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춘욱 Sep 05. 2023

중국은 왜 그토록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가?

폴 크루그먼(2023.8.31)


최근 중국 경제는 90년대 후반 이후 가장 어려운 상황에 처한 것 같습니다. 성장률이 급락하는 가운데 실업률이 상승하고, 금융기관의 건전성이 위협 받고 있기 때문이죠. 그러나, 90년대 후반과 달리 중국 정책당국의 대응은 여러 면에서 의구심을 불러 일으킵니다. 과거에 그토록 뛰어난 실무관료는 다 어디로 갔고, 시진핑 주석은 왜 저런 모습을 보이는가? 


이 의문에 대해 폴 크루그먼 교수는 "원래 중국은 그랬고, 최근 문제는 과거에 만들어진 시스템의 한계 때문"이라고 지적합니다. 그리고 이 한계는 아주 기괴한 이데올로기의 복합체이기도 해, 문제의 해결책을 앞에 두고 빙빙 돌아가는 모습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에 도달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Opinion | Why Is China in So Much Trouble? - The New York Times (nytimes.com)


***


최근 중국의 어려움을 보도하는 기사를 보면, 최근의 사건과 정책에 너무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 것 같습니다. 네, 시진핑은 변덕스러운 지도자입니다. 하지만 중국의 경제 문제는 오랫동안 쌓여 왔습니다. 시진핑이 이러한 문제를 적절히 해결하지 못하는 것은 시진핑 개인의 한계도 있지만, 중국 집권당 내부의 심각한 이념적 편향성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장기적인 관점부터 살펴봅시다.


1978년 덩샤오핑이 집권하고 시장 기반 개혁을 도입한 후 30년 동안 중국은 실질 국내총생산이 7배 이상 증가하는 등 엄청난 성장을 경험했습니다. 이러한 급격한 성장은 기술적으로 후진국이었던 중국이 해외에서 이미 개발된 기술을 도입하여 생산성을 빠르게 높일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중국의 융합 속도는 놀라웠습니다.


GDP growth (annual %) - China | Data (worldbank.org)



그러나 2000년대 후반 이후 중국은 역동성을 많이 잃은 것으로 보입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자원 사용 효율성의 척도인 총요소생산성이 2008년 이후 10년 전에 비해 절반 정도만 성장했다고 추정합니다. 이러한 추정치는 신중하게 고려해야 하지만 기술 발전 속도가 분명히 둔화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중국은 더 이상 가파른 성장을 뒷받침할 인구구조를 갖추지 못했습니다,=. 중국의 생산활동 인구(Working Age)는 2015년경 정점을 찍고 그 이후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Population ages 15-64, total - China | Data (worldbank.org)



많은 분석가들은 중국의 역동성 상실의 원인을 2012년 집권한 시진핑 주석이 전임자들에 비해 민간 기업에 대해 지속적으로 적대적인 태도를 보였기 때문이라고 지적합니다. 이는 너무 성급한 판단인 것 같습니다. 물론 시 주석이 국가 통제와 자의성에 초점을 맞춘 것이 도움이 되지 않은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중국의 경기 둔화는 시 주석이 집권하기 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장기 성장률을 설명하는 데 능숙한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MIT의 위대한 경제학자 로버트 솔로우는 어떤 국가가 다른 국가보다 더 느리게 성장하는 이유를 설명하려는 시도는 항상 "아마추어 사회학의 불꽃"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고 유명한 말을 남겼습니다. 중국이 2008년 이전과 같은 방식으로 계속 성장할 수 없는 데에는 분명 깊은 이유가 있었을 것입니다.


어쨌든 중국은 과거와 같은 높은 성장률을 유지할 수 없는 것이 분명합니다.


하지만 성장 둔화가 곧 경제 위기로 이어질 필요는 없습니다. 앞서 지적했듯이 궁극적인 경계 사례로 꼽히는 일본도 1990년대 초 경기 둔화 이후 꽤 괜찮은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중국의 상황이 왜 그렇게 불길하게 보일까요?


근본적으로 중국은 소비자들이 너무 많이 절약하면 경제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절약의 역설'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기업이 소비자들이 저축하려는 모든 돈을 빌려서 투자하지 않는다면 그 결과는 경기 침체로 이어집니다. 이러한 경기 침체는 기업이 투자하려는 금액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더 많이 저축하려는 시도는 실제로 투자를 줄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중국은 국가 저축률이 엄청나게 높습니다. 왜 그럴까요? 원인에 대한 합의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IMF의 연구에 따르면 가계의 저축률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진 원인은 저출산으로 인해 사람들이 은퇴 후 자녀에게 부양을 기대할 수 없다고 느끼고, 사회 안전망이 미흡하여 공적 부양에 의존할 수 없다고 느끼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경제가 매우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던 한, 기업들은 저축한 돈을 투자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을 찾았습니다. 하지만 이제 그런 종류의 성장은 과거의 일이 되었습니다.


그 결과 중국은 막대한 양의 저축금이 마땅히 갈 곳이 없이 쌓여 있습니다. 그리고 중국 정책의 역사는 이 문제를 감추기 위해 점점 더 필사적으로 노력해 온 이야기 중 하나입니다. 한동안 중국은 막대한 무역 흑자를 내며 수요를 유지했지만, 이는 보호무역주의의 반발을 불러올 위험이 있었습니다. 그 후 중국은 과도한 저축을 엄청난 부동산 거품에 쏟아부었지만 이 거품은 이제 터지고 있습니다.


분명한 해답은 소비자 지출을 늘리는 것입니다. 국유 기업이 더 많은 이윤을 노동자와 공유하도록 해야 합니다. 단기적으로는 정부가 국민에게 수표를 나눠주는 방식으로 돈을 지급하면 됩니다.


그런데 왜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까요? 


여러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이 명백한 일을 하지 않는 이데올로기적 이유가 있다고 합니다. 제가 알기로는 중국 지도부는 민간 부문에 대한 적대감(사람들에게 더 많은 소비를 할 수 있는 능력을 주면 당의 통제력이 희석될 수 있다), 비현실적인 야망(중국은 지금 당장 삶을 즐기는 것이 아니라 미래에 투자해야 한다), 강력한 사회 안전망에 대한 일종의 청교도적 반대, 그리고 시 주석이 노동 윤리를 약화시킬 수 있는 "복지주의"를 비난하는 등 이상한 혼합으로 고통받고 있습니다.


그 결과 중국은 과거에 사용했던 것과 같은 종류의 투자 주도 부양책을 추진하기 위해 반쪽짜리 노력을 기울이는 등 정책 마비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중국을 무시해야 할까요? 물론 아닙니다. 중국은 진정한 초강대국이며, 스스로를 바로잡을 수 있는 막대한 역량을 갖추고 있습니다. 조만간 중국은 정책 대응을 약화시키는 편견을 극복할 것입니다.


하지만 앞으로 몇 년은 꽤 추악할 수도 있습니다.

작가의 이전글 재택근무 시대, 슈퍼스타 시티의 미래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