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은조 Nov 05. 2024

가족의 의미

삼식(三食)이들의 모임

우리 가족은 주변 사람들이 인정할 만큼 유난히 끈끈하다. 딱히 계기가 있는 건 아닌데 어머니가 한평생 전업 주부여서가 아닐까 싶다. 아무래도 맞벌이 부모님을 둔 친구들은 집에 가면 심심하다며 외로워했던 기억이 난다. 방과 후엔 어머니와 간식을 먹으며 받아쓰기 시험이 어려웠네, 친구랑 어떤 얘기를 나눴네, 급식엔 뭐가 나왔네 조잘조잘 수다를 떠는 게 일상이었다.


시험 성적표가 나올 때 빼곤 화기애애했던 걸로 기억한다. 학교가 초등학생 보폭으론 꽤 멀었는데 그날은 왜 이리 집에 빨리 도착하던지.



대학을 졸업하자마자 지역 방송국에서 리포터로 방송 일을 하다가 동네 약사가 우리 아들 한번 만나보라며 주선해 주신 것이 나비효과가 되어 내가 탄생했다. 그 시절 다 그랬는지는 몰라도 어머니는 결혼과 동시에 전업 주부가 되셨다. (*나중에 들었는데, 엄마가 너무 예뻐서 다른 놈이 눈독 들일까 봐 일을 못하게 했다나 뭐라나. 참나.)


어머니의 친정은 전라도다. 음식 맛이 기가 막히다는 거다. 덕분에 우리는 외식보다 집밥을 더 좋아해서 매 끼니 누구 하나 빠짐없이 식탁으로 모였다. 아버지는 회사에서 코스 요리 정도 먹는 게 아니면 회식 장소보단 집을 택했다. 어머니는 제발 밖에서 좀 먹고 들어오라며 귀찮아 죽겠다 하셨지만 왠지 나는 그게 좋았다.

엄마, 그러길래 좀만 덜 맛있게 만들지 그랬어.


이렇게 우리 집은 어머니를 중심으로 온 가족이 하나가 된다. 큰 이모는 이런 우리 가족을 보고 바퀴벌레 같은 한 쌍이라느니, 꼴사납다느니 학을 떼지만 표정은 웃겨 죽겠다는 듯이 웃음이 한가득이다.

부러우면 지는 거예요 이모.


서른이 되고 부모님이 50대가 넘으시니 가끔 덜컥 무서울 때가 있다. 앞으로 몇 번의 벚꽃을 보게 되실까 하는 막연한 공포감. 20대 중반이 되면서 본가와 같은 서울이지만 회사와 가까운 지역에서 자취를 시작했다. 떨어져 지내니 오히려 더 애틋해진다. 매일 30분 이상 시시콜콜한 내용으로 통화하고 주말이나 연휴엔 웬만하면 함께 지내려고 한다. 예전엔 자주 오지 말고 너나 즐기며 잘 살아라 하셨지만 어느 순간 그런 말은 쏙 들어갔다. 되려 오라고 하시는 횟수가 는다. 그럴 때마다 나이 드시는 게 느껴져 조금 울적해진다.



막상 본가에 가면 특별히 하는 건 없다. 과일 좀 깎아 먹고 다음 끼니는 뭐해먹을까 고민하는 게 전부인데 그게 그렇게 평온하고 행복하다. 여행을 가도 맛집에 간 게 기억에 남듯이 가족들과 맛있는 음식 먹었던 기억이 오래갈 것 같다. 어릴 때부터 저녁 식사는 모두 모여 함께 먹은 기억을 주신 부모님께 진심으로 감사하다.



가장 가까운 사이이면서 가장 예우해야 되는 소중한 존재다. 오히려 가까울수록 지켜야 할 선은 짙어진다. 그게 맞다. SNS를 보다 보면 남보다 못한 가족 썰이 보인다. 어쩌다 그 지경이 됐을까 싶다. 안타깝다. 우리 가족이 참 잘 살아왔다는 승리감도 든다.


그렇게 화목하게 지냈어도 아직도 같이 가고 싶은 곳, 먹고 싶은 음식, 보고 싶은 것들이 한가득이다. 아니, 무병장수를 이뤄도 다 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이렇게 누구나 주어진 시간은 한정적이라 조금이라도 후회할 건덕지를 남기기 아깝다. 그러니까,



우리 가족, 건강하고 행복하자.


인생 별거 있나, 그거면 됐지.

매거진의 이전글 시작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