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호단 Dec 18. 2022

이상한데 매력적이야 근데 이상해

영화 <지옥의 화원>

즐겨 보는 영화들은 이렇다. 스토리가 뛰어나거나 영상미가 기막힌. 한 마디로 어느 한 면이라도 최소한의 완결성을 갖춘 작품을 보고자 한다. 그런 내게 <지옥의 화원>은 별종이다. '지상 최대의 여직원'을 가린다고 빌드업하다가 캐릭터 붕괴라고 느낄 만큼 생뚱맞게 끝내다니. 작년부터 영화를 보고서 왓챠 피디아에 별점을 기록 중인데, 말만 봐서는 0.5점이라도 던졌을 것 같다. 하지만 손가락은 3.5를 눌렀으니, 나 스스로도 의문에 답해야 했다. 이 영화가 왜?


*아래부터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영화는 감독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작중 인물들을 통해 드러나고, 관람객은 그 의미를 찾고 연결하며 감상한다. '메시지'라고 해서 반드시 교훈 담긴 말일 필요는 없다. 때로는 시청각을 화려하게 자극하는 영상미가 전부이기도 하니까. 처음부터 끝까지 웃기기만 한 코미디도 있고 말이다. 이 영화의 카테고리는 후자에 가까운데 시트콤 같은 상황을 보며 왁! 하고 터지는 웃음이 아니었다. 어이없는 헛웃음이 끊길 듯 끊기지 않다가 영화가 끝난다.


좀 더 언질 하자면, 러닝타임 마지막 부분에서 헛웃음이 가장 많이 터진다. 굉장한 허무함과 함께. 나름 특색 있게 쌓아온 모래성을 제 손으로 무너뜨리며 사실은 이게 완성이라고 하는 느낌이었다. 애석하게도 완성된 모래성은 재미, 유쾌함, 감동, 여운, 그 무엇도 남기지 못했다. 완성 직전의 클리셰가 차라리 낫다고 생각할 정도로. 이렇게까지 결말 관련 혹평을 던지는 건 관람객보다는 창작자로서의 마음이 담긴 탓이다.


작품을 보는 동안 관람객은 그 세계에 흠뻑 빠진다. 한 사람을 두 시간 동안 집중해서 본다고 생각하면 당연하다. 게다가 일방적으로 보고 듣기만 한다. 얼굴 표정이며 말, 행동까지 세세하게 보니까. 이쯤 되어 이 영화 내용과 접목시켜 보아야겠다.



영화에서 제시하는 세계관은 딱 하나다. 직장에서 일하는 여성 직원들의 싸움 세계. 그 사람들이라고 맨날 쌈박질하는 건 아니다. 일할 땐 일하고, 싸울 땐 싸운다. 본업과 부업 개념과 비슷하지 않을까 싶다. 회사에서 일하고 퇴근한 후에 사이드잡 하는 경우가 요즘엔 왕왕 있지 않은가. 독립된 공간으로 나누어 구분하지 않고, 한 곳(회사)에서 두 가지 일을 한다고 보면 된다.


회사들은 겸업을 허락해 주는지 피까지 흘려가며 쌈박질해도 아무도 신경 쓰지 않는다. 아, 딱 한 사람은 계속 주시한다. 주인공인 나오코. 나오코를 포함한 두 명의 동료는 부업을 안 한다. 즉 어느 파벌에 들어가지도 않아서 회사에서 싸움할 일이 없다. 다만 싸움 자체에 무관심한 동료들과 달리 매번 싸움이 일어날 때마다 그들에게서 눈을 떼지 못하고 흘끗 댄다. 왜 이렇게 관심이 많을까.


나오코의 회사는 파벌 셋으로 나뉜다. '광견' 사타케 파, '대괴수' 칸다 파, 그리고 '악마' 슈리 파. 꽤 치열한 싸움 끝에 슈리 파가 승리하고, 사타케 파와 칸다파는 자연스럽게 슈리 파 아래로 합쳐진다. 이러면 사이드잡을 잃는 건가 했을 무렵 새로운 인물이 등장한다. 신입 '호조 란'.



약자를 괴롭히는 걸 못 참고, 성격도 시원시원하고, 싸움에 별 관심 없는데 어느덧 슈리 파를 이기는 바람에 회사 내 질서를 정리한 인물이다. 나오코의 내레이션처럼 만화영화 같은 설정이다. 사실 영화의 모든 요소가 그렇다. 나오코의 내레이션으로 상황이 전개되는 것도 그렇고, 인물들의 우스꽝스럽지만 진지한 태도도 그렇고. 싸움을 제일 잘하는 란과 주인공 나오코가 친구가 된 것마저. 둘은 드라마 얘기를 하거나 맛있는 걸 먹으러 다니며 쇼핑을 하는 등 지극히 '평범한' 회사 생활을 함께한다.


이제 또 하나의 변곡점. 다른 회사들의 수장을 이기면서 은근한 유명세를 떨치던 란. 이때 나오코가 란을 끌어들이기 위한 인질로 끌려간다. 게임으로 치면 보스몹이 나온 셈이다. 혼자 오라는 말을 착실히 따르며 란은 불구덩 속으로 자진해서 뛰어 들어갔다. 당연히 이길 것 같던 란은 주요 간부 4명 중 3명을 쓰러뜨리는 과정에서 무너지고 만다.



란은 일명 '히로인' 역할이 아니었던 건가. 그들은 회사의 다른 직원들에게 란의 패배를 알리라며 나오코를 묶은 사슬을 풀어준다. 그리고 이제 힘을 숨기던 주인공 나오코는 자신의 싸움 실력으로 직원들 전부를 무너뜨린다. 쓰러진 란을 대신한 복수라기엔 제 안위에 대한 걱정에서 비롯된 것이다. 싸움 잘하는 집안의 딸로 타고난 능력이 있던 나오코는 아주 평범한 회사원이 되고 싶었다. 그래서 어떤 싸움이건 끼지 않고 멀리서 관망했고.


애석한 건 란도 마찬가지다. 이 사람은 반대로 주인공이 되고 싶었다. 싸움으로 인정받길 원했는데 나오코의 압도적인 실력에 도망쳤다. 회사에서는 나오코의 의도대로 모든 공이 란에게 돌아갔다. 란이 없는 건 찝찝해도 그런대로 평화로운 생활이 이어졌다. 하지만 그들이 이번엔 나오코의 회사까지 찾아왔다. '지상 최대의 여직원'이라는 오니마루를 모셔오면서까지.


사타케, 칸다, 슈리 등 모든 직원들이 고전할 때 나오코가 싸움에 끼어든다. 이번에도 별 수 없이 제 힘을 발휘하며. 오니마루와의 경합은 만화영화의 끝판왕으로 치닫았다. 몸이 붕 뜨는 와이어 액션이나 에너지파 같은 CG를 동원해서. 결국 나오코의 승리로 모든 부업이 종결되는 듯했다.


그때 란이 돌아왔다. 핏빛으로 물든 유니폼을 입고서. 사라진 2주 동안 '최초 여직원'을 찾아가 한 수 배운다. 감독은 코미디 요소로 넣었겠지만, 수련 내용이 꽤나 시대착오적이다. 전화를 상냥하게 잘 받고, 커피 심부름을 잘하고, 복사기를 정확하고 빠르게 잘 쓰기.



사실 이런 요소는 틈틈이 보였다. 남성 직원이 등장하면 흐름이 조금 깨졌다. '지상 최대의 꽃미남'인 것 같은 효과를 넣는다거나 여직원들이 갑자기 탕비실을 바쁘게 정리하거나 시급한 와중에도 젤리 사놨으니 먹으라는 말에 걸음을 몇 번이나 멈춰 선다거나. 학원물을 성별만 바꿔서 그대로 오피스로 옮긴 문제가 아니었을까 싶다. 구체적인 업무 내용은 나올 필요가 없지만, 완전히 잡무 위주로 돌아간다는 게 아쉬웠다.


이제 마지막. 수련에 수련을 거듭한 란과 나오코는 동등하게 싸움을 이어갔고, 결투는 옥상에서 끝이 났다. 란은 자신이 졌다고 생각했고 나오코에게는 무승부였다. 다시 예전처럼 밥 먹고 잘 지내자는 꽤 훈훈한 결말인 것 같았는데

남직원의 등장으로 분위기가 뒤바뀐다. 여직원의 본분은 싸움이 아니라 잡무를 잘하는 것이라는 뜬금없는 설교를 시작하고, 란에게 사랑 고백을 던진다. 란은 그 말에 동화된다. 나오코가 걸어가는 뒷모습에 '완패'라는 단어로 끝.


별점 1.5점은 모두 이런 요소 때문이었다. 과장스럽고 우스운 상황은 코미디의 일부이니 괜찮았다. 서브 컬처에 대한 거부감도 없고, 오히려 다양한 형태의 영화가 나오는 게 좋은 현상이라고 느낀다. 그런데 맥락을 몇 번 끊다가 마지막에 가서는 인물들의 모든 배경이나 노력을 '필요 없는 것'이라고 말하다니. 이건 창작자로서 지양해야 할 태도가 아닐까 싶었다. 기꺼이 내용에 몰입하며 따라왔을 관객들에게 왠지 모를 배신감을 안겨주는 플롯이니까.


남직원과 여직원 사이의 위계를 슬쩍 내비치려는 의도였으면 또 모르겠다. 학원물이나 소년만화에서 흔히 보이는 설정을 성별 바꾼 채로 회사 배경에 옮긴 과정에서 조금 더 심도 있는 고려가 있었다면 어땠을까. 모쪼록 실험적인 시도로도 영화의 퀄리티를 높이기 바라며.




*씨네랩 크리에이터로 시사회 참석 후 기고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인간의 기억은 그 자체로 기록이 된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