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임효승 변호사 May 24. 2024

법률사무소 상가임대차 계약 3가지 꿀팁

법률사무소 상가임대차 계약하는법

개업 장소를 정했다면 상가임대차 계약을 체결해야한다. 변호사라고 모두 계약 전문가가 아니다. 변호사들도 대부분 당연히 태어나서 처음으로 상가임대차계약을 체결하는 것이고 어떤 부분을 중요하게 봐야하는지 모른다. 


변호사들이 기존에 봤던 임대차계약서는 현실적 문제가 발생하여 보게 되는 임대차계약서들이고, 대부분 임차인이 차임을 지급하지 않고 계속 눌러앉아 거주하거나 임대인이 임대차계약 기간이 종료된 뒤에도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는 경우 임대차 계약서를 가장 많이 보게 된다. 

    

그렇다면 실제 변호사가 개업지를 선택했고 임대차 계약을 작성해야 한다면 고려해야 될 요소들은 어떤게 있을까. 변호사들도 모르는 임대차 계약 속에 포함시킬 수 있는 것들을 공유하고자 한다.



렌트프리 기간 


렌트 프리 기간은 인테리어 기간동안 임대료를 내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이다. 보통 2~4주정도 렌트프리 기간을 주는 것 같다. 여러 곳 매물을 찾아다니면서 “여기는 렌트프리 얼마나 되는가요.”라고 물어보면 알 수 있다. 지금 운영 중인 법률사무소 2곳은 본점은 한 달 렌트프리였고, 분점은 3주정도 렌트프리를 받았다.     


월차임에는 부가세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


대부분 상가임대차의 경우 중개매물로 올라올 때는 임대료에서 부가세를 제외하고 금액을 올린다. 왜냐하면 그래야 임대료가 낮은 것처럼 보여 연락이 오기 때문이다. 중개사들의 전략으로 보인다. 


막상 계약을 하고 도장을 찍으려고 하면 여기서 부가세는 별도라고 얘기를 하거나 나중에 임대료 납부할 때가 되면 부가세 별도로 달라고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제 사업을 2년정도 운영하면서 알게 된 사실은 대부분 식당, 백화점, 쇼핑몰 등을 제외하고 비용에는 부가세가 빠져있다. 

      

임대차계약의 기간을 정하기


임대차계약은 1년 또는 2년 주기로 계약을 체결한다. 법률사무소가 개업을 하면 망하지 않는 이상 계속해서 그 자리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1년 계약을 한 장점은 빨리 망하게 된다면 임대료 낭비하지 않고 빠르게 영업을 접을 수 있다. 다만, 단점은 1년마다 임대료가 증액될 수 있다. 2년 계약을 한다면 장점이 단점으로 단점이 장점으로 바뀌게 된다. 3년째 운영중이지만, 1년과 2년에 차이는 아직 느낀 것이 없다. 따라서, 곧 죽어도 여기서 개업을 해서 꾸준히 나아가겠다는 생각이라면 2년씩 계약을 체결하는게 임대료 증가 폭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위의 3가지 방법만 알고 가도 상가계약 할 때, 합리적으로 계약할 수 있다. 


다시 정리하면 렌트프리 기간, 월세부가세여부(추가적으로 관리비도 확인), 임대차계약정하기 이다. 법률사무소뿐만 아니라 상가계약시 위의 조건을 적용해도 좋을 것 같다.


법률사무소 홍림 홈페이지

법률사무소 홍림 종합 블로그

법률사무소 홍림 민사 블로그

법률사무소 홍림 형사 블로그


작가의 이전글 법률사무소 홍보하는 3가지 방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