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방자까 Sep 13. 2022

멈출 수 없는 마음 속 ‘둠둠’

영화 <둠둠>

우리나라에 다섯 군데뿐인 돌비 시네마관에서, 듣는 경험이 인상적인 영화 한 편을 감상했습니다. 돌비 시네마는 돌비 비전 HDR 영상과 돌비 애트모스 음향을 사용하는 돌비(Dolby) 사의 상영관입니다. 색다른 극장 경험을 제공하는 이곳에서 디제잉을 소재로 한 영화 <둠둠>을 만났습니다.


<둠둠>은 ‘디제잉' 하면 떠오르는 강렬한 사운드가 러닝타임 내내 귓가에 울리는 영화입니다. 하지만 토해내듯 터져 나오는 사운드와 달리, 그 소리를 만들어내는 인물은 하염없이 말을 삼킵니다. 여타 음악 영화와는 다른 분위기가 맴도는 <둠둠>. 이 작품은 어떤 이야기를 담고 있을까요? 


※ 씨네랩으로부터 초청받아 9월 6일(화)에 진행된 <둠둠>의 시사회를 통해 영화를 감상했습니다. <둠둠>은 2022년 9월 15일 국내 개봉 예정작입니다.


둠둠
Doom Doom

<둠둠>은 DJ 출신 미혼모 ‘이나'가 엄마 ‘신애'에게서 벗어나 음악을 향한 열정과 자신의 아기를 되찾는 여정을 그린 작품입니다. ‘이나'에게 엄마 ‘신애'는 끊임없이 반복되어도 절대 정지 버튼을 누를 수 없는 음악 같은 존재입니다. 지진이 일어날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시달리는 안전 염려증 환자 ‘신애'는 밤낮 가리지 않고 타카질을 하며 벙커를 만듭니다. ‘이나'는 동네 주민의 원성에도 으름장을 놓아버리는 엄마가 답답하지만, 어찌하지는 못합니다. ‘이나'는 끝없이 걸려 오는 안전 염려증 엄마의 전화를 무시하지만, 어찌하지는 못합니다. 독실한 기독교 신자인 엄마는 미혼모 ‘이나'의 아기를 입양 보내고 음악을 그만둘 것을 강요합니다. 이때도 ‘이나’는 어찌하지 못합니다. 결국 음악을 관두고 상담원으로 일하며, 엄마 몰래 위탁 가정에서 아기를 돌보죠. 그렇게 엄마를 견뎌오던 ‘이나’는 마지막으로 디제잉 대회에 도전함으로써 견딜 수 없는 ‘엄마'라는 음악을 꺼버리고, 음악과 아기를 되찾으려 합니다.


<둠둠> 속 모녀 관계는 얼마 전에 감상한 <경아의 딸> 속 모녀 관계와도 비슷합니다. 딸의 비극을 딸의 탓으로 몰아세우는 엄마와 그런 엄마에게서 벗어나고 싶어 하는 딸. <경아의 딸>의 딸은 갑갑한 엄마와의 연을 끊어버렸지만, <둠둠>의 딸은 엄마를 견뎌냅니다. 웃어 보이지는 못하더라도, 엄마가 원하는 삶을 살아주죠. 생각해보면 엄마의 막말에 상식적인 대응을 한 건 <경아의 딸> 속 딸입니다. 하지만 현실 속엔 엄마의 막말을 견디며 살아가는 <둠둠> 속 ‘이나’ 같은 딸들이 더 많습니다. 엄마 ‘신애'의 이해할 수 없는 행동에도 말을 삼키는 ‘이나’가 답답하면서도 한편으로 공감이 가는 이유입니다.


딸 ‘이나'와 엄마 ‘신애'의 뿌리 깊은 갈등은 의외로 한순간에 해소됩니다. 엄마 ‘신애'의 팔에 못이 박히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말이죠. 태국에 있는 딸을 데려와 준다는 교회 사람들의 사탕발림에 ‘신애'의 집에서 하녀처럼 부림 당하던 이주 노동자 여성의 분노에 의한 사고였습니다. 이주 노동자 여성에게 엄마의 부정을 전한 '이나'는 엄마를 다치게 했다는 죄책감에 사로잡히고, ‘신애'는 이주 노동자 여성의 분노로 말미암아 딸과 함께할 수 없는 ‘이나'의 고통을 이해합니다. ‘이나’는 이 순간을 기점으로 엄마를 조금씩 용서하기 시작합니다. 엄마의 목소리가 담긴 음악을 만들며 갈등은 완전히 해소되죠. 


영화를 보면서 러닝타임 내내 고통을 겪은 ‘이나'가 너무 갑작스럽게 엄마를 용서해버린 게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곰곰이 생각해보니 이것이야말로 리얼리티가 살아있는 이야기더군요. '애증'으로 묘사되는 모녀의 싸움은 언제나 그렇듯 칼로 물 베기니까요.




무릇 힘든 일은 한꺼번에 찾아오곤 합니다. ‘엎친 데 덮친 격’이라는 속담이 괜한 말이 아니죠. 주인공 ‘이나'도 그런 상황에 부닥친 인물입니다. 딸을 데려오지 못하는 미혼모, 안전 염려증에 사로잡힌 엄마, 엄마로 인해 음악을 그만둔 DJ, 좋아하는 테크노 장르보다 화려한 EDM 장르가 인기인 시대, 자신의 오리지널 곡을 빼앗은 옛 동료, 귓가에 맺히는 이명. 이 모든 것이 <둠둠>의 주인공이 겪는 시련입니다.


이러한 역경들은 ‘이나'의 의지와 상관없이 자꾸만 피어나는 비극적 상황을 묘사합니다. EDM의 시대에 비주류 음악인 테크노를 한다는 설정은 미혼모 '이나'의 소수자성을 부각하는 장치로 쓰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한 인물에게 너무 많은 시련을 부여하는 바람에, 음악과 아기를 되찾는 ‘이나'의 여정에 집중하기 어려웠다는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옛 동료와의 갈등과 갑작스러운 이명은 ‘이나'를 불행하게 만들기 위한 장면들이라고밖에 느껴지지 않았죠.


영화 말미, 온갖 시련을 무릅쓴 ‘이나’는 이제 도망치지 않겠다고 선언합니다. 현실로부터, 편견으로부터, 그리고 엄마로부터 도망치지 않겠다고요. 교회에서 아기를 품에 안은 엄마 ‘신애’와 교회 신도들을 앞에 두고 디제잉을 하는 마지막 장면은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이나'의 모든 시련과 제 아쉬움이 한 방에 해소되는 장면이기도 했습니다. 


(종교가 없는 저는 이게 교회에서 실제로 가능한 일인지 궁금했습니다. 현실에서 벌어질 만한 갖은 역경들을 지나칠 정도로 가득 담은 영화의 결말이 과하게 비현실적이라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하지만 종교인 친구는 개방적인 교회에서는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는 팩트 체킹을 해주었답니다.)




<둠둠>은 듣는 매력이 있는 영화입니다. 영화를 보는 내내 둠둠거리는 비트가 고막을 자극하죠. 하지만 ‘둠둠’은 단순히 강렬한 사운드만을 묘사하는 말은 아닙니다.‘둠둠’은 마음 깊은 곳에서 피어오르는 음악을 향한 ‘이나'의 열망, 그리고 언제나 마음 한구석에서 아려오는 엄마의 존재를 상징합니다. 실제로 몇몇 장면에서 둠둠거리는 비트와 엄마 ‘신애'의 타카질 소리가 교차되어 들려오기도 하죠. 마음 깊은 곳에서 울리는 '둠둠'을 더는 감내하지 않는 ‘이나'의 여정은 사운드 그 이상의 울림을 전합니다. 


Summary

자신에게 집착하는 엄마 때문에 전부였던 음악을 놓아버린 DJ '이나'. 길을 걷다 우연히 들려온 비트에 디제잉을 다시 하기로 결심하고, 베를린에 갈 수 있는 오디션에 참가하는데... "두려워도 도망치진 않을 거야" (출처: 씨네21)


Cast

감독: 정원희
출연: 김용지, 윤유선, 박종환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