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방자까 May 03. 2023

독특한 감성의 한국식 멀티버스
영화가 궁금하다면

영화 <보통의 우주는 찬란함을 꿈꾸는가>

마블(Marvel) 사는 히어로 영화의 신대륙을 개척함과 동시에 수많은 관객에게 평행 세계와 다중우주(Multiverse)라는 개념을 알렸습니다. 저도 스파이더맨들이 한 자리에 모이고, 닥터 스트레인지가 이 세계, 저 세계를 오가는 것을 보면서 평행 세계와 다중우주의 개념을 확실히 깨달았죠. 마블의 최근 행보를 긍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과학적으로 접근했다면 알기 힘들었을 어려운 개념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 점에 대해서는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제24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 만난 <보통의 우주는 찬란함을 꿈꾸는가>는 바로 이러한 다중우주 개념을 적용한 옴니버스 영화입니다. '거대한 우주 속에 존재하는 여러 보통의 우주들의 이야기'라는 설정만으로도 산뜻하고 신선한 작품이었죠. 이 영화 속에서 찬란하게 빛난 보통의 우주들은 과연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보통의 우주는 찬란함을 꿈꾸는가
Stars in the Ordinary Universe
두 번째 에피소드 <거지의 왕> 스틸컷

<보통의 우주는 찬란함을 꿈꾸는가>는 현실의 일면에 상상력을 더한 흥미로운 3가지 에피소드로 구성됩니다. '우월한 유전자' 이론을 접하고 자율학습 대신 열등한 인간의 존재 가치를 찾아 방황하는 여고생의 이야기(<여고생의 기묘한 자율학습>), 크고 창대한 꿈을 가져야 한다는 아버지의 말씀을 따라 대통령의 꿈을 좇다가 결국 거지가 되고 마는 한 남자의 이야기(<거지의 왕>), 입에 지퍼를 잠가야 할 순간에도 눈치 없이 진실만을 이야기하는 사람의 고충을 다룬 이야기(<진실을 아는 자>)까지. 같지만 다른 평행 세계 속 이야기답게, 등장인물들이 시공간을 오가며 이 이야기, 저 이야기에 출몰하는 것을 보는 재미가 있습니다.


그러나 다중우주 속 세계라는 공통점 하나만으로 이야기들을 단순하게 연결한 작품은 아닙니다. 세 이야기는 분명한 하나의 공통된 주제, 삶의 의미에 관해 이야기하죠. <여고생의 기묘한 자율학습>에서는 자기 자신이 열등한 유전자라고 믿는 주인공이 삶의 의미를 찾아 떠나고, <거지의 왕>에서는 대통령이라는 환상 같은 꿈만 뒤쫓다가 거지가 되어버린 주인공이 삶의 의미를 깨달아 가며, <진실을 아는 자>에서는 괴로움과 고통을 겪으면서도 진실을 이야기하고야 마는 주인공이 삶의 의미를 고민합니다.




세 이야기 모두 비참한 현실을 가벼운 웃음으로 비트는 블랙 코미디 요소를 갖추었다는 점에서도 공통점이 있습니다. 자율학습을 땡땡이치고 여기저기를 다니며 삶의 의미를 고민하던 주인공은 '우월한 유전자건 열등한 유전자건, 땡땡이 치면 숙제가 많이 밀린다'는 허무하면서도 당연한 깨달음을 얻습니다. 큰 사람이 되라는 아버지의 말씀을 따라 대통령을 꿈꾸었던 주인공은 거지가 돼버린 후에도 크고 창대하게 '거지의 왕'이 되겠노라 선언하죠. 갖은 핍박을 받으면서도 진실을 이야기해 온 주인공은 별안간 진실을 말하는 입이 우월한 유전자로서 선택받은 것이라고 믿게 되고요. 삶의 의미라는 심오한 주제를 떠안은 세 주인공 모두 조금은 황당하고 우스운 결론에 다다른 셈입니다. 상영 후 진행된 GV에서 김보원 감독은 “현실을 리얼리즘으로 직시해버리면 고통이 배가 되기에 끔찍한 고통과 감정을 웃어넘길 수 있는 블랙 코미디 장르를 사랑한다"라고 밝혔습니다. 장르에 대한 그의 열정이 없었다면 아마도 이 작품은 만들어질 수 없었을 겁니다. 


세 번째 에피소드인 <진실을 아는 자>에는 실제론 아무 의미 없는 별들을 머나먼 지구에서는 찬란한 빛으로 보고 감탄한다는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나옵니다. 사실 작품 속에 등장하는 보통의 우주들도 참 별 볼 일 없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도 마찬가지죠. 우주 전체의 관점에서 볼 때, 지구는 아주 작은 점에 불과하니까요. 그러나 생각해 보면,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보통의 지구도 멀리서는 찬란할 겁니다. 아무런 의미가 없어 보이는 아주 작은 점일지라도 말이죠. 모든 일엔 배울 점이 있듯이, 이렇듯 허무맹랑함으로 범벅된 듯한 이야기 속에도 진득한 깨우침이 녹아 있습니다.




이 작품은 화면비에서도 다중우주라는 개념을 재미있게 활용합니다. 첫 번째 에피소드에서 세 번째 에피소드로 이어지면서 4:3 비율이었던 화면은 점진적으로 1.66:1 비율까지 확장됩니다. 또 세 우주가 전환되는 장면은 가장 큰 1.85:1 비율의 화면비를 사용하죠. 감독은 “우주가 다르니까 당연히 화면비도 달라야 하며, 평행 세계의 지구들이 모두 존재하는 화면은 마땅히 가장 커야 한다고 생각했다”라고 말했습니다. 참으로 변태 같은 설정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리고 관객은 이런 변태 같은 설정에 감동하지요.


철학과 과학, 존재와 사유, 진실과 탈진실. 블랙 코미디와 다중우주라는 외양 안에서 다양한 논제를 다루고 있는 <보통의 우주는 찬란하게 빛나는가>. 제24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 마블 사의 다중우주 영화와는 또 다른, 독특한 한국식 다중우주 영화를 만나보시는 건 어떨까요?


Summary

무한한 다중우주에서 펼쳐지는 보통 사람들의 세 가지 이야기. 우주 #1 인간의 생물학적 한계를 알게 된 한 여고생.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해 기묘한 자율학습을 시작한다! 우주 #2 삶의 의미를 통달한 듯 보이는 거지. 험난한 여정 끝 얻게 된 진실한 행복에 관해 이야기한다. 우주 #3 진실은 계속해서 진실을 알린다. 진실을 말했을 뿐인데, 왜 다들 떠나갈까. (출처: 전주국제영화제)


Cast

감독: 김보원
출연: 박서윤, 심규호, 오동민 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