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인터프리터 Aug 08. 2024

돈 내가며 '말하기'를 배우고 있다

고등학교 1~2학년 즈음이었을까. 그러니까, 미국으로 이민 간 게 햇수로 6~7년 정도 되던 즈음. 갑자기 일상적 말하기가 무척 어렵게 느껴지던 때가 있었다. 그러니까, 짧은 대답이나 추임새 정도는 괜찮은데, 어떤 현상에 대해 세 문장 이상으로 길게 얘기하려면 갑자기 버벅대는. 영어로도 마찬가지였고, 한국어로도 마찬가지였다. 갑자기 머릿속이 새하얘지는 것이었다. 지금 돌이켜보면 모국어는 한국어인데 집에서 가족들끼리 있을 때 빼고는 24시간 영어를 쓰고 있자니 생긴 일종의 과도기였던 것 같다. 그때의 기억 때문일까. 말하는 데에는 재능이 없다고 생각했다. 차라리 글쓰기가 편했다. 

 

그런데 통번역사라는 직업을 갖고 나서 나는 직업 때문에라도 말하기를 무척 잘해야만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통역하는 과정에서 내 전달력을 높이기 위해서도 필요하지만, 다양한 사람들과 일정을 조율하고, 통번역 범위를 체크하고, 여러 표현과 용어들에 대한 합의를 맞춰가는 과정에서 말하기는 꼭 필요했다. 그래서 아주 비싼 돈을 내고 서울의 한 스피치 강의를 주기적으로 듣기 시작했다. 적은 비용은 아니었다. 8주 코스에 약 60만 원 이상. 비싼 돈을 써가며 말하기를 배운 소감은 이러하다:


(1) 내 원래 목소리(key tone)는 내가 평소 쓰는 목소리보다 낮다. 훠어얼씬 낮다.

외향적인 외국인 친구들과 자라서인지 텐션을 높여서 높은 목소리를 내는 버릇이 있다. 그런데 실제로 내 목소리는 여자 목소리 치고는 꽤나 낮은 중저음톤이라는 말을 들었다. 원진아 배우 정도로 낮은 톤이 얼추 내 목소리 range와 비슷하다. 다만 워낙 높은 톤을 쓰고 다녀서 이 톤으로 연습하고는 있지만 아직은 좀 어색하다. 좀 더 다양한 톤 앤 매너로 '요리'하는 방법을 연구 중이다.


(2) 종결 어미는 내리는 게 프로페셔널해 보인다.

앞에 1번과 비슷한 맥락인데, 그동안 나는 좀 더 밝고 외향적으로 보이기 위해서 억지로 종결 어미를 (~~ 다) 높이면서 살았던 것이다ㅠ 그렇지만 한국어는 말끝을 올리기보다는 내리는 게 훨씬 프로페셔널하고 성숙하게 들린다고 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말끝을 '흐리는 것'과 '내리는 것'에는 차이가 있다)


(3) 스피치에서 내용 그 자체만큼이나 중요한 건 비언어적인 요소들이다.

스피치 수업을 들으면서 우선 위안을 삼았던 포인트는 생각보다 나는 논리 정연하게 말하는 재능은 있다는 것. 다소 낙담했던 포인트는 그 외 모든 것 ㅎㅎㅎㅎ 쉽게 말해 약간 AI 프레젠터 같은 느낌이 매우 많이 난다. 실제로 내 모습을 녹화해서 보면 표정과 목소리톤에 변화가 거의 없어서 마치 로봇이 말하는 것 같다 ㅎ 앞으로 분발해야 할 포인트 +10...


저렴하지 않은 수강료에 내 지갑은 상당히 얇아졌지만 그래도 꽤 만족하는 편이다. 아무래도 언어를 다루는 직업을 갖고 있다 보니 이런 전달력 측면도 신경을 써야 할 수밖에... 대체 언제 좋아지지?라는 생각이 들 때도 있지만, 확실히 예전 녹음본 들어보면 전보다는 목소리가 단단해지고 호흡이 생겼다는 느낌을 받는다. 아주 천천히라도 발전하는 내가 되고 싶은 밤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통역사는 넷플릭스 자막 없이 볼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