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히쥬 Jul 26. 2022

사랑하는 나의 반려견, 슬이

펫로스에 관하여

2주 전, 사랑하는 가족과 마찬가지였던 슬이가 무지개다리를 건넜다.


사랑하던 존재를 갑자기 잃으니 정말 허망했고, 슬프고, 스스로에게 화가 났다. 

왜 이렇게 해주지 못했을까, 저렇게 해주지 못했을까 해주지 못했던 것들만 생각이 났다. 정확하게 아이의 건강상태를 인지하지 못하고 생각하고 행동했던 것들이 너무도 후회스러웠다. 


펫로스일 때 중요한 건 충분한 애도의 기간을 가지는 것이다. 정말 많이 슬퍼하고 미안해하고 고마워하고 후회하고.. 자연스럽게 찾아오는 여러 감정을 가족과 함께 표현하고 나누고 나니 슬이를 비로소 떠나보낼 마음의 준비가 되는 것 같았다. 30일 안에 해야 하는 사망신고 절차도 오늘에서야 밟을 수 있었다.


펫로스에 대한 글을 찾을 때마다 가장 중요한 건 죄책감을 가지지 않는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정확하게 짚고 평가할 부분은 직면하기로 했다. 그리고 평가해야 할 부분을 가족과 나누었고, 다음 두 가지에 대한 결단이 없다면 반려동물을 키우지 않기로 했다.


1. 내 적금을 깨서까지 반려동물의 치료비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가?

반려동물이 몸이 안 좋을 경우 병원비는 어마 무시하게 나온다. 슬이가 전에 빈혈, 신장 쪽이 안 좋아 입원했을 때 이틀 만에 200만 원 나온 적도 있던 것 같다. 동물보험이 잘 구축되지 않은 제도적인 문제도 있지만 그렇지 못하지 않은 현재의 상황에서는 반려동물을 키우기 전에 이 질문을 반드시 던져봐야 한다. 


2. 반려동물을 위해서 시간, 에너지를 사용할 준비가 되었는가?

반려동물이 가족과 같은 존재가 된 시대다. 심지어 자식 같은 느낌의 반려견을 위해서는 내 시간과 에너지를 언제든지 사용할 준비 또는 의지가 있어야 한다. 이런 마음의 준비가 되어있어도 사람은 실수한다. 사람 아기에 대해 케어하는 만큼 반려동물을 케어하지는 못하더라도 적어도 이 질문을 스스로에게 수만 번 해보고 YES라는 답변이 나올 때서야 키우는 게 맞는 것 같다. 사랑하는 존재를 위해서는 이 정도 책임감은 있어야 하지 않을까? 




나와 가족은 슬이를 통해 새로운 세계를 경험했고, 그 안에서 새로운 감정을 느끼고 새로운 생각과 행동들을 할 수 있었다. 케어를 받을 수밖에 없는 존재임에도 그저 한결같이 가족만을 바라보고 사랑하는 슬이의 마음을 언제 또 느껴볼 수 있을지 모르겠다. 반려동물을 통해서 새로운 세상이 열리는 건 정말 맞다. 슬이와 함께한 시간이 너무 짧아 꿈만 같다. 그 꿈에서 깨어난 후 내 세상은 틀림없이 변했다.


매거진의 이전글 미라클 모닝 도전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