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생각하는 에밀리 Sep 02. 2022

피그마 사용 방법(2) - 플러그인(2)

UI/UX 디자이너의 피그마 사용법

지난 게시글에서는 이미 등록해서 사용하고 있는 플러그인을 공유했었다. 이번 게시글에서는 추가로 등록하고 싶은 플러그인에 대해 공유하려고 한다. 이번 게시글에 언급하는 플러그인들은 다른 사용자들이 최근에 많이 사용하는 것 같다.




추가로 등록하고 싶은 플러그인


rename it

레이어와 프레임의 이름을 일괄적으로 변경하는 플러그인이다. 사용방법은 Keyword %N으로 작성한 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 싶다면 Num.Sequence ASC,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 싶다면 Num.Sequence DESC을 선택한다. 키워드 작성 후 Alphabet Sequence를 선택하면 알파벳이 순서대로 붙도록 변경할 수 있다.



Brandfetch

 브랜드 이름이나 URL을 입력, 로고, 컬러, 폰트, 관련 이미지 등을 검색해주는 플러그인으로 경쟁 서비스의 로고, 컬러 정보, 서비스에 적용할 컬러 구성을 찾을 수 있다. 플러그인을 위해 태어난 서비스가 아니라, 원래 브랜드 이름을 기반으로 전 세계 다양한 브랜드를 검색할 수 있도록 시작된 서비스라 검색 범위나 대상이 정말 넓다고 합니다.



map marker

위치기반 서비스 또는 위치 삽입 이미지가 필요한 디자인 시안 제작에 유용한 플러그인이다. 로드맵, 항공뷰, 하이브리드 등 다양한 타입의 지도 형태의 이미지를 불러올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Show Marker도 선택할 수 있으나 테스트 중엔 지도를 로드해올 수 없었다. 작동만 제대로 된다면 유용한 플러그인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figmotion

애프터 이펙트나 포토샵 타임라인을 사용하지 않고도 상세한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는 플러그인이다. 애니메이션이 중요해지는 요즘 꼭 필요한 플러그인인 듯하다. 유튜브에서 How to use figmotion으로 검색해보면 애프터 이펙트나 포토샵 타임라인처럼 이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LottieFiles

애니메이션, GIF 등을 구현한 로티 파일을 적용할 수 있는 플러그인이다. 사용법이 조금 복잡하므로 추후 따로 사용법을 숙지한 후 사용법에 대해서 자세히 정리해야겠다.



Blush

유, 무료 일러스트를 제공하는 플러그인이다. png는 무료지만 svg는 유료이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따로 만들어서 적용해야 할 수도 있겠지만 이미지만 적용하면 되는 기획자나 단기적인 A/B Testing에 먼저 적용하기엔 좋을 것 같다.



Google Sheets Sync

피그마 파일에 구글 스프레드 시트를 연동하면 시트의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는 플러그인이다.



Stark

Color Contrast 값을 체크해주는 플러그인이다. 웹 접근성과 웹 표준을 고려해서 작업할 때 검토하면 좋을 플러그인이다. 계정을 만들어서 로그인을 해야 이용할 수 있는 점이 조금 아쉽긴 하지만 이용할 만한 것 같다.





피그마의 플러그인도 새로운 기능이 계속 추가되기 때문에 요즘 사용하면 좋을 플러그인을 추가하고 공유했다. 앞으로도 관심을 갖고 유용한 플러그인이 있는지 검토해봐야겠다. Lotti에 대해 관심을 갖고 공부해보려 했었는데 빠른 시일 내에 LottiFiles와 Lotti에 대해 따로 게시글을 만들어서 공유해야겠다.

작가의 이전글 피그마 사용 방법(2) - 플러그인(1)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