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brunch
매거진
안녕 어린이집
실행
신고
라이킷
26
댓글
공유
닫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브런치스토리 시작하기
브런치스토리 홈
브런치스토리 나우
브런치스토리 책방
계정을 잊어버리셨나요?
by
콩새작가
Dec 15. 2024
내가 쓸 수 있는 돈이 내 돈
내가 아는
부자
중
한 분은
자신을 표현할 때 '
나는
부동산
거지야
'
라고
종종
말한
다.
'부동산 거지'라는 표현은 자산 중 상당 부분이 부동산에 묶여
있어서,
현금 유동성이 부족한
상태의
표현이
다.
높은 부동산 가치를 보유하고도,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금이
부족하여
생활비와 세금 부담이 크
다.
부동산은 자산으로는 가치가 있지만, 필요할 때 바로
현금화하기가
어렵거나 세금, 유지비용 등이 많이 들기 때문에 이러한 사람이 재정적으로 불안정하다고
느낄 수 있
다.
지인은
한강변에 재건축이 될 빌라만 골라서 세명의
자식 앞으로
세 채씩
사두었다.
틈만 나면
부동산과
경매를
공부한다.
본인도
재개발될
강남의 금싸라기
아파트와 상가를 가지고 있다.
수시로
건물을 보러 다니면서 투자할 곳을
찾아
다닌다.
이런
상황에서 중요한 점은
자신
은 혼자서
작은
빌라에서 살고 있다.
돈이 부동산에
묶여서 본인이 쓸 돈이 없다고
징징거린다.
가끔
나는
지인
분의 말이
자랑인지, 진짜 없어서 절절매는 것인지
구분이 잘 가지 않는다.
이럴 때는 본인
자산의
유동성의 균형을 잘
맞추어야 한다.
이를
해결하려면
부동산에서 발생하는
임대 수익
을 활용하여 재정적 안정성을
높여야 한다.
부동산
부자이나
현금이 가난한 상태를 피하기
위해서
균형 잡힌 재무 전략이 필요하다.
'내가 쓸 수 있는 돈이 내
돈이다.'는
본질적으로 자기 결정권과 실질적인 소유를
강조하는
말이
다.
단순히 돈의 물리적 소유뿐 아니라, 그 돈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과 권리가 진정한
소유라
는 철학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
.
돈이 내 계좌에 있거나 법적으로 내 이름으로 되어 있어도, 그 돈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다면 진정한 소유가
아니기
때문이
다.
돈이 있어도 가족, 사회적 압박, 혹은 법적인 제한 때문에 사용하지 못하면 그 돈은 실질적으로 내 것이
아니
다.
자신이 가진 돈을 어떻게, 언제, 어디에 쓸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자유와
권리가 필요하다.
돈이 있어도 쓰지 못하게 만드는 심리적 부담감이
생겨서
본인에게
과도한
절약을
강요하거나 자신의 행복을 희생하면서 돈을 쓰지 않는
삶이 될 것이다.
진정한 경제적 자유는 돈을 모으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
돈은 흐를 때 가치가 있다는
관점이
다.
단순한 표현이지만, 경제적 자유, 자율성, 심리적 해방의 관점에서 다양한 철학적, 실용적 해석이
가능한
말이
다.
돈이 있어도 못 쓰는 사람들에 대해 살펴보면, 다양한 이유와 배경이 있
다.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그리고 문화적 요인에서
비롯된
다.
돈
쓰는 것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있
다.
과거의 어려운 경험이나 절약의 가치를 지나치게 중시하는 경우, 돈을 쓰는 것 자체가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
다.
돈을 써버리면 나중에 힘들어질 것이라는 불안감 때문에 소비를
억제한
다.
특히
,
노후 대비나 갑작스러운 위기에 대한 걱정이 크
면 이러한 경향이
강해진
다.
자신이 소비한 돈이 충분한 '가치'를 제공해야 한다는
강박으로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경우도 있
다.
가족 부양, 대출 상환 등 다른 사람들을 위한 책임감 때문에 본인을 위한 소비를 제한하는
경우도
있
다.
투자나 자산 관리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 돈을 쓰기보다 쌓아두는 선택을 할
것이
다.
예상치 못한
상황이 생길 때,
의료비나
사고 등
에 대비하기 위해 소비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일부 문화권에서는 돈을 쓰는 것보다 모으는
것을
미덕으로
여겼
다.
이러한 가치관은 개인의 소비 습관에
영향을
줄
수 있
다.
이전 세대의 가치관
,
예를
들어
절약과 희생
이 강하게 영향을
주어
,
돈을 쓰는 데
주저하게 된
다.
절약이 나쁜 것이 절대 아니다.
그러나 필요 이상으로 절약만 하다가 써보지도 못하는 상황은 피해야 한다.
우스갯소리로 하는 말이지만 나는
'쓰 죽
(쓰다가 죽자)
'을
추구하기 때문에
절약은 나와
거리가
좀 있는
얘기다.
나는
수입
이 있을 때
쓸
수 있는 생활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내가
일을 하는 목적은 여기에 있다.
'
수입이 있을 때 쓸 수 있는
생활'은
안정적이고 균형 잡힌 삶을 추구하는 가치관이다.
일을 하는 목적을 명확히 알고, 그로 인해 얻는 수입을 통해 원하는 생활을 실현하려
는 매우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접근 방식이다.
일과 삶의 균형을 유지하며, 나에게 중요한 가치를 실현하고자 한다.
그래서
잘 쓰다가 죽고 싶다.
그러다 남으면 자식들도 주고, 또 남으면 사회에 환원하고 가련다.
돈을 현명하게 쓰는
사람은 표정도 좋다.
절약, 기부 등의 요소를 조화롭게 표현하여 만족감과 기뻐하는 모습이다.
너무
아끼
고 쓰지 않는 사람에게는 이런 표정이 나오지
않을 것이
다.
여기저기
절약하고 돈을
잘 쓰지 못하고 그저
모으기만 하는 사람의
표정을 보먼 미간에 골이 깊은 주름이 있는 경우가 많다.
'돈을
죽을 때 가지고 가는 것도 아닌데
'
라는 말은 삶에서 소비와 즐거움의 가치를 되돌아보게 만든다.
물론 아끼고 절약하는 습관은 중요한 미덕이고 안정된 미래를 위해
꼭
필요하다.
하지만 그것이 지나쳐 현재의 행복을 놓치게 한다면 균형이 깨질 수 있다.
삶은 결국 현재와 미래의 조화를 찾는
과정이
다.
'지금의 즐거움'
과 '미래의 안정'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것이
중요하다는 얘기다.
꼭
생각할 것은
절약의 목적이 무엇인가
?
현재의 나를 충분히 돌보고
있나?이다.
절약하면서도 스스로를 보상하고, 작은 기쁨을 찾는
것이
중요하
다.
내 소비가 나의 가치를 반영하고
있는지
,
의미 있는 소비는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할 것이
다.
절약만이 답은
아니
다.
때로는 자신을 위한 작은 소비가 삶을 더 행복하고 만족스럽게 만들기도
한다.
지금을 살면서 미래를 준비하는 균형이 가장 건강한 선택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론상 맞는
말인데
난 왜
날마다 쓸 일 만 생길까?
keyword
어린이집
자산
부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