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몇 시간 일해야 해야 적절한가.
과거 전태일열사는 열악한 노동환경과 임금에 자신을 희생하면서까지 노동자의 권리를 안착시켰던 사람이다. 사람은 어느 정도 노동을 해야 버틸 수가 있을까.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정확하게 말할 수는 없지만 과도한 노동은 명을 단축시키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노동시간과 수명과의 관계를 명확하게 연구한 결과물은 많지가 않지만 과거의 사례로 볼 때 연관성이 있다고 생각할 수가 있다. 적어도 심리적인 만족도에는 큰 차이를 보인다. 1834년, 영국은 빈민 구제법을 새로 개정했었다. 공리주의자들이 만든 법에는 공리적 원칙에만 집착하여 새로운 폐단을 양산했다.
산업혁명 이후에 빠른 성장을 하던 영국에서는 노동에서 비인간적인 조치들이 강행되었다. 그러던 중 1837년 찰스 디킨스는 올리버 트위스트라는 소설을 발표했다. 어릴 때 그의 소설을 읽으면서 자랐던 기억이 난다. 열악한 환경에서 태어난 올리버는 부모가 누구인지도 모른 채 비참한 환경 속에서 성장하는데 가혹한 장의사에게서 벗어난 올리버는 악행을 가르치려는 지하 세계의 위협과 그럼에도 선한 의지를 잃지 않으려는 심리적인 대립을 그렸다.
찰스 디킨스는 사회 빈곤이나 부조리한 사회계급, 열악한 노동 환경에 대한 신랄한 비평을 마다하지 않았던 작가다. 19세기의 영국보다 더 나아진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다고 생각하는 대한민국에서 노동의 밀도는 과연 괜찮을까. 2023년 1주일에 일할 수 있는 노동시간의 확대가 이슈가 되었다. 쉽게 말하면 화끈하게 일해서 돈 좀 더 벌고 화끈하게 쉬자는 이야기다. 화끈하게 일한다는 것은 노동시간이 사적인 생활을 대부분을 채운다는 의미다. 문제는 그 시간에 돈을 잘 벌어야 한다. 잘 번다는 것은 화끈하게 쉴 때 쓸 돈이 많을 수 있을 정도의 수준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 부족한 돈을 채울 수 있을 정도로 돈을 조금 더 벌고 기절하듯이 긴 시간을 쉬는 것은 골병들고 삶의 만족도는 떨어진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개인적으로 회사를 다닐 때나 일을 할 때 몰아서 일을 해본 경험이 정말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쉬는 시간이 쉬는 것 같지가 않다. 길게 쉬어도 쉽게 회복되지가 않는다. 사람의 바이오리듬이 그렇게 설계되어 있지 않다. 사람은 아침형 인간이나 저녁형 인간을 구분하지 않아도 기본적으로 밤에 생활하도록 설계가 되어 있지 않다. 만약 궁금하다면 한 달 정도 햇빛을 안 보는 생활을 해보면 몸의 변화가 어떤지 몸소 체감할 수 있을 것이다.
저 많은 시간을 일하게 함으로써 대한민국의 노동자들이 기네스북에 오르게 할 목적이라면 나름 의미가 있을 것 같기는 하다. OECD 보다 더 많은 시간을 일했는데도 불구하고 중대한 질병의 발병률이 적다는 의료적인 통계치도 도출할 수도 있다. 노동의 시간은 분명히 미래에 한국의 성장동력에 문제를 만들 것이라는 예측은 할 수 있다. 경제활동인구가 줄어들고 있으니 가용한 인력을 더 많이 돌린다고 하면 최소한 그 시기는 뒤로 늦출 수 있으니 말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라면 적정한 시간을 일하고 괜찮은 임금을 받고 싶을 것이다. 노동자의 대부분이 중소기업에서 근무하는 이상 자신의 권리를 당당하게 요구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가 않다. 주변에 있는 많은 사람들이 지금 정해진 근무시간에 맞춰서 일할 수 있지 않는 상황에 처해 있다. 노동의 밀도는 삶의 만족도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가지고 있다. 노동시간이 길어진다는 것은 그만큼 다른 기회를 놓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사람을 만날 시간도 없고 취미, 운동을 할 시간조차 줄어들게 된다.
사람이라는 존재는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인지하면서 살아간다. 노동의 사전적인 의미는 식량·의복·집 등 인간의 기본적인 물리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기능을 말한다. 기능이라는 것은 사람의 존엄적인 것을 충족시켜 주는 것이 아니다. 육체적으로 힘든 일을 하면서 몸에 좋은 운동을 한다고 말하는 사람은 없고 정신적인 일을 하면서 창조적인 분야에서 일을 한다는 사람은 없다. 사람은 적당한 노동의 밀도가 필요하다. 차가운 기계처럼 필요한 에너지만 주면 움직일 수 있는 존재가 아니라 판단하면서 만족할 수 있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적어도 찰스 디킨스가 살았던 그 시대의 올리버 트위스트가 되고 싶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