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다격 Oct 31. 2023

말의 내용

말은 

내용보다는 뉘앙스, 억양이 

중요한 것 같다.


나를 무시하는 건가. 

공격하는 건가. 


말은

감정을 주고받는 것이지 

논리를 주고받는 것은 아닌 것 같다.



아이가 마무리 단계에서 잘못하고 있었다. 

급하게 그만이라고 외쳤다. 


내가 해줄게요!


깜짝 놀란 아이는 황급히 손을 내리고 가만히 있었다.  

그렇게 체험이 끝나고 

뭘 잘못했는지 모르는 아이는 웃음끼 없이 공방을 나섰다. 


너무 단호했다. 

잘 못 됐어도 나중에 수습할 수 있었을 텐데.

여유 없는 마음이 밖으로 튀어나왔다. 


뒷 모습이 계속 마음에 걸려있다. 


유쾌한 집안이었다. 

아빠, 엄마, 아이가 체험을 했다. 

아빠는 업되 있었다. 


기분 좋은 일이 있나 보다 했는데 

예전 일을 얘기하며 웃었고 

지금 하는 걸로 웃고  

앞으로 이 그릇에 뭐 담아 먹을 지로 웃었다.


웃음이 디폴트 구나. 

무슨 일을 하고 살기에 저럴까.


아이는 웃음이 웃음을 낳는 환경에서 자란 것 같다. 

다 만들고 잘했다고 아는 부모와 달리 

아이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다. 

이유는 마무리하는 내 표정이 화내는 거 같아서 였다.  

아닌데? 

별생각 없는데?


아이에게 나의 무표정은 화난 모습이었다. 

뒤늦게 입꼬리를 올렸지만 탠션을 높이진 못했다. 


얘야. 

난 너의 아빠 처럼 안돼. 

여기까지야. 


한참 바쁜데 장문의 문자가 왔다. 

전날 체험했던 사람이었다. 


불친절해서 체험을 망쳤다 까지는 

아니지만 

제대로 즐기지 못했다는 내용이었다. 


장문인만큼 억울함을 풀고 싶었던 것 같은데

장문의 내용으로도 나의 어떤 면이 그렇게 느껴졌는지 짐작이 가질 않았다.

그만큼 문제가 큰 것이다.


다시 물었다. 

따지려는 것은 아니기에 공손한 느낌을 주기 위해 ^^과 ~을 신경 써서 문자에 넣었다. 


시간을 보채는 듯한 느낌을 계속 받아서 쫓기는 마음에 대충 하고 공방을 나왔다고 답장이 왔다. 

너무 민감하게 받아들인 거 아닌가? 

그의 탓을 하는 마음이 먼저 들었다. 


만들고자 하는 것에 따라 기본 난이도라든가 

다듬어야 할 것이 달라 소요 시간이 다르다. 

개인차가 있겠지만 

정보제공 차원에서 

시간이 어래 걸려요. 

어려운 거에서요. 

이런 식의 설명을 덧 붙인다. 


괜한 설명인가? 

하지 말라는 뜻으로 들리나?

설명이 너무 사무적이었나?

설명을 빠르게 했나? 

여러 생각이 들었다. 


같이 온 친구가 먼저 끝을 내서 많이 기다리셔야겠다는 얘기도 압박으로 느껴졌다고 했다. 

괜한 얘기를 했구나. 


나는 좀 둔감하게 사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이 정도도 못 받아 들이면 상대가 문제인 거야 하며 

거칠게 상대를 대하는 모습이 있다. 


나는 

나에 대해서는 민감한 사람인 거 같고 

타인에 대해서는 둔감한 사람인 거 같다.  


선의로 가득 찬 세상에서 곱게 자란 사람들처럼 

말을 하고 싶다. 


아무 생각이 없을 때도 

너 지금 웃냐

웃상이 되고 싶다. 


작가의 이전글 가난 스트레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