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춘욱 Nov 12. 2022

실업률을 좌우하는 또 다른 요인, 경제활동참가율

미국의 경제활동참가율이 20년 동안 계속 하락하는 이유는?

지난 번 글(실업률은 언제 상승할까)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기 여건. 정확하게는 기업들의 투자활동이 실업률에 직접적 영향을 미칩니다. 그런데, 이는 순환적인 요인이고 장기적인 실업률을 결정짓는 것은 경제활동참가율이라 하겠습니다. 경제활동참가율이란, 15~64세 인구 중에서 구직의사를 가진 사람의 비율입니다. 이를 식으로 나타나면 아래와 같습니다.


경제활동참가율 = (실업자+취업자)/(15~64세인구)*100


<그림>은 1950년대 이후 미국의 경제활동참가율을 보여주는데, 1960년대 초반부터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다 1990년대 말을 고비로 하락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최근 미국 경제 실업률이 낮은 수준을 유지하는 이유를 여기서 찾을 수 있죠. 구직을 포기하는 사람들이 매우 많으니, 일자리 공고에 비해 취업하는 사람들이 적고 이는 실업률의 하락으로 연결됩니다.  

https://fred.stlouisfed.org/series/CIVPART


****


어떤 이유(군대 및 재학 등)로 노동시장에 참여활 수 없거나, 혹은 노동시장에 무언가 구조적인 문제가 생길 때 경제활동참가율은 낮아집니다. 


이 두 가지 원인 중에서 가장 직접적으로 관측되는 현상은 대학 진학률의 상승입니다. <그림>은 미국의 25~34세 인구 중 고등교육 이수비율을 측정한 것인데, 다른 선진국들도 비슷합니다. 예를 들어 영국의 고등교육 이수율은 197년 25%에서 2021년에는 58%까지 상승했으며, 스페인도 같은 기간 30%에서 49%로 상승했습니다. 이처럼 대학진학률이 상승하면, 경제활동참가율이 낮아지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https://data.oecd.org/eduatt/population-with-tertiary-education.htm


***


그러나 대학진학률의 상승 만으로 이를 설명하기 어려운 면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대학진학률의 진학은 1990년대 초반부터 나타난 현상인데 2000년대에 본격적인 경제활동참가율의 하락이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외에 다른 요인이 영향을 미쳤다고 보아야할 것 같습니다.


이 문제를 잘 보여주는 게 베버리지 커브(Beveridge curve)입니다. <그림>의 세로 축은 Job Opening(구인율: 전체 일자리 대비 현재 사람을 고용하기 위해 공고를 내는 등의 활동을 하는 비율)을 나타나며, 가로 축은 실업률입니다. 통상적으로 베버리지 커브는 좌하단으로 이동하면 좋은 것이며, 반대로 우상단으로 이동하면 심각한 문제를 내포하게 됩니다. 

2020년 코로나 팬데믹 이후가 검정색선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급격하게 우상단으로 이동한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즉 일자리가 열려 있어도 실업상태에 있는 사람이 많다는 뜻이 되겠습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 지에 대해 다양한 논쟁이 벌어집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다음 편에 말씀드리겠습니다. 


https://www.bls.gov/charts/job-openings-and-labor-turnover/job-openings-unemployment-beveridge-curve.htm


작가의 이전글 미국 실업률은 언제 상승할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