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홍난영 Jul 16. 2023

인문학은 과학의 토대를 갖추어야 온전해진다

책,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1)

"어쩌면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글을 쓸 때도 현재 지구에 적용되고 있는 물리, 화학 법칙 등등은 글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독자는 이해를 할 수 없을 뿐더러 지적질을 하게 된다."


라는 글을 썼었다. 그러면서 유시민 작가님의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라는 책을 샀다고도 했다. 


나는 인문학도 잘 모르고 과학도 잘 모른다. 하지만 호기심만은 아직 살아있다. 파고드는 공부는 못하지만 궁금하긴 하다. 궁금증을 풀기위해 미세하게 뭐라도 읽는다. 그게 나다.


나는 인문학을 잘 모르지만 과학은 아예 모른다. 하지만 세계는 화학, 물리학 등의 과학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사실을 부쩍 체감하고 있다. 웃기지 않는가? 이미 존재하는 세상을 이제서야 체감하고 있다니. 예전엔 그냥 살았다면 요즘은 그 속에서 호기심을 갖게 됐다는 이야기다.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 36p.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 47p.


밑줄 친 문장에 동의한다. 어쩌면 인문학이란 현재의 인간과 사회를 설명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현재'라는 건 늘 바뀌고 있으니... 특히나 과학의 발전으로 '현재'는 엄청난 속도로 변화하고 있으니 그에 따른 인간과 사회에 대한 설명 역시 계속 업데이트되고, 업그레이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니 과학 또한 알아야할 것이다.


내가 뭘 하겠다는 건 아니다. 하겠다고 할 수 있는 처지도 못된다. 그저 소소하게 호기심을 채우는 것일 뿐. 그러다 세상을 보는 눈이 조금이라도 생긴다면 너무 좋을 것 같다.


덕분에 정재승님의 영상도 찾아봤다. ^^ 


https://youtu.be/gR0WZGG3hOU

https://youtu.be/j2kC_Pla2v4


https://myworldcontents.com/2023071601/


매거진의 이전글 인간 종은 하나가 아니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