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튜브라이트 Dec 04. 2018

몸이 기억하는 상처

뚝딱뚝딱 몸마음공장 프로젝트 30

나의 경험으로부터 이해한 바로는 몸과 마음이 서로 분리된 것이 아니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가령, 아토피나 여드름 등 많은 피부 질환이 정체불명의 스트레스에서 비롯하거나 압박감에 의해 두통에 시달리는 경우, 시험을 앞두고 배가 아파 고생하거나, 긴장했을 때 손에 땀이 나는 경우, 걱정이 많을 때 불면증 혹은 위장병으로 고통받거나 하는 것 등 말이다. 그래서 몸이 아프면 오히려 마음을 보살피고, 마음이 아프면 몸을 돌보라는 말을 되새기게 되었다.


그런데 최근에 세 권의 번역서인 『헝거』, 『몸에 갇힌 사람들』 , 『가만히 끌어안다』 등의 책을 읽으면서 어떤 아픔은 마음이 아닌 몸에 오롯이 새겨져 있다는 생각을 했다. 몸과 마음의 연결성은 이미 프로이트 등 여러 학자들이 거론했을 정도로 심리학 등 학문적으로도 의미있게 다뤄지는 주제이지만 몸과 마음의 관계에서 벗어나 우리의 감각은 그 자체로 경험한 ‘몸’이라는 신체적 특성 속에서만 이해될 수 있고, 이해되어야만 하는 부분이 분명 존재한다고 깨닫게 되었다. 이미 상처 입은 사과를 되살리는 방법은 그 상처를 도려내는 방법이 유일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출처- 구글이미지- 사람으로 바라본 세상


운동을 급격히 심하게 해서 근육이 아프면 우리는 그제야 그 근육이 내 몸의 그 부위에 붙어있었음을, 거기에 존재하고 있음을, 아무 말없이 일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또,  우리 마음이 고통받으면 마음이 여기에 존재하고 있어 내가 아픔을 느끼고 있구나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아픔을 느끼면 우리는 치료를 필요로 하고, 다시 원래의 상태로 회복되기를 원한다. 이처럼 몸에 새겨진 아픔은 무엇보다 예리한 감각의 상처로 남아있다는 것을 우리가 이해하면 좋을 것 같다.


인간에게는 한계가 있어서 어떤 것은 손에 잡히는 감각으로만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것들이 있다. 오히려 몸이라는 눈에 보이는 도구가 전제되어 있기에 우리가 마음에 다가설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근육통이 느껴지면 파스를 바르고, 암이 생기면 도려내는 수술을 하듯이 말이다. 몸이 가진 상처를 섣불리 마음으로 이해하려고 접근하는 것이 오히려 어리석은 처사일지도 모른다. 몸이 겪은 좌절을 어떻게 되돌릴 수 있을지는 결국 마음에서가 아니라 몸 자체에서 그 방법을 찾을 수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 더 솔직하고 빠른 치유책일 수 있다.


몸이라는 틀은 우리에게 무엇보다 시각적으로 바로 인지되기 때문에 판단이나 차별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관념적으로도 다른 여러 도구에 의해 해석되곤 한다. 그래서 좋은 몸 혹은 아름다운 몸에 대한 시각은 시대적 흐름이나 사고방식, 유행 등에 따라 계속해서 변한다. 본능에 의한 것이라고는 하지만 예를 들어, 풍만하고 굴곡진 몸매, 보다 성적인 특성을 잘 나타내 주는 근육질 혹은 남성과 여성을 명확히 구분해 줄 수 있는 신체적 특성들이 더 환영받는 시대가 있었다면, 근래에는 마른 몸매, 중성적인 느낌을 주는 몸 등이 사회적인 시각에서 긍정적으로 여겨진다.


그렇지만 몸이라는 것만큼 개인적이고 사적인 것도 없다. 다른 사람의 몸에 대해 비평하기를 끝내고, 시각적인 틀에서만 몸을 바라보기를 멈추고, 보다 본인에게로 그 시선을 거두고 솔직하지만 배려하는 마음에서 상대방을 이해하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누구나가 가진 몸에 대한 스토리는 다르고 겉으로 인지되는 것 외로 몸 내부에 감추어진 서사는 어마어마할 수 있다. 스스로의 몸을 사랑하고, 철저히 내 관점에서 나의 몸을 돌보기를 원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일요일 교회 말고 매일 나의 교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