성의류 판매를 주도하는 것이 개인 판매자 또는 소형 쇼핑몰의 제품 판매 비중이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품 검색 시 정렬방법

베스트/인기/판매 순 > 리뷰, 후기 순 가 대다수를 차지하며, 

최신순과 추천순은 비슷하게 보인다.

고객이 상품을 어떻게 정렬해서 많이 보는가에 따라서, 해당 정렬 순에서 상위를 차지하는 것이

노출도 많이 되고, 판매에도 유리할 것이다. 

만약 당장에 베스트 판매 순이나, 리뷰 후기 순 상위를 노리기 힘들기에, 최신순이나 할인율순 등

다른 정렬방법에서 상위 노출을 노려보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고객은 어떤 부분에 감동 또는 만족할까?

결제 간편, 할인 적립,  배송, 교환 및 반품 등 만족 요소는 매우 다양하다.

저는 이런 부분을 참고하여, 추후 자사몰을 이용할 때 참고하면 좋을듯하다.






작가의 이전글 성공적인 바이럴 마케팅 캠페인을 위한 팁!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