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춘욱 Mar 25. 2023

크레딧 스위스 다음은 도이체 방크?

뱅크런이 벌어진다 해도, 도이체 뱅크의 파산 가능성은 매우 낮아

어떤 은행이나 기업의 신용도를 판단할 때 가장 많이 보는 것이 신용등급입니다. 그런데, 신용등급은 정기 평가 혹은 신규 발행 시에 정해지면 자주 바뀌지 않으니(물론 수시 평가도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신용부도스왑(CDS) 프리미엄에 주목합니다. CDS 프리미엄이란, 한 마디로 말해 보증 수수료라 할 수 있습니다. 기업의 파산 위험이 높아지면 보증 수수료가 높아질 것이고, 안정적이라 생각되면 보증 수수료는 내려갈 것입니다. 


그런데 아래 <그림>에 나타난 바와 같이, 최근 도이체 뱅크(독일, 검정선)의 CDS 프리미엄이 급격히 확대되는 중입니다.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우니크레딧(이탈리아, 녹색선)과 속젠(프랑스, 파랑색선)도 상승하는 중이죠. 그 가운데 도이체 뱅크의 CDS 프리미엄 확대 속도가 빠르다는 이야기입니다. 이 영향으로 주식 가격도 폭락하는 중이며, 주가수익배율도 3.38배 수준까지 내려왔습니다.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3-03-24/europe-s-banks-erase-weekly-gains-as-us-probe-adds-to-concerns?utm_source=website&utm_medium=share&utm_campaign=copy


***


이런 현상이 나타난 이유는 크레딧 스위스(스위스, 붉은선)의 합병 과정에서 코코본드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입은 데 있습니다. 코코본드(AT1)란, 은행이 발행한 채권 중 이자율이 높은 대신 경영상의 문제가 생길 때 손실이 발생하는 채권을 뜻합니다. 


AT1 채권은 "정부의 비상 지원이 제공되는 등 은행의 존폐 상황에서는 완전히 상각될 수 있다"는 명확한 법적 문구가 투자자들에게 알려주고 발행되었죠. 이에 따라 크레딧 스위스 AT1을 보유한 채권자는 주식 자본에 앞서서 상각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적법한 절차라고는 하지만, 코코본드 투자자들로서는 충격을 받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여기에 3월 유럽 중앙은행이 0.5% 포인트의 금리인상을 단행했습니다. 채권 투자자들은 시장 금리가 올라갈 때마다 손실을 볼 수 밖에 없는데, 정부마저 도움을 주지 않은 셈입니다. 


그럼 독일을 대표하는 은행, 도이체 뱅크(DBK:GR)마저 무너지는 것일까요?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그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왜냐하면 아래 <표>에 나타난 것처럼, 도이체 뱅크의 실적이 탄탄하기 때문입니다. 붉은 박스로 표시된 '자기자본비율(CET1 ratio 기준)'이 무려 13.4%에 이를 정도입니다. 통상적으로 이 비율이 8%만 넘어도 우량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감안할 때, 13.4%라는 것은 거의 아무 문제가 없는 상황이라 하겠습니다. 


https://investor-relations.db.com/reports-and-events/quarterly-results


***


이렇게 높은 자기자본비율을 유지할 수 있는 이유는 '돈을 잘 벌기 때문'입니다. 2022 회계연도 순수익이 18.0억 유로이니 수익성이 꽤 높은 은행이라 하겠습니다. 이렇게 돈을 잘 버는 이유는 순이자마진(NIM)이 날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는 중입니다. 즉 경기가 좋아지고 금리가 상승하며, 이자 차액이 늘어나는 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이 은행의 주당 순자산가치 대비 주가 비율은 단 0.29배에 불과합니다. 유럽 재정위기 이후 도이체 뱅크의 주된 수익원(원자재 관련 파생 상품)이 손실을 기록한 것이 큰 영향을 미쳤죠. 그러나 10여년에 걸친 노력 끝에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음에도, 투자자들은 아직 이 은행을 신뢰하지 않는 셈입니다. 



***


따라서 도이체 뱅크의 파산 가능성을 0%라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크레딧 스위스 마냥 뱅크런이 발생하면, 아무리 우량한 은행이라도 파산을 면하기 어렵습니다. SVB처럼, 보유자산 대부분이 국채이어도 뱅크런 앞에는 소용 없습니다. 


도이체 뱅크의 대출 포트폴리오를 살펴보면, 모기지를 비롯한 개인 고객 부문이 50% 이상을 차지하며 기업 대출이 약 25% 그리고 투자은행 부문이 20% 내외를 차지합니다. 상대적으로 잘 분산되어 있는 편이지만, 역설적으로 이야기하면 뱅크런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대출 회수가 신속하게 이뤄질 수 없기 때문이죠.  심지어 대출 회수 과정에서 경제 전체가 망가질 위험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독일 정부(및 ECB)가 뱅크런 발생 시에 보유자산을 담보로 잡고 유동성 대출을 해주는 게 필수적인 일인데, 이게 코코본드의 손실 위험을 높이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아무튼 요약하자면, 도이체 뱅크는 자기자본비율도 높고 이익 수준도 괜찮아서 망할 것 같지 않습니다만 코코본드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만에 하나 뱅크런이 발생할까 두려운 상황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극단적 충격만 발생하지 는다면, 도이체 뱅크가 크레딧 스위스의 길을 갈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보입니다. 

***

이상의 내용은 로보어드바이저 앱, 프리즘을 통해 주 2회 서비스는 칼럼의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을 보고 싶은 분들은 아래 링크를 클릭해, 프리즘 앱을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

프리즘(Frism) - 국민 모두를 위한 연금 솔루션 | 연금저축/IRP/ISA 한 번에


작가의 이전글 국민연금 대규모 손실, 우리는 어떻게 대응 해야하나?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